경기도 폐기물에너지 정책수립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은-
dc.contributor.author남기영-
dc.date.accessioned2019-10-21T07:19:20Z-
dc.date.available2019-10-21T07:19:20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other13689-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8129-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환경공학과,2013. 2-
dc.description.abstract경기도의 시․군별 폐자원 에너지 잠재량 분석 결과 총 잠재량은 수원시, 성남시, 용인시, 부천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연성폐기물 및 하수오니는 수원시, 성남시 등 인구가 많은 대도시가 잠재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축분뇨는 파주시, 연천시, 용인시, 양평군 등 주로 도․농 복합시를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으며 목질계 폐기물은 수원시, 화성시 등 대도시와 포천시, 양평군, 가평군 등 산림분포가 높은 곳이 잠재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원시의 경우 가연성폐기물, 목질계, 하수오니, 음식물의 각분야에서 높은 잠재량을 나타냈고 성남시, 용인시의 경우 세종류의 폐자원 항목에서 부천시는 두 종류의 폐자원 항목에서 잠재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용인시의 경우 하수오니 폐기물과 가축분뇨의 발생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어 폐자원 바이오매스 이용 활성화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폐자원 잠재량이 높은 수원시, 성남시 등 1순위 그룹의 시․군을 중심으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녹색마을의 시범사업의 추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기도 발생 폐목재의 에너지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양평군, 가평군, 포천시 등 산림 폐목재 발생량이 많은 경기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산림바이오매스 클러스터를 구측하고 목재렐릿사업 등 인프라 구축 및 활용 시책의 추진이 필요하다. 음식물류폐기물, 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이 풍부한 경기남부 용인시의 경우 음식물류폐기물, 음폐수의 바이오에너지 활용을 통하여 저탄소 녹색마을과 연계한 에너지 자립마을을 구상할 수 있으며, 평택시의 경우 자원순환특화단지 조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경기도의 운영 중인 공공소각시설 및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의 시설보수를 통한 폐열 이용 활성화와 현재 74%의 소각시설 가동률 향상을 추진하여하고 수도권매립지, 부천시, 가평군 신규 RDF 시설의 지속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소각시설의 내구연한을 고려할 때 향후 10년 후 소각시설의 신설 및 보수가 필요하므로 폐기물 에너지화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발전시설의 도입 및 기존시설의 보수 활용에 대한 장기적 활용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List of Text) 논문 요약 Abstract 표 목차 그림 목차 Ⅰ. 서 론 1 Ⅱ. 폐기물의 정의와 유형 2 2-1. 폐기물의 정의 2 2-2. 폐기물의 유형 3 Ⅲ. 정부의 폐자원 에너지화 관련 정책 3 3-1. 우리나라의 폐기물관리 여건 및 현황 3 3-1-1 우리나라 폐기물관리 여건 3 3-1-2 우리나라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4 3-2. 우리나라 폐기물중 에너지화 가능량 분석 5 3-3. 우리나라 폐기물중 에너지화 추진목표 및 전략 6 3-4. 우리나라 폐기물 에너지화 추진 대책 7 3-5. 우리나라 폐기물 에너지화시설 확충계획(‘08-’12년) 8 3-5-1.「폐기물 에너지타운」건설 9 3-5-2. 가연성폐기물 고형연료화(RDF) 및 발전사업 10 3-5-3.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 및 발전사업 10 3-5-4. 매립가스 회수 및 정제․발전사업 11 3-5-5. 소각시설 여열회수 지원사업 11 3-6. 국가 재정투자 계획 12 3-6-1. 재원별 투자소요 추계 12 3-6-2. 연차별 투자계획 12 Ⅳ. 본론 13 4-1. 경기도의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13 4-1-1 경기도 1인당 생활폐기물 발생량(kg/일) 13 4-1-2 경기도 생활폐기물 소각량 15 4-1-3 경기도 음식물류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18 4-1-4 경기도가 추진중인 음폐수 처리시설 현황 25 4-1-5 경기도 생활폐기물 매립시설 현황 26 4-2. 경기도의 폐기물에너지 이용 현황 27 4-2-1 소각시설 여열회수․이용 27 4-2-2 가연성 폐기물 고형 연료화(RDF) 28 4-2-3 음식물류 폐기물 가스화 사업 29 4-2-4 도심속 폐기물 재활용 추진 31 4-2-5 목질계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32 4-2-6 하수오니 발생 및 처리 현황 33 4-2-7 가축분뇨 발생 및 처리 현황 34 4-2-8 평택에코센터 조성사업 추진 35 Ⅴ. 결론 및 정책방안 36-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경기도 폐기물에너지 정책수립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Nam Gi Young-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Nam Gi Young-
dc.contributor.department산업대학원 환경공학과-
dc.date.awarded2013.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70690-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689-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afety Engineer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