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주관적 기억력 감퇴 호소와 인지 기능의 연관성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홍창형 | - |
dc.contributor.author | 장기중 | - |
dc.date.accessioned | 2019-10-21T07:17:33Z | - |
dc.date.available | 2019-10-21T07:17:33Z | - |
dc.date.issued | 2011-02 | - |
dc.identifier.other | 11282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863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일반대학원 :의학과,2011. 2 | - |
dc.description.abstract | 목적: 최근 주관적 기억력 감퇴(subjective memory complaints)를 보고하는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인지 기능의 저하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본 연구를 통해 노년기 주관적 기억력 감퇴와 객관적 인지기능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광주 치매 경도인지장애 연구(Gwangju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Study, GDEMCIS)에 참가한 경기도 광주의 10개 군에서 모집된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나 양로원에 다니는 60세 이상의 노인 인구 1,496명(남자 510명, 여자 986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들은 인구 사회학적 특징, 현재 또는 과거 병력, 약물 사용 과거력, 한국판 간이 정신 상태 검사(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단축형 노인성 우울증 척도(Short Form Korean vers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K)를 포함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주관적 기억력 저하는 두 가지 다른 방법으로 정의하였다: 하나는 타인의 기억력과 비교하여 인지되는 주관적 기억력 감퇴(Subjective memory complaints worse than others: SMC-O)이고 다른 하나는 자신의 과거 기억력과 비교하여 인지되는 주관적 기억력 감퇴(Subjective memory complaints worse than one’s past: SMC-P)이다. 결과: 공분산 분석에서 5개의 SMC-P 그룹 모두 나이, 성별, 교육 수준, 우울증을 보정한 후에도 K-MMSE 점수의 차이를 보였다 (“매우 향상되었다” : 18.0, “조금 향상되었다” : 21.3, “변화가 없다” : 21.2, “조금 나빠졌다” : 21.1, “매우 나빠졌다” : 20.2) (F=9.63, df=4, p<0.0001, adjusted R2=0.375). 3개의 SMC-O 그룹 또한 나이, 성별, 교육 수준, 우울증을 보정한 후에도 K-MMSE의 점수의 차이를 보였다 (“나쁘다” : 20.4, “비슷하다” : 20.9, “좋아졌다” : 21.8) (F=4.89, df=2, p=0.004, adjusted R2=0.361).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노년기 주관적 기억력 저하는 객관적 인지 기능 저하의 지표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배경 1 B. 연구의 가설 및 목적 2 Ⅱ. 재료 및 방법 3 A. 대상자 3 B. 평가 4 C. 통계분석 4 Ⅲ. 결과 6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6 B. 주관적 기억력 감퇴와 객관적 인지 기능의 일변량일반선형모델 분석 10 Ⅳ. 고찰 14 Ⅴ. 결론 17 참고문헌 18 ABSTRACT 22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노년기 주관적 기억력 감퇴 호소와 인지 기능의 연관성 | - |
dc.title.alternative |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Cognition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 Jung Chang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의학과 | - |
dc.date.awarded | 2011.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9291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282 | - |
dc.subject.keyword | 기억력 | - |
dc.subject.keyword | 인지기능 | - |
dc.subject.keyword | 우울증 | - |
dc.subject.keyword | 노인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Objectiv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cognition in the elderly. Methods: Data obtained from 1,496 subjects (510 men and 986 women) aged above 60 years was analyzed from the Gwangju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Study (GDEMCIS). All subjects completed the study questionnaire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istory of current and past illnesses, drug history, Korean versio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and Korean vers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K).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were defined in two different ways; worse than others (SMC-O) and worse than one’s past (SMC-P). Results: On analysis of covarian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estimated marginal means of K-MMSE score among five SMC-P groups (much improved : 18.0, little improved : 21.3, not changed : 21.2, little worsened : 21.1, much worsened : 20.2) after adjusting age, sex, educational level and depression (F=9.63, df=4, p<0.0001, adjusted R2=0.37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estimated marginal means of K-MMSE score among three SMC-O group (below peer's average : 20.4, peer average : 20.9, above peer's average : 21.8) after adjusting age, sex, educational level and depression (F=4.89, df=2, p=0.043, adjusted R2=0.36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may be an indicator of o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in the elderly.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