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 반월공단 악취 현황에 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민선-
dc.contributor.author오민환-
dc.date.accessioned2019-10-21T07:17:20Z-
dc.date.available2019-10-21T07:17:20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other12437-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818-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환경공학과,2012. 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악취다중감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009년부터 현재 2011년도까지의 시화․반월공단 지역의 악취농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황화이메틸, 트리메틸아민, 뷰티르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프로피온산, n-뷰티르산, n-발레르산, i-발레르산이 감지임계농도를 초과하였다. 시화공단의 경우 최소임계농도를 초과하는 물질이 2009, 2010, 그리고 2011년에 4개, 0개, 1개로 각각 나타나 전반적으로 악취가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반월공단은 3개, 4개 그리고 6개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화반월공단 공통으로 임계농도를 초과한 물질은 황화이메틸, 뷰티르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3가지로 나타났고 3년에 걸쳐 임계농도를 초과한 물질은 뷰티르알데하이드 1가지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차 례 List of Text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 1 1. 연구배경 …………………………………………………… 1 2. 연구목적 …………………………………………………… 2 제2장 악취의 개요 및 악취관리기술………………………………… 3 제1절 악취의 개요 ……………………………………………… 3 1.1 악취물질의 정의 및 악취물질의 종류 ………………… 3 1.2 악취의 영향 ……………………………………………… 5 1.3 악취의 측정 ……………………………………………… 6 1.3.1 관능법 ……………………………………………………6 1.3.2 기기분석 ……………………………………………… 10 1.4 악취의 발생원 ……………………………………………12 제2절 악취관리기술 ……………………………………………14 2.1 악취 배출시설의 악취관리 ………………………… 14 2.2 악취발생원 개선 방법 …………………………………16 2.2.1 작업 공정의 청정화 …………………………………17 2.2.2 악취배출 공정별 악취 최소화 기법 ………………19 제3장 경기도 지역의 악취관리실태 및 시화ㆍ반월공단 악취측정 결과 … 25 제1절 경기도 지역의 악취관리실태 …………………… 25 3.1 악취에 대한 경기도 여건 …………………………26 3.2 환경에 대한 주민의 인식변화 ……………………26 3.3 시화ㆍ반월공단 악취 현황 …………………………27 3.3.1 시화ㆍ반월공단 지정악취 농도조사 ……………28 3.3.2 경기도 민원신고 및 처리결과 …………………29 3.3.3 시화․반월공단의 악취조사 결과 및 평가 … 30 제4장 결론 및 고찰 …………………………………………………… 55 참고문헌 ………………………………………………………………… 56-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시화 반월공단 악취 현황에 대한 연구-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산업대학원 환경공학과-
dc.date.awarded2012.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70035-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437-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In this paper, by using Multiple Odor Monitoring System, the odorous gas concentrations of Sihwa and Banwol Industrial Complex were compared and analyzed from 2009 to 2011. It was found that odorous gases which exeed threshold limit values were methyl mercaptan, hydrogen sulfide, Dimethyl disulfide, Trimethylamine, Butylaldehyde, n-Valericaldehyde, Propionic acid, n-Butyric acid, n-Valeric acid and I-Valerie acid. For three--years analysis from 2009 to 2011, the number of odorous gases exceeding the threshold limit values were 4, 0 and 1 in sihwa and 3, 4 and 6 in Banwol industrial complex.. Three odorous gases, such as Dimethyl disulfide, Butylaldehyde and n-Valericaldehyde exceed the threshold limit values in both industrial complexes and Butylaldehyde was the only gas that exceed the threshold limit values for three consecutive years.-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afety Engineer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