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치료를 위한 방사선치료계획에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모의치료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는 환자 개개인의 해부학적 특징에 기반하여 종양 표적과 정상 조직을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유방 크기가 작은 한국인 유방암 환자에서 적용하는 방사선치료계획 방법에 따라 치료용적 및 치료범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2008년11월부터 2009년 1월까지 기간 동안 조기유방암으로 유방보존술을 시행 받은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통상적인 접면조사의 이차원치료 계획과 전산화단층촬영을 기반으로 한 삼차원치료계획을 시행하였다. 이차원치료계획에서 방사선조사영역의 경계는 유방실질을 촉지하여 결정하였고 위쪽으로는 쇄골의 바로 아래, 내측은 몸의 정중선, 외측은 중앙액와선 그리고 아래쪽은 유방밑주름에서 2 ㎝ 아래에 표시하였다. 삼차원치료계획에서 임상표적용적은 모든 유선 조직을 포함하였고 계획용 표적체적은 임상표적체적에서 피부 쪽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1 ㎝의 여유를 두어 결정하였다. 이차원과 삼차원치료계획 간의 조사영역의 경계 차이 및 동등조사영역의 차이를 확인하고 신체질량지수, 폐경 여부 및 유방크기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선량분포로 지정한 유방조사량과 삼차원 선량분포에 기반하여 측정된 조사된 폐용적과 심장용적을 평가하였다.
2명의 환자를 제외하고 유선조직을 포함한 임상표적용적은 삼차원치료계획이 이차원치료계획보다 모든 방향에서 표시한 방사선조사영역을 감소시켰고 위쪽 경계에서 그 차이값이 가장 컸다. 동등조사영역크기는 한 명을 제외하고 삼차원치료계획에서 이차원치료계획에서보다 작았으며(평균 0.9 ㎝), 신체질량지수, 폐경 여부 및 유방크기(브래지어 사이즈)와의 관련성은 보이지 않았다. 조사된 폐용적은 삼차원치료계획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장용적은 또한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통상적인 이차원 치료계획과 비교하여 전산화단층촬영을 기반으로 한 삼차원치료계획이 작은 유방을 가진 환자에서 방사선조사영역 및 손상위험장기의 조사량을 줄이면서 수술 후 변화를 포함하여 더 정확한 종양치료가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추후 임상표적용적 정의의 합의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lternative Abstract
Simulation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is now widely available for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to treat breast cancer. It is an important tool to help define the tumor target and normal tissue based on anatomical features of an individual patient. In Korea, most patients have small sized brea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margin of treatment field between conventional two dimensional (2D) planning and CT based three dimensional (3D) planning in patients with small breasts.
Twenty-five consecutive patients with early breast cancer undergoing breast conserving therapy were selected. All patients underwent 3D CT based planning with conventional breast tangential fields designed. In 2D planning, the treatment field margins were determined by palpation of the breast parenchyma (In general, the superior : head of clavicle, medial : midline, lateral : mid - axillary line, and inferior margin : 2m below the inframammary fold). In 3D planning, CTV ought to comprise all glandular breast tissue and the PTV was obtained by adding a 3D margin of 1cm around CTV except skin direction. The difference of the treatment field margin and equivalent field size between 2D and 3D planning wer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radiation field margins and factors such as body mass index, menopause status and bra size was determined. Lung volume and heart volume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prescribed breast radiation dose and 3D dose distribution.
The margins of treatment field were smaller in the 3D planning except 2 patients. The superior margin was various especially (average : 2.5 ㎝, range : -2.5 ~ 4.5 ㎝, SD = 1.85). The margin of these target did not varied according across BMI class, menopause status and bra size. The average irradiated lung volum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3D planning. The average irradiated heart volume w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The use of 3D CT based planning reduced radiation field in the early breast cancer patients with small breasts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planning. Though a coherent definition of the breast is needed, CT-based planning generated the better plan aspect of reducing irradiation volume of normal tissue. Moreover it was possible that showed better CTV coverage including postoperativ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