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혁적 리더십의 조직정체성 형성과 조직유효성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조영호 | - |
dc.contributor.author | 김초롱 | - |
dc.date.accessioned | 2019-10-21T07:13:59Z | - |
dc.date.available | 2019-10-21T07:13:59Z | - |
dc.date.issued | 2010-08 | - |
dc.identifier.other | 11150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561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2010.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서 점차 중요시되고 있는 조직정체성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정체성 형성의 여러 원인들 중 변혁적 리더십에 초첨을 맞추어,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정체성의 형성에 영향을 주고 조직정체성은 조직몰입, 직무몰입, 이직의도와 같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실증분석 하였다. 즉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들이 인식한 조직정체성을 매개로 하여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은 개인의 조직에 대한 인식(조직정체성)에도 영향을 주지만, 조직구성원 개인자신에 대한 인식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함께 살펴보았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카리스마 리더십은 조직몰입, 직무몰입, 이직의도 모두의 관계에서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개인배려 리더십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지적자극 리더십은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선 조직정체성의 내용과 조직정체성의 강도의 관계를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즉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한 조직정체성의 내용을 긍정적, 양가적, 부정적 내용의 집단으로 나누어 조직정체성 강도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정체성의 강도 평균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조직에 대해 긍정적 조직 정체성 내용을 가질 수 록 조직정체성의 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논문의 구성=4 1. 연구의 방법=4 2. 논문의 구성=4 제2장. 이론적 고찰=5 제1절. 조직정체성(Organizational Identity)=5 1. 조직정체성의 형성=5 2. 조직정체성의 정의=7 3. 조직정체성의 기능=8 제2절.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10 제3절. 자기효능감(Self Efficacy)=11 제4절. 조직유효성 (Organizational Effectiveness)=12 1.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12 2. 직무몰입(Job Involvement)=14 3. 이직의도 =14 제3장. 실증연구의 설계 =16 제1절. 연구가설=16 1.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16 2.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21 제2절. 연구모형=23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24 1. 변혁적 리더십=24 2. 조직정체성 =24 3. 자기효능감=26 4. 조직유효성=27 5. 통제변수 =28 제4절. 자료수집과 분석방법=29 1. 조사개요 및 표본 구성=29 2. 분석방법 =30 제4장. 실증분석결과=31 제1절. 타당도와 신뢰도 및 상관관계분석=31 1.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31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35 제2절. 연구가설의 검증 =36 1.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36 2. 조직정체성의 주관식 서술 내용에 따른 추가 분석=41 3. 조절효과 분석=45 제5장. 결론 =46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46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48 참고문헌=49 부록. 조직에 대한 기술 응답 예시=56 설문조사서 =58 Abstract=64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변혁적 리더십의 조직정체성 형성과 조직유효성 | - |
dc.title.alternative | The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Ident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Cho-Long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 |
dc.date.awarded | 2010.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8638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150 | - |
dc.subject.keyword | 조직정체성 | - |
dc.subject.keyword | 변혁적 리더십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is is study for organizational identity which is getting important in dynamically changing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d the hypotheses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s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al identity then organizational identity affect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involvement, and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is a factor of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al identity. T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 also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 effectiveness becaus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s not only organization member's perception about their organization(organizational identity) but also self-awareness. The results of mediating effect analysis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identity had a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isma leadership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l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involvement, turnover intention, but organizational identity mediated betwee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intellectual stimulation 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However organizational identity had not mediated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nally, this study added analy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ty contents and organizational identity strength. In other words, after classifying the organizational contents into positive organizational identity group, ambivalent organizational identity group, and negative organizational identity group, I compared the mean of organizational identity strength of each group. This result indicated that positive organizational identity had higher organizational identity strength.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