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요인과 얼굴의 상관분석을 통한 얼굴 설계 시스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경원 | - |
dc.contributor.author | 강선희 | - |
dc.date.accessioned | 2019-10-21T07:13:54Z | - |
dc.date.available | 2019-10-21T07:13:54Z | - |
dc.date.issued | 2010-02 | - |
dc.identifier.other | 10550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543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디어학과,2010. 2 | - |
dc.description.abstract |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지식기반산업시대가 도래하면서 콘텐츠의 양적 증가와 이를 유통하는 매체의 확장이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문화산업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무한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한류의 침체를 비롯, 한국의 문화산업이 전반적으로 위기에 처해있는 가운데 새로운 성장 동력을 갖추기 위해 영화와 게임 산업에서 콘텐츠의 질적 향상이 필요한 때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화와 게임에서 시각적으로 중요한 요소일 뿐만 아니라 수용자에게 정서적 이입을 가능케 하는 캐릭터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HEXACO 성격 이론을 근간으로 사람들의 성격 특성을 조사하고 연구 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둘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성격 이론과 한국인의 얼굴 특성, 관상학에서 사용된 얼굴 요소를 조사하여 실제 데이터를 조사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둘째, 20대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HEXACO 성격 검사와 안면 사진 촬영, 인구통계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을 하기 위해 사진 촬영 장비가 갖추어진 실험실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얼굴 수치 측정 프로그램 Face Recognition을 사용하여 전체 200명의 얼굴 사진의 형태소 데이터 수치를 측정하였다. 셋째, 두 번째 과정을 통해 얻은 성격 요인과 얼굴 수치 데이터의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해 SPSS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둘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마지막으로, 얼굴 설계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이 연구는 사람의 성격 요인과 얼굴 형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성격 요인에 따라 그에 맞는 얼굴을 구현하는 시스템을 제작하여 일반인뿐 아니라 애니메이션 및 게임 캐릭터 개발자에게 성격에 맞는 인상을 형성할 수 있는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I.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II. 배경 이론 1. 성격 이론 2. 얼굴 인상 3. 상관관계 분석 III. 실험 및 데이터 측정 1. 연구 대상 및 실험 방법 2. 얼굴 형태소 별 데이터 측정 3. 이차원 곡선을 이용한 눈, 입 유형 분류 IV. 상관관계 분석 1. 통계 처리 방법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 분석 결과 V. 얼굴 설계 시스템 제작  1. 어플리케이션 설계 2. 어플리케이션 제작 VI.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설문지>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성격요인과 얼굴의 상관분석을 통한 얼굴 설계 시스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a Facial Visualization System by Correlation Analysis of Personality Factors and Face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ang, Seonhee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미디어학과 | - |
dc.date.awarded | 2010.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8604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550 | - |
dc.subject.keyword | Face Shape | - |
dc.subject.keyword | Personality Factors | - |
dc.subject.keyword | Facial Visualization | - |
dc.subject.keyword | 성격요인 | - |
dc.subject.keyword | 얼굴 | - |
dc.subject.keyword | 상관분석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With development of technology, quantitative increase of contents and extend of mediums is rapidly achieved while knowledge-based industrial paradigm is beginning. Especially, the entertainment industry is generating a infinite high value product with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Because of overall crisis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industry of film and game need qualitative improvement to possess new growth power. To solve this problem, Film and game need to research on character development. Personality and face shape are able to represent one’s attributes. Also,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Personality and face shape to some degree. This study attempts to build a facial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factors and face shape. First, we have prepared basic data to measure real data by searching personality theories, face property of Korean and face elements in physiognomy. Second, we did the experiment on HEXACO, picture-taking of face and demographic factors from 200 women in their twenties. This experiment is processed in identical condition. To experiment in identical condition, we fixed a chair and lights. Also, we used 105mm lens for minimize distortion of face. And we measured numerical value of face by using the Face Recognition from 200 face shots. Third, this study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factors and face shape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of SPSS (12.0 for Windows). This study particularly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face shapes based on physiognomy and measured numerical value of face by using the Face Recognition. Finally, we have produced ‘Face Deformation’, a facial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factors and face shape. This application shows the variation of face shape in real-time that derive from twelve personality factors. User can be possible to adjust a control bar by first to fifth levels, and discover the face shape that is based on the personality. This study can help professional people such as game and animation designers, and normal users as well, in order to create suitable facial shapes for personality factors. In addition, the system offer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range of methodology on research of animation character.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