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저수지의 용존성 물질과 부유물의 먹이질이 물벼룩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상규-
dc.contributor.author남성진-
dc.date.accessioned2019-10-21T07:13:27Z-
dc.date.available2019-10-21T07:13:27Z-
dc.date.issued2010-02-
dc.identifier.other10767-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442-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과학과,2010. 2-
dc.description.abstract물벼룩은 호소 생태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을 섭식하는 강력한 소비자이고 최종소비자인 어류에게는 좋은 먹이가 됨으로서 호소 먹이사슬에서 생산자가 만든 에너지를 최종소비자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국내의 많은 저수지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물벼룩 대신 윤충류나 코끼리물벼룩과 같은 작은 동물플랑크톤이 우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농업용 저수지에서 물벼룩이 군집을 이루지 못하는 이유를 알아보고자 물벼룩이 우점하고 있으며 산 아래에 위치하여 오염원 유입이 적은 상천저수지와 작은 동물플랑크톤이 우점하고 있으며 주변 마을에서 농·축산 폐수의 유입이 많은 신구저수지를 비교하였다. 두 저수지의 잠재된 동물플랑크톤 군집을 비교한 결과 상천저수지의 경우 물벼룩이 우점한 반면 신구저수지는 윤충류가 우점하였다. 이는 신구저수지 저토에 물벼룩의 휴면란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며 휴면란이 없기 때문에 저수지에 물벼룩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휴면란이 없어진 원인으로 한 해 동안 충분한 개체군을 모으지 못해 저토 속 물벼룩 휴면란 보유량이 점차 줄어 들었을 것으로 보고 물벼룩이 군집을 충분히 이루지 못한 원인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는 저수지 주변에 농지들이 많으며 농가로부터 농·축산 폐수가 많이 유입되므로 폐수 속에 있는 농약이나 약물 같은 화학물질들이 물벼룩의 생활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국내의 많은 저수지들이 여름철에 물벼룩에게 좋은 먹이가 되지 못하는 남세균이 우점하는 녹조가 일어난다. 9월 신구 저수지의 부유물을 제거한 저수지 물에서 키운 물벼룩과 부유물을 먹인 물벼룩 모두 상천저수지의 물벼룩의 개체군에 비해 성장률이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두 경우 모두 양의 개체군 성장률을 보여 두 가지 요인이 물벼룩의 개체군의 수를 감소 시켰다고 볼 수 없다. 1월의 경우 신구저수지의 용존성 물질과 부유물이 물벼룩 개체군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볼 수 없었다. 앞으로 상위영양단계 생물들에 의한 포식압이 물벼룩의 개체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여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 1 Table of Contents = 3 List of Figures = 4 List of Tables = 6 Ⅰ. Introduction = 7 Ⅱ. Material and Mathods = 10 A. Study site and sample collection = 10 B. Experimental algae and animals = 13 C. Egg bank experiment = 15 D. Daphnia resting egg isolation and hatching experiments = 17 E. Life table experiments = 18 F. Flow-through experiments = 19 G. Analyses of food quality indices of algae = 20 Ⅲ. Results = 22 A. Egg bank experiment= 22 B. Hatching experiments = 26 C. Life table experiments = 26 D. Flow-through experiments = 28 E. Fatty acid compositon of three sestons = 32 Ⅳ. Discussion = 35 Ⅴ. Reference = 38 Ⅵ. 국문요약= 45-
dc.language.isoeng-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두 저수지의 용존성 물질과 부유물의 먹이질이 물벼룩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dissolved substances and seston food quality of two reservoirs on Daphnia population-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ungjin Nam-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생명과학과-
dc.date.awarded2010.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8462-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767-
dc.subject.keywordDaphnia population-
dc.subject.keyworddissolved substances-
dc.subject.keywordseston food quality-
dc.subject.keyword용존성 물질-
dc.subject.keyword부유물-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o elucidate important factors in occurrence of Daphnia in South Korea, we compared two reservoirs which showed very different zooplankton communities: Sangchun reservoir and Singu reservoir. Sangchun reservoir is dominated by macrozooplankton such as Daphnia, whereas Singu reservoir is dominated by small zooplankton without Daphnia. We hypothesized that dissolved substances and food quality of seston is most important factors for Daphnia occurrence. Daphnia population size in lakes or reservoirs is affected by hatching abundance, growth, survival and reproduction of each individuals. First, we conducted an egg bank experiment using sediments and filtrates of two reservoir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potential zooplankton community and effects of each dissloved substances on zooplankton. Hatching experiments and life table experiments using filtrates of two reservoirs were performed for 3 weeks. Through flow-through experiments, we examined effects of seston on growth of Daphnia rosea. Except for the egg bank experiment, ever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wice at January and September, 2009. In Singu reservoir sediment, rotifers were most dominant (95%) and Daphnia hatched only one individual, whereas cladocerans (88%) dominated hatchlings from Sangchun sediment. For hatchling abundance of D. rosea, dissolved substances did no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both experiments. In life table experiments, the population growth rate (0.296 day-1) at Sangchun reservoir treatment were slightly higher than Singu (0.284 day-1).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flow-through experiments. Population growth rates of D. rosea fed with natural seston from Sangchun reservoir were higher than D. rosea fed with Singu seston. In this study, our results suggest that small amount of resting eggs in the sediment at Singu is the reason of disapperance of Daphnia. Although our results suggested that dissolved substances and seston of Singu reservoir in summer reduce population increase of Daphnia, we could not explain no occurrence of Daphnia by such two factors since population rates was still positive values for dissolved substances and seston from Singu.-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Bioscienc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