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타졸라마이드 투여 CT 관류 영상을 이용한 경동맥 스텐트 시술 후 과관류 증후군의 위험도 예측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용-
dc.contributor.author김은진-
dc.date.accessioned2019-10-21T07:12:59Z-
dc.date.available2019-10-21T07:12:59Z-
dc.date.issued2008-08-
dc.identifier.other9130-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361-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2008. 8-
dc.description.abstract과관류 증후군은 경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에서 기존에 뇌혈역학적 장애가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시술 전 대뇌혈관반응성 (CVR)을 아세타졸라마이드 투여 CT 관류영상으로 측정하여 경동맥 스텐트 시술 후 과관류 증후군의 위험도가 높은 환자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증상이 있는 단측 또는 양측의 70% 이상의 경동맥 협착이 있는 12명의 환자에서, 뇌혈용적 (CBV), 뇌혈류량 (CBF), 평균통과시간 (MTT), CBF 의 퍼센트 변화 등과 같은 관류 변수를 경동맥 스텐트 시술 전, 시술 후 1일, 시술 후 3개월에 아세타졸라마이드 투여 전후 CT 관류영상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CBV, CBF, MTT의 정상 퍼센트 변화는 12 명의 연령 및 성별 대조군에서 결정하였다. 질적 CVR 분석 결과, 시술 1일 후 환측 CBF의 증가는 CVR이 감소된 군과 정상인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7 ± 3.6 % vs 7.0 ± 10.9 %, P > 0.05). 3개월 후 CBF의 증가는 대부분 정상화되었다. 양적 CVR 분석에서는, 양적 CVR 등의 CT 관류 변수 값과 시술 1일 후 CBF 증가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CVR이 감소할수록 CBF 변화값이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스텐트 1일 후 CBF 증가가 최대인 사례는 CVR이 감소된 군에서 보였다. CVR이 감소된 군과 정상인 군 모두에서 과관류 (CBF 증가가 기저 값에서 100% 이상 증가) 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경동맥 스텐트 시술 전의 CT 관류 영상의 변수들은 시술 1일 후 CBF 증가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련을 보이지 않았으나, 양적 CVR은 시술 후 CBF 증가와 연관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 1 II. MATERIALS AND METHODS = 4 A. Study Population = 4 B. CT Imaging Protocol = 5 C. CT Data Processing = 6 D. Data Analysis = 7 E. Statistical Analysis = 8 III. RESULTS = 9 IV. DISCUSSION = 13 V. CONCLUSION = 15 REFERENCES = 16 국문요약 = 21-
dc.language.isoeng-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아세타졸라마이드 투여 CT 관류 영상을 이용한 경동맥 스텐트 시술 후 과관류 증후군의 위험도 예측-
dc.title.alternativeKim, Eun Jin-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Eun Jin-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8.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7353-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130-
dc.subject.keywordCT perfusion-
dc.subject.keywordcarotid artery stenosis-
dc.subject.keywordhyperperfusion-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Hyperperfusion syndrome can occur in patients with preprocedural cerebral hemodynamic impairment who candidate for carotid stent. We investigated whether preprocedural measurement of cerebrovascular reserve (CVR) by using CT perfusion (CTP) with acetazolamide (ACZ) challenge could identify patients at risk for hyperperfusion after CS. For 12 patients with symptomatic unilateral or bilateral carotid stenosis (> 70%), hemodynamic parameters including cerebral blood volume (CBV), cerebral blood flow (CBF), mean transit time (MTT), and percent change of CBF were investigated before, 1 day and 3 months after CS, with resting and ACZ-challenged CTP. Normal percent changes of CBV, CBF, and MTT were determined in 12 age and sex-matched normal controls. On the qualitative CVR analysis, ipsilateral CBF increase on the first postprocedural da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reduced and the normal CVR group (1.7 ± 3.6 % vs. 7.0 ± 10.9 %, P > 0.05). Three months later, this increase was almost normalized. On the quantitative CVR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s of preprocedural CTP parameters and CBF increases in 1 day after CS, however quantitative CVR showed fair correlation with CBF increase. Maximum 1 day CBF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reduced CVR group. Hyperperfusion (CBF increase of > 100% compared with baseline values) was not observed in both reduced and normal CVR groups. The values of CTP parameters before C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BF increase 1 day after CS. Quantitative CVR showed fair correlation with the percent change of CBF 1 day after CS.-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Medicin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