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음식물류폐기물 폐수의 육상처리 방안 및 관리정책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상은 | - |
dc.contributor.author | 김동식 | - |
dc.date.accessioned | 2019-10-21T07:12:30Z | - |
dc.date.available | 2019-10-21T07:12:30Z | - |
dc.date.issued | 2008-08 | - |
dc.identifier.other | 9382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274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환경공학과,2008. 8 | - |
dc.description.abstract | 음식물류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가 대부분 해양 배출의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으나 2013년부터는 해양배출이 전면 금지 될 예정에 있다.또한 정부에서는 연차적으로 해양배출의 규제강화와 감축정책이 시행되고 있어 이에 따른 음식물류폐기물 처리폐수를 안정 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음식물류폐기물 처리폐수의 육상처리 전환대책 및 방안과 앞으 로의 경기도 관리정책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음식물류폐기물 처리폐수의 해양배출 처리방법을 육상처리 방법 으로 전환하는 것보다 가정,음식점 등의 음식물류폐기물 발생단계부터 원천적으로 발생량을 억제하고 감량화 하는 정책이 최우선되어야 한다. 둘째,음식물류폐기물 처리폐수의 육상처리 전환대책은 공공 처리시설 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폐수 전처리시설을 설치하여 하수종말처리장 등 의 환경기초시설에 연계 처리를 하여야 하며,민간 처리시설의 경우에 는 수도권매립지 침출수처리장으로 이송 처리하거나 자체 시설을 설치 및 재활용업체에 위탁 처리하는 방법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셋째,해양에 배출되는 음식물류폐기물의 폐수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음 식물류폐기물 폐수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및 메탄 등을 생산하는 연료 화 시설을 설치하거나 음식물류폐기물을 축분 등의 유기성폐기물과 혼 합하여 신·재생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는 폐기물에너지 정책을 적극 추진하여야 한다. 이러한 정책 제안은 음식물류페기물의 폐수에 대한 해양배출 규제가 강화되더라도 경기도 음식물류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처리함은 물론,해 양에 버려지던 유기성자원을 육상에서 자원하여 자원순환기반을 구축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로 심각해지는 지구온난화 및 환경오염 문 제의 대안으로서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제안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분석 방법 = 3 제3절 우리나라의 폐기물 해양배출 제도 및 현황 = 4 제2장 경기도 음식물류폐기물 폐수의 발생 및 처리 현황 = 10 제1절 경기도 음식물류폐기물 폐수의 발생 및 처리현황 = 10 제2절 경기도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현황 = 16 제3절 타 지역에서 반입되는 음식물류폐기물 현황 = 22 제3장 음식물류폐기물 해양배출 규제에 따른 문제점 = 27 제1절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 27 제2절 타 지역에서 반입되는 음식물류폐기물의 문제점 = 36 제4장 경기도 음식물류폐기물 페수의 처리방안 = 40 제1절 음식물류폐기물의 감량화 정책 = 40 제2절 음식물류폐기물 폐수의 육상처리 전환대책 = 51 제3절 타 지역에서 반입되는 음식물류폐기물의 관리대책 = 58 제4절 음식물류폐기물의 신재생에너지 추진방안 = 61 제5장 결론 = 66 참고문헌 = 68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경기도 음식물류폐기물 폐수의 육상처리 방안 및 관리정책 | - |
dc.title.alternative | kim, dong sik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dong sik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산업대학원 환경공학과 | - |
dc.date.awarded | 2008.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7135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382 | - |
dc.subject.keyword | 경기 | - |
dc.subject.keyword | 음식물류폐기물 | - |
dc.subject.keyword | 폐수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A Policy Proposal for the Stable Inland Treatment of Wastewater discharged from Food Waste in Gyeonggi Province Currently, most wastewater generated from food waste treatment processes is dumped into the ocean. However, from 2013, the ocean dumping of food waste will be completely bann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by Dumping of Wastes. In tandem with this, the Korean government is gradually strengthening policies to reduce the generation of food waste and restrict the ocean dumping of food waste water. Accordingly, more efficient measures need to be devised for the stable treatment of waste water stemming from food waste. This study suggests several approaches for conversion from the current ocean treatment method to an inland treatment method for food waste water generated in Gyeonggi Province as well as policy direction for food waste management by the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as follows: First, mor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to control or reduce food waste from the initial stages of generation in homes and restaurants rather than seeking to dispose of food waste water on land. Secondly, in order to safely treat food waste water only on land, the food waste water originating from public food waste treatment facilities should first go through a pretreatment system and then be conveyed to terminal sewer treatment facilities. As for private food waste treatment facilities, they should either install their own waste water equipment or consign the waste water to other public or private facilities capable of treating the waste water such as the leachate treatment facility managed by the Sudokwon (Capital Zone) Landfill Site Management Corporation. Thirdl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Gyeonggi Province increase and improve its 'waste-to-energy' facilities. There are two types of such facilities: one generates energy such as methane or biogas out of food waste water, and the other generates renewed energy out of food waste combined with organic waste such as livestock excrement. It is true that the tightened regulations on ocean dumping have emerged as a new challenge for Korea's waste policy. However, the approaches suggested by this paper will make it possible not only to stably treat food waste in Gyeonggi Province but also to consolidate a systematic resources circulation system and resolve pending environmental issues including the increasingly serious global warming trend.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