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에 대응하는 노인주거 문화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권순정 | - |
dc.contributor.author | 김기흥 | - |
dc.date.accessioned | 2019-10-21T07:12:27Z | - |
dc.date.available | 2019-10-21T07:12:27Z | - |
dc.date.issued | 2008-08 | - |
dc.identifier.other | 9393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267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도시개발학과,2008. 8 | - |
dc.description.abstract | 인류사회를 떠 바치고 있는 지구는 21세기에 고령화라는 전대미문의 사회를 만들어내고 있다. 그것은 산업화 사회를 주도하던 서구 선진국들로부터 시작되어 이웃 일본과 한국의 사회를 노인들로 채워가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한국의 사회고령화 진전 속도는 일본이 이루어 놓은 사회 고령화에 대한 세계적 기록들을 갈아치우고 있어, 피해갈 수 없는 사회적 현실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서둘러야만 할 때다. 특히 여성인력의 사회 진출과 결혼 연령의 지연으로 인한 출산율 저하는 사회 고령화의 촉매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식생활 개선과 의술의 발달 등에 의한 인간의 기대수명 연장 또한 고령 노인의 숫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고령화는 우리나라 노동환경과 경제 환경, 보건의료 환경, 노인복지 환경 등 많은 사회 분야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이며, 그에 따르는 사회적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저소득층 노인들에 대한 주거 안정화를 위한 노인 임대주택의 건설과 후기고령인구의 증가에 따른 유병장애 노인들을 위한 복지 시설 건립에 소요되는 비용 등 노인을 위해 필요로 하는 사회적 비용의 증가는 우려해야 할 수준에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환란 이후 정년의 기준이 무너지면서 속수무책으로 직장에서의 역할 상실로 은퇴를 해야 하는 비 노인 그룹의 유입으로 인한 실질적 비생산 사회고령화 율은 총인구에 대한 65세 이상 인구의 비로 나타내는 고령화 지수와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산업화 이후 자녀들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기대하며 농촌을 떠나는 이른바 이촌향도 영향으로 도시는 급속팽창하고 농촌은 급속히 축소되어 도시는 젊은이들로 넘치고 농촌은 노인들로 구성되는 사회적 기현상은 최대의 생산과 최소의 소비로 양분되는 격차사회를 만들어 놓았다. 이러한 사회적 기현상을 해소하고 막대한 사회적 비용의 투입을 늦추거나 억제 시키고, 노인들의 주거안정 등을 위한 주거공동체에 대한 실행 가능한 요소들을 적용하여, 한국적인 주거공동체를 형성함으로써 노인들이 가족들과 함께 안정된 주거에서 활동 가능한 역할을 수행하며 무병의 삶을 연장할 수 있는 지역 정착 노인공동체 주거를 도입할 때이다. 우리나라 주거공동체의 기반은 ‘가족’이어야 하며, 가족을 단위로 하는 확대가족 공동체와 비 혈연 공동체를 비롯하여 이웃 간 관계결속을 통한 결합 공동체 등 지역정착 형 공동체와 뜻을 같이하는 구성원들이 원하는 지역과 주거공간에서 같이 모여살 수 있는 이주 형 공동체 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연령통합을 통한 주거공동체 문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맞벌이 부부가 자녀의 양육과 노인의 부양에 대한 부담으로부터 벗어나 직업과 육아를 성공적으로 결합시켜주는 주거공동체가 형성되어야 한다. 둘째, 이웃 간 관계 개선을 통한 주거공동체 문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폐쇄와 단절의 상징인 물리적 담장 허물기와 함께 마음의 담장 열기가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계층 간 소통을 통한 주거문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경제적, 계층적, 위치적 지위에 대한 우리나라 사회의 구조적 결함인 학벌과 학위 차와 빈부의 격차, 남녀노소의 간극과 도 농 편차 등이 해소되어야 한다. 넷째, 사회 환경의 회복과 주거공동체 문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에게 편리한 인프라 구축과 도시녹지의 회복이 필요하다. “도시의 그늘이 노인들의 여름나기에 얼마나 중요한 자원이며, 도시의 그늘이 노인들이 겨울나기에 얼마나 해로운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다섯째, 미래를 지향하는 공동체 주거문화의 고착화를 위해서는 개인중심 문화에서 집단중심 문화로 전환해야 한다. 사람들은 세상살이를 마치 스스로 지탱해 나가는 것 같이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 보조적 관계로 연결되어 서로를 비추고 있는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관과 해서는 안 된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고령사회 노인주거문화의 새로운 대안이 우리나라 미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지속가능한 노인 사회 만들기의 기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 1 1.2 연구의 목적 = 3 1.3 연구의 범위 = 4 1.4 연구의 진행 = 5 1.5 용어의 정의 = 6 제2장 고령사회 및 주거문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 7 2.1 사회 고령화의 정의 = 7 2.2 노인과 노화의 정의 = 8 2.3 인구고령화가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 = 11 2.3.1 노동 환경적 측면 = 11 2.3.2 경제적 측면 = 12 2.3.3 보건의료 환경적 측면 = 13 2.3.4 노인복지 측면 = 14 2.4 새로운 세기 노인주거문화의 정의 = 17 제3장 선진 고령사회의 주거문화 분석 = 19 3.1 일본 = 19 3.1.1 일본의 고령사회 = 19 3.1.2 Co - Operative 방식의 공동주거 = 21 3.1.3 꿈을 실현하는 마을 = 22 3.1.4 다세대형 컬렉티브 하우징 = 23 3.2 덴마크 = 24 3.2.1 협동체 코 하우징 = 24 3.2.2 토네방스 고든 = 25 3.2.4 딩고든 = 26 3.2.5 게오르그스 리스트후스 = 26 3.3 미국 = 27 3.3.1 코 하우징 추진 배경 = 27 3.3.2 사우스 사이드파크(South Side Park) = 27 3.3.3 도일스트리트(Doyl street) = 28 3.3.4 엔 스트리트 코 하우징(N street co-housing) = 28 3.4 호주와 뉴질랜드 = 29 3.4.1 캐스케이드 코 하우징 = 29 3.4.2 어스 송 마을(Earth song Eco-Neighbourhood co-housing) = 29 3.5 선진고령사회의 노인주거문화 특성 = 30 제4장 우리나라 노인주거문화의 변화 필요성 = 33 4.1 우리나라 노인주거문화의 변화 필요성 = 33 4.1.1. 근 현대사를 통한 주거문화의 급격한 변화 = 33 4.1.2. 계층 간 문화적 격차의 심화 = 34 4.1.3. 산업화로 인한 사회구조의 양극화 = 36 4.1.4. 우리나라 주거문화의 정체성 상실 = 37 4.2 우리나라 노인주거의 사회적 현상 = 38 4.2.1. 주거의 형태에 따른 사회계층의 고착화 = 38 4.2.2. 생활시설의 지역 간 편중 심화 = 39 4.2.3. 가족 구성원 간 주거관의 사회적 제한 = 41 4.2.4. 급변하는 사회와 정체된 주거환경의 불일치 = 43 제5장 고령사회 노인 주거문화의 새로운 대안 = 45 5.1 연령통합을 통한 가족공동체 문화 구현 = 45 5.1.1. 가족 간 주거의 일체화 = 45 5.1.2. 가족친화 공동체 형성 = 46 5.1.3. ‘孝’ 문화를 통한 질서 환경 회복 = 48 5.2 이웃 간 관계 개선 및 동네공동체 문화 구현 = 50 5.2.1. 이웃 간 관계의 결속 = 50 5.2.2. 비 혈연 공동체 형성 = 51 1) 이웃공동체에 필요한 계획 공간들 = 52 2) 공동생활 시설의 필요성 = 53 5.3 계층 간 소통을 통한 주거문화 구현 = 54 5.3.1. 노인사회의 격차 해소 = 54 5.3.2. 요새도시(Fortified City)화의 억제 = 55 5.4 사회 환경의 회복과 주거공동체 문화 구현 = 57 5.4.1. 도시의 잃어버린 자연의 회복 = 57 5.4.2. 무장애 도시(Barrier Free City)의 실현 = 60 5.4.3. 노인의 사회참여 확대 = 62 1) 노화를 지연하는 봉사활동 = 62 2) 노인들이 주도하는 동네 만들기 = 62 5.4.4. 노인 주거의 미래 환경 개선 = 64 5.5 미래를 지향하는 공동체 주거문화 제안 = 66 5.5.1. 개인중심문화에서 집단중심 문화로 = 66 5.5.2. 노인들을 위한 거주 기반 조성 = 67 1) 노인들의 주거환경 = 67 2) 노인들을 위한 공동체 = 70 5.5.3. 노후를 노인답게 살기 = 71 5.5.4. 새로운 ‘삶 터’ 만들기 = 73 1) 결속에서 만나는 즐거움 = 73 2) 협동에서 얻는 행복 = 74 3) 참여를 통한 풍요로움 = 75 5.6 주거공동체의 유형 및 사회적 영향 = 77 제6장 결론 = 78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노인주거 문화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Kim, Ki-Heung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Ki-Heung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산업대학원 도시개발학과 | - |
dc.date.awarded | 2008.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7121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393 | - |
dc.subject.keyword | 고령사회 | - |
dc.subject.keyword | 노인주거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In 21st century, the earth is facing ageing society, which is almost unparalleled in human history ever. It was started from western developed countries which had led industrialization, and Korea and Japan are not the exceptions anymore. Especially, the speed of social ageing in Korea is fast enough to break all the world records related to ageing which were recorded by Japan. Therefore, we have to take appropriate precautions against social reality which we can not avoid. Especially, as women workforce goes into society and late marriage rate increases, birth rate got to decrease dramatically and it acted as a catalyst on ageing society. Moreover, a person's average life span is expected to be extended by the improvement of our diet and development on medicine, which definitely contributes on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old. This ageing society causes a lot of problems on labor, economical, healthcare, elderly welfare environment, and so on, which produces social pressure. It has been continuously warned that social costs for elderly such as stabilizing housing problems, establishing welfare centers and so on, increases by large degree. Furthermore, for the policies which are related to the standard of working age collapsed, we got to have more concerns about unemployed young people who can still provide workforce. Since industrialization era, rural area has been minimized as young generation leaves countries and move to the cities. Naturally, city got to be full of young people and over populate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only old people left in rural areas. It brought huge disparities and gaps. This is the right time to adjust the format of regional settlement community for the aged, which will extent the healthy lives and enable them to perform their own work in their secure place with their family by forming Korean residential community. The foundation of residential community in Korea should be 'family'. I propose the scheme about migrating community which consists of extended families and other groups which are not based on the same blood. Also I will suggest the ways that residents can cooperate together and live harmoniously where they want to live. Firstly, in order to realize residential community-culture based on the age integra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ressure of both parents who work outside the home so that they can be released from the pressure of feeding child and support elderly. Secondly, not only demolishing barrier which is the symbol of closures and severance, but also opening neighbors' mind have to be carried out in order to realize residential community-culture through improving relationships among neighbors. Thirdly, we have to solve the gap between men and women, old and young, rich and poor, and urban and rural, and discrimination on academic clique which has been causing structural problems among society. It will bring harmony and actualize healthy residential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among classes. Fourthly, in order to recover the social environments and realize residential community-culture, it is crucial to build a firm infra for elderly and recover the green area in cities. We shoul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shadows in cities especially in summer, but we also have to consider that shadows of the trees can be harmful for the old to go through all the winter. Lastly, in order to adhere the society of residential community, we have to change individual-centered culture into group-centered culture. People tend to think living depends on each individual, however,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it is all related invisibly, lightening each live. This proposal which was sugges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foundation to establish sustainable aged society which Korean future need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