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직 내 리더십에 대한 성별 및 성차별적 조직 환경의 효과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선이 | - |
dc.contributor.author | 송아영 | - |
dc.date.accessioned | 2019-10-21T07:12:13Z | - |
dc.date.available | 2019-10-21T07:12:13Z | - |
dc.date.issued | 2008-08 | - |
dc.identifier.other | 9342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222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응용사회과학과,2008. 8 | - |
dc.description.abstract | 최근 사기업은 물론 정부조직에서도 행정고시, 사법고시를 통해 고위 관리직으로 진출하는 여성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 여성 관리직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회진출 증가와는 다르게 여성이 고위 관리직으로 진출하기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 원인에는 여러 가지 현상들이 있겠지만, 본 논문에서는 여성의 리더십이라는 현상에 초점을 맞춰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5개의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하며, 특히 여성부와 다른 4개 정부기관과의 비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할 것이다. 여성부는 여성 비율이 높고 여성 문제와 여성 정책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리더십 유형이나 효과성에서 다른 조직과는 비교되는 특성이 발견될 것이라 생각한다. 본 논문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하들은 리더의 성별에 따라 리더십 스타일과 효과성에 대한 평가를 다르게 할 것이다. 둘째, 부하들의 평가는 정부기관에 따라 조직 내 성차별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셋째, 부하들의 평가는 정부기관에 따라 리더십 스타일과 효과성에서의 성차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성별에 따른 리더십 스타일 평가 차이에서는 여성 리더가 남성리더보다 관계지향적 리더십 스타일이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리더의 성별에 따른 리더십 효과성 평가 차이에서는 관리능력에서 남녀 리더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여성부와 다른 4개 정부기관 간 조직 내 성차별적 수준에 대한 분석에서는 여성부가 성역할 고정관념과 반여성적 조직관행이 다른 정부기관에 비해 약한 조직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부는 리더십 효과성에서 다른 4개 정부기관에 비해 현저히 낮은 평가를 받았고, 정부기관들 중에서 가장 최하의 평가를 받은 리더는 여성부의 여성 리더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의의는 기존연구에서 필요성은 많이 제기되어 왔지만 실제 이루어진 사례가 많이 없었던 남녀 리더십 비교 연구라는 점과, 정부기관 중에서 여성부를 다른 기관들과 비교하여 연구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여성부가 여성들에게 비교적 우호적인 조직임에도 불구하고 리더십 효과성이 전체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은 원인을 유추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 5 제2장 이론적 논의 = 6 제1절. 성별이 리더십 스타일과 리더십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6 제2절. 여성리더십에 대한 조직 환경의 영향 = 15 제3장. 연구 설계 = 24 제1절. 연구모형 = 25 제2절. 가설의 설정 = 26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 30 제4절. 연구자료 및 방법 = 37 제5절. 자료 분석 방법 = 38 제4장. 분석결과 = 39 제1절. 기초통계분석 = 39 제2절. 신뢰도 검증 = 42 제3절. 가설의 검증 = 45 제5장. 결론 및 한계점 = 56 <참고문헌> = 63 <Abstract> = 71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정부조직 내 리더십에 대한 성별 및 성차별적 조직 환경의 효과 | - |
dc.title.alternative | Song, Ah-young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ong, Ah-young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응용사회과학과 | - |
dc.date.awarded | 2008.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7049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342 | - |
dc.subject.keyword | 리더십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e entry of women public sector has increased. This is not only true in the private enterprise but also in government organizations that are entered into through the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 of Administration and the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 of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However, becoming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 remains especially difficult for women. The many factors that have led this situation, as it pertains to leadership roles played by women n korea, form the focus of this thesis. This paper investigates five government organizations, focusing on a comparis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with the other organization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has a high percentage of women members. It serves to manage affairs and policies related to women. Thus, the workings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re unlike those of other organization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aluations by those individuals considered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as followers differ according to their leader's gender as they pertain to the leadership Style and effectiveness. Second, followers' evaluations differ by the level of gender discriminatory in the organization. Third, followers' evaluations in terms of leadership style and effectiveness differ according to the specific government organization. To test these hypotheses, data collected by Lee et al,(2004) were analyzed. The key findings are summarized below. First, female leaders scored higher by their followers than male leaders in terms of a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style. Second, male leaders scored higher than female leaders in term of leadership effectiveness management ability as measured by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Thir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is considered to be weaker compared to other organizations in terms of gender-role stereotypes and organizational customs that are hostile to women. Fourth, the effectiveness of leaders in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were significantly lower overall compared to other organizations, and the women leaders associated with this organization scored the lowest among all government organizations. At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sex ratio and a gender discriminatory environment mostly do not exist, that is, the organization is friendly to women. Yet evaluations by followers rank relatively low in terms of leadership effectiveness. | - |
dc.title.subtitle | 부하들의 리더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