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영재교육을 위한 전자교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완-
dc.contributor.author서봉현-
dc.date.accessioned2019-10-21T06:48:16Z-
dc.date.available2019-10-21T06:48:16Z-
dc.date.issued2008-02-
dc.identifier.other6226-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6905-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E-러닝,2008. 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면대면 영재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학습자 주도적으로 계획, 실행, 적용, 평가, 수정 및 보완 등의 절차를 통해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전자교육 학습 지원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전자교육 학습 지원 시스템은 일반적인 탐색활동단계에서 전략적인 심화활동과 생성적 심화활동을 거쳐 자기성찰 및 평가를 통해 또 다른 탐색활동을 유발하는 4단계 학습모형에 따라 설계되었다. 이 모형의 기본적인 4단계는 Renzulli의 심화학습 3단계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지속적으로 순환하도록 되어있으며 Treffinger나 Grow 등이 제시한 자기주도적 학습모형을 참고하여 각 단계별로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기주도성의 변화를 구체적인 교사, 학생의 역할을 통해 학습자로 완전히 이양될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이를 위하여 영재아동에게 적합한 문제중심학습 기반 e-프로젝트 학습방을 중심으로 e-클래스, e-지식방 e-멘토링 등의 다양한 학습 지원 환경을 구성하였다. 전자교육 학습 지원 시스템은 영재교육에 적합한 전자교육 학습 모형을 온라인 상으로 구현하였으며 웹 기반 프로젝트를 위해 e-프로젝트 학습 절차에 따른 자기주도적인 학습라인을 고려하였다. 또한 학습자 진도 및 과정 체크, 평가에 대한 피드백 지원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학습환경을 강조하였으며 교수자-시스템-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위한 커뮤니티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산출물을 정보의 재구성 및 재사용을 위한 학습 객체로의 인식전환을 강조하였으며 내재적 동기유발 및 학습지속성을 위한 전략을 고려하였다. 실제 경기도 P시에 소재한 N초등학교 영재교육을 위해 2007년 7월부터 적용되었으며 개발된 전자교육 지원 시스템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영재교육 지도교사 16명과 영재교육 대상자 중 52명을 선정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교수학습지원평가와 기술지원평가의 2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학습안내 및 준비, 학습자 정보안내, 프로젝트 지원, 상호작용 지원, 평가 지원, 시스템의 전반적인 사용의 편리성, 정확성, 심미성 등 8가지 준거에 따라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지도교사와 학습자의 사용성 평가 결과 특히 교수학습 지원 영역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세부적으로는 학습안내 및 준비, 학습자 정보안내, 프로젝트 지원부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지도교사의 종합적인 평가를 살펴보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평가지원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어졌고 학습자의 종합적인 평가에서는 적극적이고 지속성을 고려한 상호작용을 위해 채팅이나 아바타 등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능이 요구되어졌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초등 영재교육에서 전자교육의 활용에 관한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 5 3. 용어의 정의 = 6 4.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8 1. 영재교육과 전자교육 패러다임 = 8 2. 영재교육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접근법 = 11 3.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 15 4. 초등 영재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전자교육 교수·학습모형 = 23 Ⅲ. 설계 및 개발 = 42 1. 설계의 기본 방향 = 42 2. 세부사항에 대한 설계 = 46 3. 개발 = 52 Ⅳ. 형성 평가 = 83 1. 연구 대상 = 83 2. 연구 도구 = 85 3. 연구 절차 = 87 4. 평가 결과 = 87 Ⅴ. 요약 및 결론 = 92 1. 요약 = 92 2. 결론 = 94 3. 제언 = 95 참고문헌 = 99 부록 = 105 ABSTRACT = 119-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초등 영재교육을 위한 전자교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c.title.alternativeSeo, Bong-hyun-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eo, Bong-hyun-
dc.contributor.department교육대학원 E-러닝-
dc.date.awarded2008.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6506-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226-
dc.subject.keyword전자교육-
dc.subject.keyword이러닝-
dc.subject.keyworde-Learning-
dc.subject.keyword영재-
dc.subject.keyword영재교육-
dc.subject.keyword초등영재-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is research aims at planning and developing an e-Learning system which effectively and progressively supports a project through procedures such as application, evaluation,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by initiative learning. The e-Learning system which was developed in this research follows a 4-step learning model - firstly, general research activity, secondly, formulate a strategic method, thirdly, create an in-depth activity (with self-examination and evaluation) and finally, this process can be repeat with an other search activity. This basic 4 step model, which can be repeated continuously is based on Renzulli's Enrichment Triad Model. Also, this model was developed which is based on Treffinger and Grow‘s theory, so that self-leading ability can move from teachers to students completely with teachers and students taking specific roles. For this supporting 4 step model, a diverse learning environment is provided to talented students such as e-class, e-information corner, e-mentoring based on problem solving learning systems, which are all good for talented students. The e-Learning system is the embodiment of an e-Learning model for advanced education on-line. It is considered a self-leading study method following e-project studying procedure for web projects. Also it focuses on a learning environment for talented students(and in some cases, instructors), by checking their progress and methods, giving feedback about self-evaluation, and focusing on a community for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system and learners. Emphasis is placed on ease of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results, which are simply learning objects for reusing or reproducing knowledge, and on considering the strategy for inner motivation and learning durability. This system has been applied in N-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P-si for advanced education since July, 2007. 16 advanced-education teachers have been selected, and 52 talented students have been used to evaluate to the usability of this developed e-Learning system. Evaluation of the usability of the system is divided into instructional and learning support evaluation and technical support evaluation, which comprise 32 questions following 8 conformities (1-study guidance and preparation, 2-learners information guidance, 3-project support, 4-interaction support, 5-evaluation support, 6-ease of use, 7-precision, 8-aesthetic appreciation) The evaluation of instructors' and learners' usability, especially, got a high score in the instructional and learning support parts. In particular, study guidance and preparation, information guidance and project support parts got a high score. However, there needs to be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function for supporting evaluation in instructors' evaluation, and it needs a community function which can utilize chat or use avatars for positive and continuous interaction. This research is presented as an on-going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for e-Learning practical use in elementary advanced education.-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E-learn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