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담당자의 직무수행 빈도와 중요성 인식 차이분석 - 평생교육기관 유형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최운실 | - |
dc.contributor.author | 조정옥 | - |
dc.date.accessioned | 2019-10-21T06:46:14Z | - |
dc.date.available | 2019-10-21T06:46:14Z | - |
dc.date.issued | 2005 | - |
dc.identifier.other | 509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6405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전공,2005 | - |
dc.description.abstract | 오늘날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함께 전 사회적으로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면서 평생교육 담당자들의 현장 전문성에 대한 인적자원개발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교육담당 실무자들의 직무수행 빈도분석과 직무에 대한 중요성 인식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직무수행 빈도와 직무에 대한 중요성 인식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평생교육담당자의 특정 역할 및 직무를 집약해 봄으로써 담당자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배양을 모색하는데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교육담당자의 직무수행 빈도는 평생교육기관 유형별로 어떻게 다른 것인가? 둘째, 평생교육담당자의 직무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평생교육기관 유형 별로 어떻게 다른 것인가? 셋째, 평생교육담당자의 직무수행 빈도와 직무에 대한 중요성 인식의 격차는 평생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다른 것인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9)에서 평생교육사 직무분석에서 제시해준 직무 흐름도를 바탕으로 46개 문항을 설문지로 제작하여, 그동안 평생교육업무에 관한 연구들이 단순한 실태 조사에 국한된 제한점을 보완하고, 직무수행 빈도측정 질문 이외에 직무에 대한 ‘중요성 인식’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4년 경기도에서 실시된 평생교육기관 현황조사에 응해준 기관의 담당자와 각 기관에서 평생교육을 담당하는 자, 기관은 같으나 순환 보임으로 인해 이전에 평생교육 업무를 맡았던 자 등을 대상으로 군집표집(Cluster Sampling)을 실시하였다. 회수의 어려움이 따랐으나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질문지는 207부로 회수율은 69.0%이다. 신뢰롭지 못한 질문지를 제외하고 본 연구를 위하여 최종적으로 사용된 자료는 187부로 배부된 질문지의 62.3%이다. 회수된 설문지는 채점과 부호화 과정을 거치고 SPSS 11.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가설 1>,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해 근무기관 유형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평생교육 담당자의 직무수행 빈도 및 중요도의 평균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다변량분석(MANOVA)과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가설 3>을 검증하기 위해 근무기관 유형을 독립변인으로 두고 평생교육담당자의 직무수행 빈도 평균과 중요도 평균의 차이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쌍별 t 검증(Paired-Samples t test)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학습상담 요인을 제외하고, 직무 수 행 빈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평생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직무에 대한 중요성 인식에서도 프로 그램 개발, 프로그램 운영·평가 및 컨설팅을 제외하고는 그 차 이가 유의미하였다. 셋째, 직무수행 빈도와 중요성 인식의 차이에서는 모든 평생교육담당자 들은 자신이 인식하고 있는 직무에 대한 중요성보다 더 낮은 빈 도로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평생교육담당자 = 5 2. 평생교육사의 직무 = 6 3. 평생교육사 양성제도 = 12 4. 평생교육기관의 유형 = 16 5. 선행연구 = 23 Ⅲ. 연구방법 = 26 1. 조사대상 = 26 2. 조사지 구성 및 연구 방법 = 27 3. 응답자의 배경 특성 = 30 Ⅳ. 연구 결과 = 33 1. 평생교육기관 유형별 직무수행 빈도 분석 = 33 2. 평생교육기관 유형별 직무 중요성 인식 차이 = 36 3. 직무수행 빈도와 중요성 인식 차이 = 39 Ⅴ. 요약 및 결론 = 46 1. 요약 = 46 2.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1 부록 설문지 = 54|표목차 <표Ⅱ-1> 평생교육담당자의 역할과 하위영역별 전문기술 = 8 <표Ⅱ-2> 평생교육사의 직무분석 = 10 <표Ⅱ-3>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교과목 = 14 <표Ⅱ-4> 평생교육사 등급별 자격조건 학점(시간) = 15 <표Ⅱ-5> 평생교육기관의 유형 = 17 <표Ⅱ-6> 평생교육법에 따른 평생교육기관의 분류기준 = 17 <표Ⅱ-7> 평생교육전담기구 추진체계 = 22 <표Ⅲ-1> 질문지의 표집 대상 = 26 <표Ⅲ-2> 설문지 문항 변인 및 구성표 = 27 <표Ⅲ-3> 기관 유형별 분포 = 31 <표Ⅳ-1> 집단별 직무 수행 빈도에 대한 다변량 분석 = 33 <표Ⅳ-2> 기관 유형별 직무수행 빈도 변량분석 결과 = 34 <표Ⅳ-3> 집단별 직무수행 중요성에 대한 다변량 분석 = 37 <표Ⅳ-4> 기관 유형별 직무수행 중요성 인식 변량분석 결과 = 37 <표Ⅳ-5> 복지관의 직무수행 빈도와 중요성 인식 차이 = 40 <표Ⅳ-6> 사회단체의 직무수행 빈도와 중요성 인식 차이 = 41 <표Ⅳ-7> 도서관의 직무수행 빈도와 중요성 인식 차이 = 41 <표Ⅳ-8> 주민자치센터의 직무수행 빈도와 중요성 인식 차이 = 42 <표Ⅳ-9> 일반평생교육시설의 직무수행 빈도와 중요성 인식 차이 = 43 <표Ⅳ-10> 시 직영기관의 직무수행 빈도와 중요성 인식 차이 = 44 <표Ⅳ-11> 요인별 직무수행 빈도와 중요성 인식 차이 = 45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평생교육담당자의 직무수행 빈도와 중요성 인식 차이분석 - 평생교육기관 유형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평생교육 | - |
dc.date.awarded | 2005.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4584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509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