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직업전문학교의 재취업 교육훈련 만족도 분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최운실 | - |
dc.contributor.author | 이기하 | - |
dc.date.accessioned | 2019-10-21T06:46:13Z | - |
dc.date.available | 2019-10-21T06:46:13Z | - |
dc.date.issued | 2005 | - |
dc.identifier.other | 162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6402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전공,2005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을 포함한 7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15개 직업전문학교의 학생들 600명을 대상으로 해 350부(58.3%) 유효설문지를 취합하여 실업자 재취업 교육에 대한 피교육생들의 참여 실태 및 교육만족도를 파악하고 향후 실업자 재취업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설문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참가자들의 참여 실태는 실업자 재취업교육의 인식 동기, 교육의 참여목적, 전직과의 관계 등의 10개 항목으로 설문하였다. 먼저 실업자 재취업 교육의 인식 방법에 대해 다수의 응답자들은 “매체와 주위사람의 권유”에 의해 교육에 참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69.5%), 재취업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목적이 무엇인가에 대해 “재취업의 용이성”과 “앞으로의 전망과 적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88.0%). 또한 전직과 교육과정과의 직종관계에서는 “다른 직종인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였다(59.9%).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직업전문학교 실업자 재취업 교육과정의 목적인 “실업자의 재취업”에 맞추어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으며 , 특히 교육과정이 이전직종과 다른 분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이는 본 교육과정을 통해 이전 직업의 기술과 지식습득보다 새로운 직종의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여 보다 많은 재취업의 기회를 갖고자 함을 의미한다. 둘째, 설문 응답자들은 실업자 재취업 교육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자 재취업 교육에 대한 설문 응답자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크게 r교사, 교육프로그램, 교육기관, 교육자 성과에 대한 만족도 4개의 영역을 기준을 파악하였으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평균 만족도가 3.61, 3.79, 3.72, 3.55로서 대체로 평균값(3.0)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재취업 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교육내용과 직결되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 성과에 대한 만족도”영역에서 “이 분야에 창업을 해도 자신이 있다”에 대한 평균 만족도는 2.89로서 평균(3.55)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는 실업자 재취업 교육의 목적이 창업이 아니라 새로운 직업으로의 전환, 전직에 있기 때문에 설문항목에 대한 평균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재취업 교육의 개인 배경 특성과 동기에 따라 교육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재취업 교육 참가자의 개인특성인 “연령”과 “학력”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가자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고학력일수록 전체 교육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가자의 연령의 경우 25세 미만의 집단에서 전체 교육만족 평균값이 3.86이였으나 45세 이상의 집단에서는 3.6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참가자의 학력의 경우 중졸미만의 집단에서 교육만족도가 가장 높았고(평균 3.78) 대학원졸 이상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평균 2.36). 이러한 결과는 재취업 교육을 수행하지 전에 참가자들의 개인특성과 개인 차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판단되기에 교육과정에 참여하기 전에 개인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교육필요성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재취업 교육의 참여 동기인 “재취업을 목적으로 하는가?”,“전직과의 관계”에 따라 교육만족도차이를 분석하였다. 대체로 재취업을 목적으로 할수록, 전직과의 관계가 동종일수록 전체 교육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재취업여부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F=3.786, p=.016)가 있었으며 재취업을 목적으로 했을 경우 평균만족도가 높았다(재취업인 경우 3.81 > 아닌 경우 3.05). 전직과의 관계가 동종일 경우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차이가 있었으며(F=.460, p<.019) 동종일수록 평균만족도가 높았다(동종 3.89>이종 3.72). 마지막으로 현행 실업자 재취업교육의 발전방향에 설문응답자의 인식은 “적극적인 정부지원”과 “교육프로그램 개선”에 대한 의견이 높았다. 즉 설문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가장 시급한 현행의 실업자 재취업교육에 대해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지원과 교육내용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즉 설문응답자들이 인식하는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훈련비 및 수당 지원문제”(32.9%)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현장업무에 맞는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재취업문제”가 각각 23.7%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실업자 재취업 교육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지원과 교육내실화를 요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설문응답자들이 실업자 재취업 교육에 대한 향후 개선의견에서 “정부 정책”영역에서 개선 요구사항이 가장 많았다(62.7%). 특히 “교육 수료후 재취업 보장과 알선에 대한 정부의 관심부족”과“현실적인 훈련비 지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운영체계에 대한 개선요구도 높게 나타났다(16.34%). 즉 교육 참가자의 나이별, 수준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했다. 이러한 인식은 실제로 개인 특성인 연령별, 학력과 전반적인 교육만족도간의 관계분석에서 연령과 학력이 높을수록 교육만족도가 감소하였던 문제와 일치하는 것으로 교육의 성과향상을 위해 교육생들의 요구에 맞는 연령별 능력별 교육과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 3 Ⅱ. 이론적 배경 = 4 1. 직업교육훈련 = 4 2. 실업자 재취업 직업교육 훈련 = 16 3. IT 직업 교육 훈련 = 27 4. 실업자 재취업 교육훈련 만족도 = 38 5) 선행 연구 분석 = 44 Ⅲ. 연구방법 = 48 1. 조사대상 및 방법 = 48 2. 조사 도구 = 48 3. 분석방법 = 51 4. 응답자 배경 특성 = 51 Ⅳ. 조사결과 분석 = 53 1. 재취업 교육훈련 참여 실태 = 53 2. 실업자 재취업 교육생의 교육만족도 분석 = 54 3. 재취업교육의 동기와 교육만족도간의 관계에 대한분석 = 58 4. 실업자 재취업 교육의 향후 발전과제에 대한 분석 = 65 Ⅴ. 요약 및 결론 = 70 1. 요약 = 70 2. 결론 및 제언 = 73 참고문헌 = 75 부록 IT직업전문학교의 재취업 교육훈련 만족도 설문지 = 78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IT직업전문학교의 재취업 교육훈련 만족도 분석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평생교육 | - |
dc.date.awarded | 2005.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4581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162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