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에 대한 위험 대응행동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선이-
dc.contributor.author홍은영-
dc.date.accessioned2019-08-13T16:41:15Z-
dc.date.available2019-08-13T16:41:15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29343-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5567-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응용사회학과,2019. 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현안으로 논의되고 있는 미세먼지 사례를 활용하여 개인들의 적극적인 위험 대응행동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요인과 위험지각 요인의 작동기제를 다차원적으로 조망함으로써, 불확실하고 예측 불가능한 새로운 위험에 직면한 공동체의 회복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적극적 행위자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기존 위험연구의 경향과 위험에 대한 대응행동을 다루는 주요 연구 및 이론들을 정리하였고,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대응행동을 예방행동 차원의 개인적 대응행동과 문제해결을 위한 참여를 의미하는 사회적 대응행동으로 구분하였다. 개인들의 위험에 대한 대응은 어떠한 위험이 어떻게 커뮤니케이션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험 대응행동을 다루는 기존의 이론들은 커뮤니케이션 요인과 위험지각 요인들을 간과하거나 개별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두 이론적 관점을 종합하여 위험 대응행동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는 가능한 모형들을 제시하고, 모형 간 비교를 통해 가장 적합한 위험 대응행동 모형을 선정하였다. 최종 모형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요인과 위험지각 요인이 위험 대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대응행동 유형에 따른 변수들의 상대적인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개인이 지각하는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통제가능성이 위험 대응행동에 대한 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도 확인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사회구조와 인성(SSP) 관점에 따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과 집단별 통제가능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여 개인들의 사회구조적 위치에 따른 개인적·사회적 대응행동에 대한 기제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 대응행동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선정된 최종 모형을 통해 변수 간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개인적 대응행동에는 위험지각 요인이 사회적 대응행동에는 정책신뢰를 매개로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응행동의 유형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작동기제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위험 대응행동에 대한 직접효과가 설정된 변인들의 효과를 개인이 지각하는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통제가능성이 어떻게 조절하는지도 확인해 보았는데, 사회적 대응행동에는 효과가 없었지만 예방적 차원의 개인적 대응행동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관심과 통제가능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통제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면 본인에게 위험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 믿는 ‘위험의 타자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구조와 인성(SSP) 관점에 따른 다중집단 구조방정식과 집단별 통제가능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계층의식과 학력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집단에 따라 위험 대응행동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요인들의 매개과정이 상이함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미디어 환경을 통해 ‘정보 부자(information rich)’와 ‘정보 빈자(information poor)’ 사이에 위험이 위계화 될 가능성을 포착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개인의 구조적 위치에 따른 집단들의 위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미세먼지 이슈는 현재도 그리고 앞으로도 상당기간 논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미세먼지 이슈에 대한 관심이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불확실성이 높고, 뾰족한 해결책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중이 적절한 대응을 하면서 함께 해결방안을 모색해 나가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위험을 극복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의지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불확실성과 예측불가능성으로 점철된 현대사회의 위험관리를 위한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차 례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6 제2절. 연구의 범위 8 제2장.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9 제1절. 위험연구 패러다임과 위험사회론 9 1. 위험 개념과 주요 패러다임 9 2. 위험사회론 13 제2절. 위험 대응행동 연구 21 1. 위험에 대한 대응행동 21 2. 위험 대응행동 관련 이론 29 3. 위험 커뮤니케이션(risk communication) 34 4. 심리측정 패러다임과 위험 지각 52 5. 위험과 사회구조와 인성(Social Structure & Personality)관점 59 6. 소결 62 제3절. 위험 반응 결정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63 1. 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지각의 관계 63 2. 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정책신뢰의 관계 67 3. 위험지각과 정책신뢰의 관계 69 4. 위험 대응행동의 영향요인 71 제4절. 연구모형 설계 82 1. 연구모형 82 2. 가설설정 87 제3장. 연구 설계 92 제1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92 1. 조사표본 및 자료수집 방법 92 2. 자료분석 방법 93 제2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 95 1. 종속변수 95 2. 독립변수 96 3. 매개 및 조절변수 98 4. 신뢰도 검증 99 5. 정규성 분석 102 6. 다중공선성 검토 103 제4장. 분석결과 105 제1절. 기초 통계 105 1. 기술통계 105 2. 집단별 평균차이 검증 108 3. 상관관계 분석 112 제2절. 위험 지각 및 정책신뢰 결정요인 분석 115 1. 위험 지각 요인의 결정요인 분석 115 2. 정책신뢰의 결정요인 분석 117 제3절. 위험 대응행동 결정요인 분석 120 1. 개인적 대응행동의 결정요인 분석 120 2. 사회적 대응행동의 결정요인 분석 123 제4절. 위험 대응행동 모형 검증 126 1. 측정도구의 검증 126 2. 구조모형(인과모형) 분석 131 제5절. 위험 대응행동 모형의 집단 간 비교 140 1.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의 동일성 검증 140 2. 집단 간 경로계수 비교 143 제6절. 통제가능성의 조절효과 검증 158 1. 통제가능성의 조절효과 검증 158 2. 집단별 조절효과 검증 160 제7절. 분석의 종합 171 제5장. 결론 및 함의 179 제1절. 연구의 요약 179 1. 위험 반응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 180 2. 사회구조적 위치에 따른 차이분석 185 제2절. 연구의 함의 191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 제언 194 <참고문헌> 196 <Abstract> 228 <부록> 설문지 230 < 표 차 례 > <표 2-1> 위험 정의 11 <표 2-2> 자연재해 대응행동 연구 리뷰 23 <표 2-3> 위험유형별 위험 대응행동 25 <표 2-4>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35 <표 2-5>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발전단계 37 <표 2-6> 연구자별 위험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인 47 <표 2-7> 연구자별 위험 지각 구성요인 57 <표 2-8> 위험 커뮤니케이션 요인과 위험 지각의 관계 66 <표 2-9> 위험 커뮤니케이션 요인과 신뢰의 관계 68 <표 2-10> 위험 지각 요인과 신뢰의 관계 70 <표 2-11> 위험 커뮤니케이션과 대응행동의 관계 73 <표 2-12> 위험 속성과 대응행동의 관계 75 <표 2-13> 신뢰와 대응행동의 관계 77 <표 2-14> 위험지각 요인 및 정책신뢰 영향요인 가설 89 <표 2-15> 대응행동 영향요인 가설 90 <표 2-16> 다중집단 비교 가설 91 <표 3-1>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 92 <표 3-2>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결과 100 <표 3-3> 정규성 분석 결과 102 <표 3-4> 개인적/사회적 대응행동 모형 관찰변수의 다중공선성 104 <표 4-1> 변수의 기술통계량 106 <표 4-2>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독립변수의 평균차이 검증 110 <표 4-3>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매개·종속변수의 평균차이 검증 112 <표 4-4> 상관관계 분석 114 <표 4-5> 위험 지각 요인의 결정요인 분석 117 <표 4-6> 정책신뢰의 결정요인 분석 119 <표 4-7> 개인적 대응행동의 결정요인 분석 122 <표 4-8> 사회적 대응행동의 결정요인 분석 125 <표 4-9> 적합성 및 타당성 평가기준 127 <표 4-10> 측정도구의 적합성 검증 128 <표 4-11> 측정도구의 집중타당도 분석 결과 129 <표 4-12> 독립변수의 상관관계 및 판별타당도 분석 결과 130 <표 4-13> 구조모형 적합도 검증 및 비교 131 <표 4-14> 변수 간 직접효과 133 <표 4-15> 개인적 대응행동의 간접효과 검증 138 <표 4-16> 사회적 대응행동의 간접효과 검증 139 <표 4-17> 집단별 형태동일성 검증 142 <표 4-18> 집단별 측정 및 구조동일성 검증 143 <표 4-19> 주관적 계층의식 집단별 경로계수 비교 145 <표 4-20> 개인적 대응행동의 간접효과 검증_계층별 149 <표 4-21> 사회적 대응행동의 간접효과 검증_계층별 151 <표 4-22> 학력 집단별 경로계수 비교 152 <표 4-23> 개인적 대응행동의 간접효과 검증_학력별 155 <표 4-24> 사회적 대응행동의 간접효과 검증_학력별 157 <표 4-25> 통제가능성의 상호작용효과 159 <표 4-26> 개인적 대응행동에 대한 통제가능성의 상호작용효과_성별 161 <표 4-27> 사회적 대응행동에 대한 통제가능성의 상호작용효과_성별 163 <표 4-28> 개인적 대응행동에 대한 통제가능성의 상호작용효과_계층별 164 <표 4-29> 개인적 대응행동에 대한 통제가능성의 상호작용효과_학력별 167 <표 4-30> 개인적 대응행동에 대한 통제가능성의 상호작용효과_취약계층 169 <표 4-31> 위험지각 요인과 정책신뢰 영향요인에 대한 가설 검증 173 <표 4-32> 위험 대응행동 영향요인에 대한 가설 검증 176 <표 4-33> 다중집단 비교에 대한 가설 검증 178 < 그림 차례 > <그림 2-1> Ajzen(1991)의 계획된 행동이론 30 <그림 2-2> Stern(2000)의 환경주의 VBN 도식 31 <그림 2-3> Health Belief Model 32 <그림 2-4>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33 <그림 2-5> 위험 커뮤니케이션 증폭모델 : Renn(1991) 39 <그림 2-6> 위험 문제 해결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과정 모델 40 <그림 2-7> 위험의 사회적 증폭 프레임워크(SARF) 41 <그림 2-8> 커뮤니케이션 매개모델 42 <그림 2-9> Lasswell(1948)의 커뮤니케이션 모델 43 <그림 2-10> 2요인(two-factor) 공간 내의 위험 항목의 위치 54 <그림 2-11> 위험 대응행동 모형1 83 <그림 2-12> 위험 대응행동 모형2(위험지각→정책신뢰 포함) 85 <그림 2-13> 위험 대응행동 모형3(관심→대응행동 포함) 86 <그림 4-1> 최종 위험 대응행동 모형 132 <그림 4-2> 최종 대응행동 모형 분석 결과 136 <그림 4-3> 최종 모형: 계층_저집단 147 <그림 4-4> 최종 모형: 계층_고집단 147 <그림 4-5> 최종 모형: 학력_저집단 154 <그림 4-6> 최종 모형: 학력_고집단 154 <그림 4-7> 관심과 통제가능성의 조절효과 160 <그림 4-8> 관심과 통제가능성의 조절효과_남성 162 <그림 4-9> 두려움과 통제가능성의 조절효과_계층고 165 <그림 4-10> 관심과 통제가능성의 조절효과_계층고 166 <그림 4-11> 관심과 통제가능성의 조절효과_학력고 168 <그림 4-12> 관심과 통제가능성의 조절효과_취약계층유 17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미세먼지에 대한 위험 대응행동 연구-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응용사회학과-
dc.date.awarded2019. 8-
dc.description.degreeDoctoral-
dc.identifier.localId951972-
dc.identifier.uciI804:41038-000000029343-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29343-
dc.title.subtitle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심리측정 패러다임을 적용한 통합 모형을 중심으로-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Applied Sociology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