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악 전치의 후방 견인과 함입 시 순측 치조골의 반응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채화성 | - |
dc.contributor.author | 홍석윤 | - |
dc.date.accessioned | 2019-08-13T16:41:00Z | - |
dc.date.available | 2019-08-13T16:41:00Z | - |
dc.date.issued | 2019-08 | - |
dc.identifier.other | 29306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5512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2019. 8 | - |
dc.description.abstract | 서 론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악 전치의 후방 견인과 함입 치료 전에 순측 치조골 반응의 예측 가능성과 통제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치조골 개조의 기여 요인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재료 및 방법 : 상악 전치 돌출을 동반한 골격성 II급 부정 교합으로 진단된 34명의 여성 환자(평균 연령 : 25.8 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소구치 발치를 동반한 교정 치료를 진행했으며, 상악 전치는 함입 및 후방 견인하였다. 치료 전 후 측방 두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고, 초기 조건에 따른 치조골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선형 및 각도 측정을 분석했다. 결 과: 상악 전치의 cemento-enamel junction으로부터 9mm 상방에서 측정된 순측 치조골 두께(B3)가 유의하게 증가했지만(P <.05), 3mm 상방과 6mm 상방에서 측정된 순측 치조골 두께(B1, B2)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치조골과 절치 사이의 각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치조골의 변화는 상악 전치의 후방 견인량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의 상악 전치의 순측 표면과 치조골 사이의 각도(θ)는 치료 전 후 각도의 변화량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본 연구는 초기 상악 전치와 순측 치조골 사이의 거리, 초기 상악 전치와 순측 치조골이 이루는 각도, 두개골에 대한 상악 전치의 각도가 치조골 개조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혔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차 례 국문요약 i 차례 iii 그림차례 iv 표차례 v Ⅰ. 서론 1 Ⅱ. 재료 및 방법(혹은 연구대상 및 방법) 3 A. Study sample 3 B. Cephalometric measurement 5 C. Statistical analysis 12 Ⅲ. 결과 13 Ⅳ. 고찰 19 Ⅴ. 결론 23 참고문헌 24 ABSTRACT 27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상악 전치의 후방 견인과 함입 시 순측 치조골의 반응 | - |
dc.title.alternative | Hong Seok Yoon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ong Seok Yoon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 | - |
dc.date.awarded | 2019.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952121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29306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29306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