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희천-
dc.contributor.author이효진-
dc.date.accessioned2019-08-13T16:40:57Z-
dc.date.available2019-08-13T16:40:57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29107-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5499-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2019. 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개별 매개변인의 간접효과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 30대의 성인 258명이 한국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자기질문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질문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및 사회 공포증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불성실한 응답 및 결측치가 있는 응답 10부를 제외한 총 248명의 자료를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불일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사회불안은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개별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개별 간접효과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국문 초록 ⅰ ■ 목차 ⅱ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4 2. 사회불안 6 1) 사회불안 6 2)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 7 3. 자기불일치 9 1) 자기불일치 9 2)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불일치, 사회불안 10 4.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12 1)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12 2)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사회불안 13 Ⅲ. 연구 목적 및 가설 15 1. 연구 목적 15 2. 연구 문제 및 가설 16 3. 연구 모형 17 Ⅳ. 연구 방법 18 1. 연구 대상 및 절차 18 2. 측정 도구 19 3. 분석 방법 23 Ⅴ. 연구 결과 24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4 2. 매개효과 검증 26 Ⅵ. 논의 30 ■ 참고문헌 36 ■ 부록 45 ■ ABSTRACT 57-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9.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952150-
dc.identifier.uciI804:41038-000000029107-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29107-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and to compare the two indirect effects of each mediation variable. For this purpose, 258 adults aged twenties and thirties completed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K(PSPS-K), Self-Questionnair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Q),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and Social Phobia Scale(SPS). A total of 24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except for ten unsuccessful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examined among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elf-discrepanc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anxiety. Second, each mediation effect of self-discrepanc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difference in the each mediation effect of self-discrepanc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such resul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sych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