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돌봄전담사의 직업정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상엽 | - |
dc.contributor.author | 백도현 | - |
dc.date.accessioned | 2019-08-13T16:40:51Z | - |
dc.date.available | 2019-08-13T16:40:51Z | - |
dc.date.issued | 2019-08 | - |
dc.identifier.other | 29326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5476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2019. 8 | - |
dc.description.abstract |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돌봄전담사들을 대상으로 돌봄 생활세계에서 겪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돌봄전담사의 직업정체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양육경험이 있는 돌봄전담사 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돌봄전담사의 직업정체성을 사회적 인식의 틀에 고정되어 있기보다는, 사회적ㆍ관계적 맥락이 반영된 돌봄 생활세계의 경험을 하나의 학습 경험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기존에 밝혀지지 않은 돌봄전담사의 직업의 의미를 살펴보고, 직업정체성에 관한 주제를 체험적 돌봄 생활세계의 역할수행 경험을 통해 직업정체성 인식과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을 규명하였다. 먼저, 돌봄전담사들의 직업정체성 인식은 ‘이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이중적인 원인은 학교라는 공간에서 근무하고 학생들의 보육을 주체적으로 운영하는 돌봄전담사는 직업정체성의 본질적 의미를 ‘정교사는 아니지만 선생님’으로 내면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원인은 연구참여자 모두가 ‘돌봄전담사’라고 정확한 명칭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렇게 직업적 차원에서의 정체성 인식과는 다르게 개인적 차원에서 돌봄전담사 지위를 ‘선생님’으로 인식하는 것은 육아공동체적 보육을 하는 교육적 돌봄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밝혀냈다. 교육적 돌봄은 교육환경에서의 돌봄전담사가 갖는 다양한 역할의 의미를 가지며 학교 돌봄전담사의 직업정체성을 형성하는 토대가 되었다. 지금까지 돌봄전담사의 명칭변화는 돌봄강사, 돌봄전담교사, 보육교사, 보육전담사, 돌봄전담사 등에 따라 명칭을 혼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과정을 모두 경험했던 연구참여자들은 그 시기마다 비체계적인 교육에 대한 재량권이 주어지는 등 돌봄전담사로서의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었다. 이처럼 일터에서의 체계적이지 못한 경험을 통해 돌봄전담사의 역할이나 돌봄 강사로서의 태도 그리고 책임의식이 변화되어 직업정체성 인식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돌봄 생활세계의 체험적 의미를 학습 경험으로 이해하였다. 돌봄전담사의 자녀양육 경험은 학습으로 매개하여 경험을 재구성함으로서 반성과 성찰을 통해 돌봄전담사의 직업정체성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학교 조직 내에서의 교직원들이 돌봄과 교육을 이원화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돌봄전담사는 직업의 낮은 정체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돌봄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과 학교 조직 내에서의 공간적 소외, 시간적 소외, 관계적 소외로부터의 정체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처럼 직업은 조직 내에서 직업의 역할에 대한 존중과 공감과 경험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돌봄전담사의 사회적 지위와 직업적 자긍심을 확고히 하는데 돌봄전담사의 전문성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일은 생계의 수단으로 안정적인 삶을 살아가면서 직업과 마주하는 환경적, 사회적, 관계적 경험을 통해 돌봄역할은 일의 가치와 직업의 의미의 갖게 하였다. 돌봄전담사의 직업의 의미는 아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돌봄 역할수행을 실천할 때 가치를 인정받게 된다. 그러므로 돌봄전담사의 직업가치는 ‘인정의 공간’이며 학교라는 공동체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며 자신들의 직업정체성을 확립해 가고 있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1. 직업정체성 7 가. 정체성(Identity)의 개념과 특성 7 나. 직업정체성의 특성 9 다. 직업정체성의 형성과정 11 라. 학교 돌봄전담사의 직업정체성 12 2. 학교 돌봄전담사 16 가. 돌봄교실의 개념 16 나. 돌봄전담사의 특성 17 다. 돌봄전담사의 직무경험 18 Ⅲ. 연구방법 20 1. 현상학적 접근 20 2. 연구참여자 20 가. 연구참여자 선정 기준 21 나. 연구참여자 선정 과정 23 다. 연구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징 24 3. 자료 수집 27 가. 질문지 작성 27 나. 심층면담 28 다. 참여관찰 31 4. 자료 분석 35 5. 연구의 신뢰성 및 윤리성 확보 36 Ⅳ. 연구결과 38 1. 학교 돌봄전담사는 교사인가, 전담사인가? 38 가. ‘돌봄’만 하세요, ‘교육’은 우리가 해요 38 나. 누가 뭐래도 나는 선생님 43 다. 배움과 교육적 돌봄 49 2. 직업정체성 형성하기 54 가. 엄마품 일터에서 경험 다시보기 54 나. 들락날락 긴장된 시선 62 다. 교실 밖 아웃사이더 67 라. 먼저 다가가 거리선 깨기 72 3. 학교 돌봄전담사의 직업의 의미 77 가. 개인의 가치와 직업인으로서의 소명의식 78 나. 더 나은 나를 향한 일 그리고 성장 83 Ⅴ. 논의 및 결론 89 1. 논의 89 2. 결론 94 참고문헌 98 부록 103 표 목 차 <표 Ⅱ-1> 학교 돌봄전담사의 명칭 변화에 대한 선행연구 13 <표 Ⅱ-2> 돌봄전담사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요인 15 <표 Ⅱ-3> 돌봄교실 프로그램 구성(예시) 19 <표 Ⅲ-1> 연구참여자 선정기준 21 <표 Ⅲ-2> 연구참여자 일반적 사항 24 <표 Ⅲ-3> 예비 질문지 내용 28 <표 Ⅲ-4> 연구참여자의 심층면담 일정 29 <표 Ⅲ-5> 돌봄전담사의 참여관찰 일지 33 <표 Ⅲ-6> 돌봄전담사 생활체험의 의미 단어 분석 36 그 림 목 차 [그림 Ⅱ-1] 초등돌봄교실의 전용교실과 겸용교실 34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학교 돌봄전담사의 직업정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평생교육 | - |
dc.date.awarded | 2019.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952211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29326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29326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