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적 방법론과 인공신경망의 혼합적 활용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권순선 | - |
dc.contributor.author | 조건 | - |
dc.date.accessioned | 2019-08-13T16:40:47Z | - |
dc.date.available | 2019-08-13T16:40:47Z | - |
dc.date.issued | 2019-08 | - |
dc.identifier.other | 29170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5461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학과,2019. 8 | - |
dc.description.abstract | 시계열 데이터(Time Series Data)는 시간의 순서대로 이루어져 있는 데이터 형태로 관측치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아 분석을 할 때에 주의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데이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인 이분산성(Heteroskedasticity)과 계열 상관성(Serial Correlation)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자기상관(Autoregressiv; AR),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형을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제안하는 적합 방법으로는 통계적인 방법인 일반화최소제곱법(Generalized Least Square; GLS)과 인공신경망(ANN)의 혼합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이분산성과 계열 상관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최대우도추정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과 최소제곱법(Ordinary Least Square; OLS), Hybrid-ARIMA 등과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를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방법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 1장 도입 1 제 2장 기존 방법론 3 2.1 모형 3 2.2 통계적 방법론 4 2.3 기계학습을 이용한 방법론 10 제 3장 제안하는 적합 방법론 12 3.1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일반화최소제곱 12 3.2 기존 방법론과 제안하는 방법 15 3.3 제안하는 방법의 평가방법 16 제 4장 데이터 분석 및 모형설정 17 4.1 데이터 소개 17 4.2 데이터 기초통계 및 시각화 17 4.3 모형 설정 20 4.4 이분산성 및 계열 상관성 진단 21 제 5장 세부 실험설정 및 예측성능 비교 23 5.1 세부 실험설정 23 5.2 모형 별 예측성능 비교 24 제 6장 결론 30 참고 문헌(Reference) 32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통계적 방법론과 인공신경망의 혼합적 활용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학과 | - |
dc.date.awarded | 2019.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952208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29170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29170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