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수출국 및 서비스 선정 모델 개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철기 | - |
dc.contributor.author | 조남민 | - |
dc.date.accessioned | 2019-04-01T16:42:13Z | - |
dc.date.available | 2019-04-01T16:42:13Z | - |
dc.date.issued | 2019-02 | - |
dc.identifier.other | 28807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5195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2019. 2 | - |
dc.description.abstract | 기존의 지능형교통체계(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이하 ITS) 타당성분석과 효과분석 프레임워크, 판단지표로는 해외시장 수출기회를 파악하거나 진출을 위한 체계적ㆍ과학적 접근방법을 찾기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ITS 기술진이 해외에 진출하기 위한 1) 수출국 판단 및 2) 유망 ITS 서비스 판단하는 i) 평가 프로세스 정의, ii) 평가 기준 변수 정의, iii) 진출 대상국 및 서비스 선정 모형 (Formula) 제시, iv) 실제 데이터를 적용한 분석을 통한 회귀모형의 도출을 수행하였다. 평가 프로세스는 ‘평가 대상 국가 및 서비스 목록 정의 → 수집 가능한 데이터 확보 → 국가 평가 기준변수 및 서비스 평가 기준변수 정의 → 국가평가 모델 및 서비스 평가모델 가중치 정의 → 의사결정을 위한 평가’라는 흐름으로 정의하였다. 평가 기준변수는 외생적 요인 그룹과 ITS의 직접적인 도입 동기 및 직접적인 효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변수들의 상관분석 및 요인분석을 통해 내생적 요인 변수로 1) 교통안전법규 규정, 2) 도로안전관리 정책, 3) 대중교통 안전관리, 4) 교통사고율, 5) 도로길이ㆍ차량 수, 6) 포장율, 7) 도로밀집도 등 7개를 도출하였고, 외생적 요인 변수로는 1) 소득수준, 2) 인구ㆍ면적, 3) 도로건설 및 EDCF 규모, 4) 한국교역규모, 5) IT 개발지수 등 5개가 도출되었다. ITS 서비스 유형별로 대상국별로 ITS 서비스를 판단하는 모형을 1) 교통류 제어, 2) 자동교통단속, 3) 대중교통관리, 4) 전자지불, 5) 교통정보제공이라는 5개의 서비스 각각에 대해 도출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ITS 해외수출 대상국 판단 및 유형별 서비스 판단을 위한 분석 프로세스, 기준 변수의 발견, 회귀분석 방정식의 도출이라는 연구 성과를 달성하였으며 거의 추가적인 투자없이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초기 모형이 제시되었다는 것도 중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제 1절 연구의 배경 1 제 2절 연구 목적과 범위 4 제 3절 연구의 기대 효과 6 제 2 장 ITS 해외사업 및 평가기법 고찰 7 제 1 절 해외시장 진출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7 제 2 절 기존 ITS 평가 기법 12 1. ITS 도입 타당성 분석 12 2. ITS 사업 효과분석 15 3. 국내 기업의 해외 ITS 사업 평가사례 19 제 3절 ITS 사업의 분류 체계 20 제 4절 ITS 해외사업의 특성 24 1. 국내 교통 인프라 기업의 해외진출 영향요인 분석 사례 24 2. 해외 유망 ITS 서비스 평가에 관한 연구 25 3. ITS 해외수출 실적 26 제 5절 기존 평가방법의 한계 및 연구의 방향 28 제 3 장 해외 ITS 국가ㆍ서비스 선정 이론적 모형 30 제 1 절 선정 프로세스ㆍ기준 정의 방법 31 제 2 절 선정 기준 정의를 위한 분석 34 1. 선정 기준 변수 그룹 34 2. 선정 기준 정의를 위한 통계분석 37 제 3절 수출 대상국 및 서비스 선정 이론적 모형 39 제 4 장 해외 ITS 국가ㆍ서비스 선정 모델 개발 41 제 1절 원천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 44 제 2절 설명변수 통합을 위한 분석 47 1. 거시환경지표 설명변수 통합 49 2. 도로ㆍ교통 관련 설명변수 통합 50 3. IT 발전 관련 설명변수 통합 52 4. 도로 정책ㆍ규제 설명변수 통합 52 5. 한국과의 관계 설명변수 통합 54 6. 설명변수 통합 요약 56 7. 도출된 요인변수의 설명력 검증 57 제 3절 ITS 수출국가 선정 모델 개발 61 1. 모든 변수 포함한 모델 개발 62 2. 유의한 변수만 포함한 모델 개발 65 3. 두 가지 분석방법 간의 비교 68 제 4절 ITS 서비스 선정 모델 개발 69 1. 교통류제어 서비스 선정 모델 개발 71 2. 자동교통단속 서비스 선정 모델 개발 75 3. 대중교통관리 서비스 선정 모델 개발 78 4. 전자지불 서비스 선정 모델 개발 82 5. 교통정보제공 서비스 선정 모델 개발 85 제 5 장 결 론 89 참고 문헌 91 부록 1: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된 데이터 기술통계 94 부록 2: 유의한 기초데이터 항목들 간의 상관계수 96 Abstract 106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ITS 수출국 및 서비스 선정 모델 개발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 | - |
dc.date.awarded | 2019. 2 | - |
dc.description.degree | Doctoral | - |
dc.identifier.localId | 905159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28807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28807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