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취 성인영재의 미성취감 원인 및 극복에 관한 질적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미현-
dc.contributor.author김은아-
dc.date.accessioned2019-04-01T16:41:41Z-
dc.date.available2019-04-01T16:41:41Z-
dc.date.issued2019--2-
dc.identifier.other28724-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5125-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재교육,2019. 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미성취 성인영재의 미성취감이 어디서 비롯되었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에너지를 찾아 그의 향후 인생이 좀 더 나아질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잠재적 미성취 영재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Renzulli 영재임과 동시에 미성취감 판별 검사 결과 미성취 영재로 판별된 40대 성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관찰 및 심층면담, 전화 상담 등의 다양한 과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미성취감의 원인을 유목화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때의 부모와의 불안정한 애착형성으로 인한 사회성 발달의 시기를 놓침으로써 또래와의 관계 형성이 미숙한 성인영재가 되었다. 둘째, 성인영재의 의사를 존중하지 않고 사촌과 비교하는 모친의 양육방식으로 자존감이 낮은 성인영재가 되었다. 셋째, 성취가 높은 친척들이 많은 집안의 분위기 속에서 성인영재의 성취는 보잘것없는 수준으로 인식되었다. 넷째,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는 성인영재를 항상 이방인으로 만들었다. 다섯째, 타인과 다른 정서적 특성을 스스로 인정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실존적 우울감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성인영재가 가지고 있는 높은 민감성과 지각력, 자아실현의 욕구, 높은 도덕성과 같은 긍정적인 면은 성인영재의 미성취감을 극복할 수 있는 내재된 에너지다. 성인영재는 미성취감을 극복하려는 노력은 끊임없이 하고 있는데 보통 그 해답을 책과 정신적 멘토를 통해 얻으려고 하였다. 영재의 정서적 특성을 바르게 이해하고 잠재된 미성취 영재를 알아볼 수 있는 영재 교육자들의 바른 눈이 필요하며 미성취감을 극복하는 것이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 · 국가적 차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3 3. 용어의 정의 3 가. 미성취감 3 나. 미성취 성인영재 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1. 영재의 사회ㆍ정서적 발달 특성 4 가. 영재의 사회ㆍ정서적 측면의 중요성 4 나. 영재의 사회ㆍ정서적 발달 6 다. 영재가 겪는 사회ㆍ정서적 어려움 8 2. 미성취 영재의 개념 및 특성 12 가. 미성취 영재의 개념 12 나. 미성취 영재의 특성 13 다. 미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 라. 미성취영재의 유형 19 3. 성인영재의 특성과 문제 20 가. 성인영재의 특성 20 나. 성인영재의 문제 23 4. 과흥분성(Overexcitability)이론 24 가. 심체적 과흥분성(Psychomotor Overexcitability) 24 나. 감각적 과흥분성(Sensual Overexcitability) 24 다. 지적탐구 과흥분성(Intellectual Overexcitability) 25 라. 상상적 과흥분성(Imagional Overexcitability) 25 마. 감성적 과흥분성(Emotional Overexcitability) 26 5. 선행연구 고찰 26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29 1. 연구 대상 29 2. 연구자 31 3. 미성취 성인영재 판별도구 31 가. Whitmore(1980)의 미성취 영재 체크리스트 31 나. 김나영(2017)의 미성취 영재 체크리스트 31 4. 자료 수집 및 분석 32 가. 자료 수집 과정 32 나. 심층면담 과정 33 다. 자료 분석 및 타당화 3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6 1. 성인영재의 특성 및 미성취 유형 46 가. 성격유형 46 나. 개인적 특성 47 다. 환경적 특성 49 라. 미성취 유형 49 2. 성인영재의 부적응 양상 50 가. 회사 부적응 50 나. 개인적 부적응 51 3. 성인영재의 미성취감의 원인 52 가. 불안정한 애착으로 사회성 발달, 또래 관계 형성이 어려움 52 나. 남과의 비교 속에 자존감이 낮아지다 55 다. 수재 집안에서 이방인으로 살아가다 56 라. 가정 내 막내가 가지는 어려움 56 마.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는 성인영재를 이방인으로 만들다 57 바. 다름을 인정하지 못하여 오는 실존적 우울감 60 4. 성인영재의 미성취감 극복 63 가. 멘토는 힘들 때마다 바로 설 수 있는 힘을 주다 63 나. 심화된 독서와 사고의 습성이 미성취감 극복의 열쇠다 65 다. 목표지향적 생명력이 회복탄력성을 높여주고 미성취감을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다 66 Ⅴ. 결론 및 제언 69 1. 결론 69 2. 제언 70 참 고 문 헌 71 부 록 81 Abstract 89-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미성취 성인영재의 미성취감 원인 및 극복에 관한 질적연구-
dc.title.alternativeKim Eun A-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Eun A-
dc.contributor.department교육대학원 영재교육-
dc.date.awarded2019.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T000000028724-
dc.identifier.uciI804:41038-000000028724-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28724-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Convergence Talent Train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