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인식명확성과 공감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검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희천-
dc.contributor.author신호민-
dc.date.accessioned2019-04-01T16:40:28Z-
dc.date.available2019-04-01T16:40:28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28752-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4880-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2019. 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이성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초기 성인기 미혼남녀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정서인식명확성과 이성관계만족도 사이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상담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이성교제중인 커플 145쌍, 총 290명의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 척도와 이성관계만족도 척도, 공감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한 후, 이성관계에서 발생하는 상호역동성을 밝히기 위해 APIM(Actor – Partner Interdependent Model) 분석방법으로 AMO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기타 통계 검증은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명확성이 공감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남자와 여자 모두 정서인식명확성이 자신의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공감이 이성관계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남자와 여자 모두 자신의 공감이 자신과 상대방의 이성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이 자신의 공감을 매개로하여 이성관계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남자와 여자 모두 자신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자신의 공감을 매개로하여 자신과 상대방의 이성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정서인식명확성과 이성관계만족도 사이에서 공감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이 개인의 공감을 높여주고 이는 초기 성인기 커플의 관계만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성관계만족과 관련하여 공감에 관한 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들에게 치료적 개입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1. 정서인식명확성 5 1) 정서인식명확성의 개념과 정의 5 2) 정서인식명확성과 관련된 변인들 6 2. 공감 7 1) 공감의 개념과 정의 7 2) 정서인식명확성과 공감 9 3. 이성관계만족도 10 1) 이성관계만족도의 개념과 정의 10 2) 공감과 이성관계만족도 12 Ⅲ. 연구 목적 및 가설 15 1. 연구 목적 15 2. 연구 가설 17 Ⅳ. 연구 방법 18 1. 연구 대상 및 절차 18 2. 측정 도구 19 3. 분석 방법 21 Ⅴ. 연구 결과 22 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22 2. 측정모형의 검증 23 3. 구조모형의 검증 25 1) 정서인식명확성이 공감에 미치는 자기효과 검증 25 2) 공감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검증 26 3) 정서인식명확성이 공감을 매개로하여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검증 30 Ⅵ. 논의 35 참고문헌 40 부록 47 ABSTRACT 57-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정서인식명확성과 공감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검증-
dc.title.alternativeShin Ho Min-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Ho Min-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9.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905530-
dc.identifier.uciI804:41038-000000028752-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28752-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early adult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pre-marital couple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counselling in order to provide a more effective advice to early unmarried men and women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For this purpose, 145 pairs of Korean couple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Emotional Clarity Scale(TMMS), Empathy Scale and Early Adult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rifies the mutual dynamics of heterosexuality that we analyzed the Actor – Partner interdependent model (APIM) by using AMOS and other statistical tests by using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clarity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own relationship satisfaction (actor effect) and their partner’s relationship satisfaction (partner effect) for both men and women. Second, both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empathy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in a positive direction across genders. Third, emotional clarity had a positive effects on their own and partner’s relationship satisfactions through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 author examined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empathy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clarity increases the empathy of individuals and that empathy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early adult couples.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clients who present with empathy and relationship problems.-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sych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