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발전된 디지털 미디어 환경인 스마트폰으로 인해 향상된 사용자 경험(UX)이란 상황 변인이 사용자의 디지털 중독을 야기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모호하게 사용되는 PC 기반의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 용어를 구분하고, 인터넷 중독 연구를 내재적 · 사회적 변인에 대한 원인 분석에서 미디어 측면에서의 고찰로 그 범위를 확장하고자 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맥락 강화 요인 중 유용성 측면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성취적 스마트폰 사용이 강화되어 나타날 수 있는 사용자 특성이 스마트폰 중독을 이끈다는 구조를 설명하고자 ‘성취적 스마트폰 중독’이란 새로운 용어를 통해 그 개념을 제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과업을 진행하고, 일상생활에서 여러 기능과 서비스를 활용하는 집단인 20 · 30대를 중심으로 총 123명의 설문을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 문항은 총 102개로, 본 연구에서 상정한 성취적 스마트폰 강화를 이끄는 세 가지 요인인 강화된 정보추구욕구 충족에 따른 ‘정보습득에 대한 즐거움’, 스마트한 사용에 따른 ‘고맥락 사용 환경’, 스마트한 의도에 따른 ‘높은 지각된 유용성 평가’를 측정하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한 상관관계 분석과 Hayes(2013)가 제안한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세부 변인이 성취적 스마트폰 강화로 인한 사용자 특성을 이끌지 그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지는데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고자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적 스마트폰 강화로 인한 사용자 특성이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긍정적 요소인 정보습득의 즐거움이나 성취적인 사용 및 의도가 과도할 경우,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스마트폰이란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가 제공하는 변화된 사용자 환경이 성취적 스마트폰 강화에 따른 사용자 특성을 이끄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이는 이전의 인터넷 중독 연구에서 규정한 디지털 미디어가 중독에 미치는 역할 이상으로 현대 디지털 미디어의 환경 요인이 사용자의 미디어 중독을 야기하는데 미치는 영향이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성취적 스마트폰 강화에 따른 사용자 특성을 이끄는 세부 변인이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지는데 강화하는 역할을 하지만, 직접적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기존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중독을 판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재적 · 사회적 변인을 통해 원인을 밝히는 방식에는 한계가 있으며, 미디어와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스마트폰 중독 연구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기존 인터넷 중독 관련 연구가 중독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심리 · 사회행동 변인과의 관계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면,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중요해진 사용자의 개념과 함께 향상된 사용자 경험 설계로 인해 변화된 상황 변인이 미디어 중독을 이끄는 측면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술적 측면에서 인터넷 중독이란 중독 척도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아닌 내담자로서 연구를 진행한 기존 연구 방식이 접근하지 않았던 영역에서 연구를 진행함에 따라 인터넷 중독 연구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현장적용적 측면에서 스마트폰 중독 척도 뿐 아니라 개별 사용자를 중독으로 이끌 수 있는 다양한 맥락을 분류하고, 그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사용 패턴이나 인식 등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접근하여 미디어 중독 문제의 해결 방안을 고안하는데 초석을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