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자재의 다중현장 조달업무를 위한 의사결정지원 모델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申東宇 | - |
dc.contributor.author | 한주연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4T05:31:30Z | - |
dc.date.available | 2018-11-14T05:31:30Z | - |
dc.date.issued | 2005-08 | - |
dc.identifier.other | 859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4333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亞洲大學校 大學院 :건축학과,2005. 8 | - |
dc.description.abstract | 건설 환경의 급진적인 변화로 인한 대형건설업체 중심의 건설산업 체제에서 중견?중소건설업체의 생존전략으로 건설 생산체계에 대한 정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민간발주자로부터 공동주택 공사를 수주하여 전체 공사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국내 중견건설업체는 독립적인 현장관리 체제를 가지고 있는 대형건설업체와 달리 5~15개 정도의 다중현장을 본사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데 다중현장 관리의 효율성 여부는 건설사업의 성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다중현장을 단일현장 운영방식으로 관리하고 있는 현행 중견건설업체가 다중현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자재 조달업무 측면에서 다중현장을 동시에 고려한 조달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법론과 모델이 필요하다. 중견건설업체의 본사가 다중현장에 자재를 효율적으로 조달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 모델은 다중현장의 건설공사 진행과정을 고려하여 세부작업 내용을 설정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발생 가능한 모든 경우를 반영하되, 단순하면서도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모델이어야 한다. 또한 의사결정을 지원함에 있어서 다중현장의 업무진행 현황과 그 과정 중에 발생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비교?분석 및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용자재의 조달측면에서 다중현장을 동시에 고려한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자재 조달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외 연구되고 있는 자재 조달업무에 대한 관련이론과 기존연구 및 중견건설업체의 3곳의 사례조사를 통해 조달업무 프로세스의 부재, 조달업무 담당자의 업무량 분배 문제, 전용자재 사용현황 파악의 문제점, 조달업무 수행을 위한 의사결정 방법 부재 등 조달업무 수행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2)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 조달업무의 단순한 자동화보다는 시스템에 의해 조달업무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되, 본사의 조달담당자가 전용자재를 사용 및 전용하고자 하는 현장의 실시간 현황에 근거해 최적의 조달계획 및 실행결정을 위한 의사결정 방법의 개선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모델이 요구된다. 3)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현황고찰을 수행했던 건설업체의 실무자 면담을 통해 의사결정 단계를 중심으로 조달업무를 세분하고 체계화 한 프로세스를 재정립하고, 필요정보 규명을 통한 의사결정 지원 정보체계를 수립하였으며, 다중현장의 실시간 자재사용 현황 정보와 의사결정 지원 정보체계가 결합된 Resource Pool을 설정하고 이를 반영한 자재조달 의사결정 지원 모델을 제시하였다. 4) 제시한 자재조달 의사결정지원 모델의 Prototype System을 구축하여 이를 실무자 면담과 현황고찰을 수행했던 건설업체의 자재조달 업무 사례에 적용해 본 결과, 기존의 조달업무 수행에 비해 의사결정 방법의 개선과 효율적인 조달업무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차 제 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1.3 논문의 구성 = 7 1.4 소결 = 9 제 2장 관련이론 및 기존연구 고찰 = 10 2.1 중견건설업체의 특징 = 10 2.2 다중현장관리 관련 기존연구 = 11 2.3 자재조달 관련 기존연구 = 12 2.3.1 자재 조달관리에 대한 일반적 고찰 = 12 2.3.2 자재 조달업무 관련 기존연구 = 15 2.4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관련 기존연구 = 16 2.4.1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에 대한 일반적 고찰 = 17 2.4.2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관련 선행 연구 = 22 2.5 소결 = 23 제 3장 전용자재 조달업무 분석 = 25 3.1 전용자재 = 26 3.1.1 전용자재의 특성 = 27 3.1.2 전용자재의 종류 = 28 3.2 전용자재의 조달업무 = 33 3.2.1 전용자재의 조달업무 프로세스 = 33 3.2.2 전용자재의 조달업무 단계별 유통정보 = 40 3.2.3 전용자재 조달업무의 의사결정 현황 = 47 3.3 전용자재 조달업무의 문제점 분석 = 50 3.3.1 조달업무 프로세스 = 50 3.3.2 본사와 현장 담당자의 업무량 분배 = 53 3.3.3 의사결정지원 정보 부재 = 55 3.3.4 다중현장 전용자재 사용현황 파악 = 56 3.3.5 의사결정 방법 = 57 3.3.6 문제점 종합 분석 = 58 3.4 소결 = 59 제 4장 전용자재의 다중현장 조달을 위한 의사결정지원 모델 = 62 4.1 의사결정지원 모델의 정의 = 62 4.2 의사결정지원 모델의 구성 요소 = 63 4.2.1 조달업무 프로세스의 재정립 = 63 4.2.2 추가 필요정보 및 데이터 모델링 = 66 4.2.3 의사결정지원 정보체계 수립 = 70 4.2.4 자재조달 의사결정 방법 개선 = 73 4.3 자재조달 의사결정지원 모델 = 79 4.3.1 자재조달 계획 = 81 4.3.2 자재조달 실행 = 84 4.4 소결 = 89 제 5장 자재조달 의사결정지원 Prototype System 개발 = 91 5.1 시스템의 구성 = 91 5.2 시스템의 기능 = 92 5.3 정보 흐름 = 93 5.4 User Interface = 94 5.5 자재조달 의사결정지원 Prototype System = 97 5.5.1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가정 = 97 5.5.2 모델의 시험 적용 = 98 5.6 적정성 검증 = 113 5.6.1 개선된 조달업무 프로세스의 적정성 = 114 5.6.2 의사결정지원 정보 체계의 유효성 = 116 5.6.3 의사결정 방법 개선 = 118 5.7 소결 = 120 제 6장 결론 = 121 6.1 연구의 수행 결과 = 123 6.2 연구의 기대효과 = 127 6.3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 128 참고 문헌 = 129 부록 1 용어의 정리 = 132 부록 2 자재조달 계획 = 133 부록 3 자재조달 실행 = 134 ABSTRACT = 135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전용자재의 다중현장 조달업무를 위한 의사결정지원 모델 | - |
dc.title.alternative | Han, Ju Yeoun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an, Ju Yeoun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 |
dc.date.awarded | 2005.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4867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59 | - |
dc.subject.keyword | 의사결정모델 | - |
dc.subject.keyword | 자재조달 | - |
dc.subject.keyword | 다중현장관리 | - |
dc.subject.keyword | 정보화 | - |
dc.subject.keyword | 중견건설업체 | - |
dc.subject.keyword | 전용자재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o compete with major contractors whose dominance in market share is deepening recently, the needs for improving field production system of medium-sized contractors have increased rapidly. A major contractor usually allows each construction site to be managed by the site itself. A medium-sized contractor, on the other hand, concurrently manages 5~15 construction sites which are controlled by head office. For medium-sized contractors, therefore, the efficiency of multiple project management become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uccess of company management. A medium-sized contractor tends to manage multiple projects in a manner which controls each project separately, and it results in inefficiency especially in resources management, Thus it is needed to develop a methodology to manage resources of multiple projects in an integrated fashion. It is also desired that the methodology allows head office of contractors to make resource delivery decisions based on real time information from multiple projects. In this context the study presents a decision support model for procurement of reusable construction material in multiple project management.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Literature survey related to resource planning was performed. Through case studies of resources procurement practice in three medium-sized contractors, it is identified that problems exists in the process of resource planning, the distribution of work load, information on reusable materials and the methodology to make decisions. 2)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the study has concluded that, instead of an automation model based on simple computerization, a system model is recommended which supports decision making in resources management by reflecting real time information from multiple projects in an integrated manner. 3) In this context, the study has conducted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in contractors to propose a process of resources management which can be divided by sub-processed in terms of phases in decision making, established a decision making support system by identifying all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suggested a resource pool which integrates a decision support system and real time information of resource using status from multiple projects. 4) As a result of the study, a proto-type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implementation, and case studies with the system has been performed for valid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implementation study, the study has concluded that the suggested methodology has a great potential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resource management by improving the decision making practices of medium-sized contractor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