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지 자연환경 계획의 거주자 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閔丙昊-
dc.contributor.autho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18-11-14T05:31:12Z-
dc.date.available2018-11-14T05:31:12Z-
dc.date.issued2005-08-
dc.identifier.other597-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4331-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亞州大學校 大學院 :건축학과,2005. 8-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주민의 일상생활과 일상행위에 연관된 자연을 밝히는 데 있다. 자연환경의 유형을 분류하고, 자연환경 유형에 따른 행위의 특성을 파악하여 자연계획 공간과 비자연계획 공간에 따른 행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용인에 위치한 기흥 상갈 금화마을 주공 그린빌 2,3,4,5,6단지를 대상으로 행위 관찰을 시행하였다. 금화마을 주공 그린빌은 총 2761세대이며, 10,20,30,40평형대의 분양과 임대주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주한지 3년 정도 된 단지로 기반시설이나 주변 시설들이 자리를 잡았으며, 근린주구 내에는 근린공원이나 어린이 공원과 같은 시설들이 풍부하게 계획되어 있다. 자연친화의 개념을 가지고 공모를 통해 계획된 주거지로써 자연을 모티브로 주거지 내부를 계획하였다.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04년 8월에서 10월에 걸쳐 3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는 주중과 주말을 번갈아 총 7회의 행위 관찰이 시행되었다. 조사 시간은 가장 외부의 활동이 많다고 판단되는 15:00시~ 18:00시에 1인의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총 445개의 행위가 관찰되었다. 연구는 행위관찰 자료와 지도 분석, 사진분석을 함께 수행하였다. 금화마을의 자연계획환경은 자연요소의 특성과, 위치, 행위와의 관계, 단지계획에 있어서의 디자인 의도를 고려하여 ?남겨진 자연환경?, ?자연과 유사한 계획 공간?, ?자연요소 테마 계획공간?, ?보조적, 부수적 자연녹지 공간?, 그리고 ?비자연 계획 공간?의 5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진다. 자연친화 계획으로 자연 속성의 공간 비율이 크게 높아 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연환경 공간에 대한 이용은 비자연환경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계획의도가 분명한 비자연적 공간의 사용이 자연을 의도적으로 조성한 자연적 공간보다 이용 측면에서 거주자에 의해 더 많이 이용되고 있고, 이는 입주자의 일상적 경험 측면에서 볼 때 자연요소 및 자연친화 계획이 매우 비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민들의 일상적인 행위의 다수가 자연과 연관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주거지외부 공간 자연환경을 행위 집단규모, 행위 유형 측면으로 분석해보면, 거주자의 사회적인 활동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의 자연친화적 단지 계획은 주민의 모임, 집단활동 등 사회교류 및 커뮤니티(community) 의식과는 무관하다. 자연 속성을 가진 공간들은 사회적인 측면의 지원 보다는 2인 이하의 사적인 행위를 지원한다고 보여진다. 자연공간은 아동, 청소년보다는 성인, 가족단위의 행위 공간이다 자연공간에서의 행위는 일부로 치중되어 보여지며, 특히 사회적인 모임, 놀이, 휴식과 같은 사회적인 성격의 행위가 빈약하며, 아이들의 적극적인 놀이 행위를 지원해 주지 못하고 있다. 자연환경계획 공간에서 발생하는 행위는 자연요소를 사용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외부 공간의 행위들 대체적으로 자연환경계획 의도에 부합하는 않으며, 자연환경 계획 의도에 순응하지 않는 자연계획과 무관한 행위가 비교적 많다. 자연환경의 잠재적인 행위자원은 풍부하지만, 이러한 것을 일상 외부 행위에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지 못하다. 이런 결과를 통해 우리 주거지 내의 자연계획 환경에 대해 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자연환경의 그 접근성에 있어 문제가 있다. 자연계획 영역에는 주로 물리적 경계로 구분되어 있다. 따라서 주민들의 인식상 접근이 어렵다 또한 보존녹지가 지구 중심, 생활영역의 중심이 아닐 뿐만 아니라, 대로 혹은 울타리들로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다. 자연은 Functional Supports의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계획되고 있지 못하다. 일상생활행위와 근접한 자연이 아니다. 뿐만 아니라, 행위의 구성에 있어서도 장보기, 놀이기구 놀이, 공놀이, 모임, 만남과 같은 다른 주거행위들과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마지막으로, 주거지 외부의 공간계획은 매우 지시적이며, 과도한 대안을 가지고 있다. 공간의 성격이 지나치게 섬세하고 구체적이어서, 공간에서의 창의적인 행위의 동기가 발생되지 않는다. 자연 환경은 무한한 행위자원을 가지고 있는 공간이며,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간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의 계획이 제공하고 있는 자연공간은 그 자원이 제한적이고, 가능한 행위 역시 제한되어 있다. 좀 더 가까이 갈 수 있는 자연 환경,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자연 환경, 참여할 수 있는 자연환경과 같은 자연적인 계획공간 형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며, 행위를 발생시키는 자연자원, 속성에 대한 좀 더 깊은 연구와 계획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1.1. 연구의 배경 = 1 1.1.2. 연구의 목적 = 3 1.1.3. 연구진행 = 4 1.2. 연구의 문제 = 6 1.3. 연구의 내용 = 7 제2장 이론적 고찰 = 9 2.1. 자연의 분류 = 9 2.1.1. 자연의 분류에 대한 이론적 고찰 = 9 2.2. 자연환경, 요소의 역할 및 효과 = 12 2.2.1. 자연환경, 요소의 심리적인 측면에 있어서의 효과 = 12 2.2.2. 자연환경, 요소의 물리적 측면(이용도, 행위)에 있어서의 효과 = 17 2.2.3. 자연환경, 요소의 사회적인 측면에 있어서의 효과 = 21 제3장 연구방법 = 25 3.1. 연구방법 = 25 3.2. 연구절차 = 28 3.2.1. 연구대상지 선정 기준 = 28 3.2.2. 연구대상 = 29 3.2.3. 연구 대상지 개요 = 30 3.2.4. 단지별 계획요소 = 35 제4장 연구결과 = 41 4.1. 대상지의 자연의 정도 분류 = 41 4.1.1. 금화 마을에 계획된 자연환경의 분류의 기준설정 과정 = 41 4.1.2. 금화 마을에 계획된 자연환경의 분류 = 42 4.2. 주거지 외부 공간의 행위 = 52 4.2.1. 자연계획 환경 유형에 따른 행위 빈도 = 52 4.2.2. 외부공간계획 유형에 따른 행위 빈도 = 55 4.2.3. 단지별 자연유형, 공간계획에 따른 행위빈도 = 56 4.2.4. 행위의 그룹 규모 = 63 4.2.5. 행위자 특성(외부공간 이용자 특성) = 67 4.2.6. 행위의 사회적인 성격 = 70 4.3. 주거지 외부 공간의 행위 성격 분석 = 76 4.3.1. 행위 유형 분류 = 76 4.3.2. 행위 자원의 성격(자연적 자원/ 비자연적 자원) = 101 4.3.3. 주거지 외부 공간의 행위의 디자인 의도 의존성/비의존성 = 110 4.3.4. 특정 연령층에 대한 외부 행위 분석 = 118 제5장 결 론 = 123 제6장 Discussion = 127 참고문헌 = 182 ABSTRACT = 186-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주거지 자연환경 계획의 거주자 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Effects of Natural Elements on Resident's Outdoor Behavior-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yunjung-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05.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4714-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597-
dc.subject.keywordApartment-
dc.subject.keywordNatural environment-
dc.subject.keywordDaily experience/activity-
dc.subject.keywordOutdoor space use-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nature related to the residents' daily life, activities, experiences. We classify the nature according to physical trait, design intention, and relation to resident's behaviors. According to these classifications, we analyze character of behavior. And doing so, we trace to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natural spaces and artificial spaces. We selected the field that suits this study's purpose in terms of several criteria as follows; 1) a term of occupancy: more than 2 years (constructed infrastructure around the neighborhood) 2) a geographical range: the south of the national capital region (for efficiently study process) 3) a design trend: environmentally benign planning According to these criteria, Giheung Sanggal Kumhwa Greenvill was selected. As a investigation method, behavior observation was systemically carried out 7 times at 15:00∼18:00 for three months (from August to October, 2004). As a result, 445 behaviors were observed totally. And then, map analysis, picture analysis were went abreast. Planned natural environments in Keumhwa Neighborhood were sorted by 5 categories - 1) re-served natural, 2) designed natural, design to make an area look as natural as reserved natural area, 3) design with a natural element as a key design concept, 4) green buffer areas, 5) all other open areas - according to physical trait, design intention, and relation to resident's behaviors. After late 1990's, environmentally benign planning are important in Korea. Although the ratio of natural space area was increasing in terms of this planning trend, using ratio of natural space was lower than that of artificial space. In the aspects of resident's daily experience, these mean that planning nature was un-efficient and many residents' daily activities are not related to nature. In a social aspect, nature doesn't support to residents' social activities. Recent environmentally benign plan don't support to residents' social gathering, group activity, and community. Natural space, therefore, supports to private activities (especially, adults activities - exercise, stroll - family's activities) more efficiently than social aspects. Natural space is adult's and family's space. Although residents act in natural space, people don't use natural elements directly. These activities, also, are not corresponding to design intention. Natural environment has many behavioral resources potentially, but residents don't act using these resources positively in outdoor spaces. These results show us that planned natural environments were seriously considered. Firstly, the natural environments are divided clearly in terms of physical boundary (eg. a fence, a boundary stone, a boulevard, avenue, etc.). Secondly, in aspects of functional supports, nature wasn't plan effectively. The residents, therefore, can't approach easily on perception. Also, reserved nature isn't located in the center of district and resident's life territory. Accordingly, organization of natural environment doesn't accord with organization of resident's daily activity. Finally, design and planning is too specific, directional. Residents are motivated actively, creatively because of the character of space is specific, concrete. Natural environment has infinite behavioral resources, and we obtain diversity effects from natural environment. But, the planning of natural environment offers residents restrictive resources among the infinite natural resources, so that practicable activities are limited. We must consider accessibility, direct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about nature. For doing so, we need to study on natural resources related to residents' daily activities.-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Architectur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