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간호팀 간호사의 환자존엄성에 대한 실천과 관련 요인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김춘자 | - |
dc.contributor.author | 장희수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28:37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28:37Z | - |
dc.date.issued | 2018-08 | - |
dc.identifier.other | 27889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4144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2018.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수술간호팀 간호사의 환자존엄성에 대한 실천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수술환자의 존엄성에 대한 간호사의 실천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수술간호팀 간호사 103명을 대상으로 2018년 2월 5일부터 2월 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화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Ferri 등(2015)과 박연옥 등(2006)이 개발한 도구를 수정·보완한 도구로 수술간호팀 간호사의 환자존엄성 실천과 인식을 측정하였다. 환자존엄성 실천의 장애정도는 Macaden 등(2017)이 환자존엄성 실천에 방해가 되는 요인을 도출한 모형을 토대로 구성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환자존엄성 실천은 평균평점 4.14점(5점 만점)이었다. 하위 영역에서 신체적 프라이버시 영역(4.08점)의 실천 정도가 가장 낮았고 정보 및 자율성 영역(4.17점)과 간호사-환자 상호작용 영역(4.17점)의 점수가 같았다. 대상자의 환자존엄성 인식은 평균평점 4.57점(5점 만점)이었다. 하위 영역에서는 정보 및 자율성 영역(4.60점), 신체적 프라이버시 영역(4.58점), 간호사-환자 상호작용 영역(4.54점)순으로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환자존엄성 실천의 장애정도는 평균평점 3.29점(5점 만점)이었고 업무적 요인(3.66점), 조직적 요인(3.50점), 환경적 요인(3.36점), 개인적 요인(2.68점) 순으로 높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실천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대상자의 환자존엄성 실천은 환자존엄성 인식, 환자존엄성 실천의 장애정도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 .53, p〈 .001, r=.-46, p〈 .001). 환자존엄성 인식과 환자존엄성 실천의 장애정도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r= -.17, p= .084). 3. 대상자의 환자존엄성 실천의 영향요인은 환자존엄성 인식(β=.60, p〈.001)과 환자존엄성 실천의 장애정도(β=-.32, p〈.001)로 총 41.4% 설명력을 나타내어 유의한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R2=.414, F=35.28, p〈.001). 이상에서 수술간호팀 간호사의 환자존엄성 실천의 영향요인은 환자존엄성 인식과 환자존엄성 실천의 장애정도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환자존엄성 실천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환자존엄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환자존엄성 실천의 장애요인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감사의글 ⅰ 국문요약 ⅱ 차 례 ⅳ 표 차 례 ⅵ 부록차례 ⅶ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6 A. 환자존엄성 6 B. 환자존엄성 실천의 관련 요인 9 Ⅲ. 연구방법 11 A. 연구 설계 11 B. 연구 대상자 11 C. 연구도구 12 D. 자료 수집 방법 14 E. 윤리적 고려 14 F. 자료 분석 방법 15 Ⅳ. 연구결과 16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B. 대상자의 환자존엄성 실천과 인식 및 장애정도 19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존엄성 실천의 차이 22 D. 환자존엄성 실천 관련 요인들 간의 관계 24 E. 환자존엄성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5 Ⅴ. 논의 27 Ⅵ. 결론 및 제언 34 A. 결론 34 B. 제언 35 참고문헌 36 부록 40 영문초록 61 표 차 례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 <표 2> 수술환자 존엄성 보호에 특별히 주의가 필요한 상황에 대한 개방형 응답 18 <표 3> 대상자의 환자존엄성 실천과 인식 및 장애정도 21 <표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존엄성 실천의 차이 23 <표 5> 대상자의 환자존엄성 실천과 관련 요인 간의 상관관계 24 <표 6> 대상자의 환자존엄성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6 부록 차례 <부록 1> 대상자의 환자존엄성 실천과 인식 도구의 내용타당도 40 <부록 1-1> 대상자의 환자존엄성 실천의 장애정도 도구 내용타당도 41 <부록 2-1> 신체적 프라이버시 영역 문항별 환자존엄성 실천과 인식 42 <부록 2-2> 정보 및 자율성 영역의 문항별 환자존엄성 실천과 인식 43 <부록 2-3> 간호사-환자 상호작용 영역의 문항별 환자존엄성 실천과 인식 44 <부록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존엄성 실천과 인식차이 45 <부록 4> 대상자의 실천과 인식 및 장애정도의 하위 영역 간의 상관관계 46 <부록 5> 연구대상자 설명문 47 <부록 6> 연구대상자 동의서 50 <부록 7> 연구설문지 51 <부록 8> 내용타당도 설문지 55 <부록 9> 분당서울대학교병원 IRB 심의결과통지서 59 <부록 10> 아주대학교병원 IRB 심의결과통지서 60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수술간호팀 간호사의 환자존엄성에 대한 실천과 관련 요인 | - |
dc.title.alternative | Factors influencing nurses’ support of dignity in the care of patients undergoing surgery in the operating room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ee-Soo Jang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 |
dc.date.awarded | 2018.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887708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27889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27889 | - |
dc.subject.keyword | 실천 | - |
dc.subject.keyword | 수술간호팀 간호사 | - |
dc.subject.keyword | 인식 | - |
dc.subject.keyword | 장애정도 | - |
dc.subject.keyword | 환자존엄성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