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수사의문문의 실현 방법 대조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상신 | - |
dc.contributor.author | LI MENGHUI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28:36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28:36Z | - |
dc.date.issued | 2018-08 | - |
dc.identifier.other | 27891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4141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2018.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고는 맥락에서 독립적일 때의 한・중 수사의문문 실현 방법의 대조를 통해 양국 수사의문문의 실현 방법의 유사한 점과 상이한 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수사의문문에 관련된 기본적인 이론을 논의하였다. 먼저 수사의문문의 정의를 내렸고 그다음에 수사의문문의 맥락의존적인 실현 및 맥락독립적인 실현과 관련된 요소 및 실현 방법을 살펴보았다. 예를 통해 한・중 모두 ‘의문사’, ‘부사’ 그리고 ‘운소’를 활용해서 수사의문문을 실현할 수 있는 특징을 밝혔다. 3장에서는 맥락독립적일 때의 한국어 수사의문문 실현 방법을 ‘수사의문 고정 형식의 사용’, ‘수사의문 부사의 사용’, ‘운소의 사용’ 그리고 ‘보조사의 사용’ 네 가지 방법으로 자세히 살펴보았다. 먼저 ‘수사의문 고정 형식의 사용’ 방법을 크게 셋으로 나눴는데, 첫째, ‘∼ -기는 의문사 ∼?’, ‘∼ -은/는 무슨?’, ‘∼ -는 법이 어디 있- ∼?’, ‘∼ -ㄹ/을 리가 있- ∼?’, ‘∼ -다는 것(이) 말이 되- ∼?’, ‘∼ -으면 얼마나 ∼ -겠- ∼?’ 및 ‘∼ -이/가 다 뭐 ∼?’와 같은 일반적인 형식을 사용하는 방법, 둘째, 홀로 수사의문문을 실현할 수 없는 부사 ‘어찌’가 형성한 형식 ‘어찌/어떻게 ∼ -겠- ∼?’을 사용하는 방법, 셋째, ‘아무리 하더라도’의 뜻이 드러나고 어떤 상황을 가정하여 인정한다고 해도 그것으로 인해 기대되는 결과가 예상과 다른 내용이거나 부정됨을 의미하는 연결어미들이 형성한 형식 ‘∼ -은들 ∼ -겠- ∼?’, ‘∼ -다손 치더라도/치고 ∼ -겠- ∼?’, ‘∼ -기로서니 ∼ -겠- ∼?’ 및 ‘∼ -ㄴ/는 댔자 ∼ -겠- ∼?’을 사용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그다음에 ‘수사의문 부사의 사용’ 방법을 주로 부사 ‘설마’, ‘오죽’ 및 ‘하물며’를 문장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살펴보고 ‘운소의 사용’ 방법을 주로 ‘억양’과 ‘강세’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마지막에 ‘보조사의 사용’ 방법을 보조사 ‘는’을 사용해 ‘누구’, ‘언제’ 등 의문사와 결합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맥락독립적일 때의 중국어 수사의문문 실현 방법을 ‘수사의문 고정 형식의 사용’, ‘수사의문 부사의 사용’ 및 ‘운소의 사용’ 세 가지 방법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수사의문 고정 형식의 사용’ 방법을 한국어 수사의문 고정 형식과 대응하는 수사의문 고정 형식 ‘哪有 ∼ 的道理呢?’, ‘哪会 ∼ 呢?’, ‘∼ 像话吗?’ 및 ‘怎么能 ∼ 呢?’와 한국어와 대응하지 않고 중국어에서만 있는 수사의문 고정 형식 ‘不是 ∼ 吗?’, ‘∼ 不就行(可以)了吗?’, ‘还 ∼ 不成?’, ‘不就是 ∼ 吗?’, ‘不也是 ∼ 吗?’, ‘不都是 ∼ 吗?’ 및 ‘哪有什么 ∼ 呢?’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눠서 고찰하였다. 그다음에 ‘수사의문 부사의 사용’ 방법을 주로 부사 ‘难道’, ‘何’류 부사 및 ‘岂’류 부사들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고찰하였고 ‘운소의 사용’ 방법을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억양’과 ‘강세’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고찰하였다. 5장에서는 맥락독립적일 때의 한・중 수사의문문 실현 방법을 대조하였다. ‘보조사의 사용’ 방법은 한국어만 가진 방법이므로 중국어와 대조하지 않았고 이 방법을 제외한 다른 방법을 모두 한국어와 중국어를 대응시켜 대조하였다. 먼저 ‘수사의문 고정 형식의 사용’ 방법의 대조를 ‘뜻이 같으면서도 한・중 양국에서 모두 수사의문 고정 형식으로 삼을 수 있는 형식을 사용하는 것의 대조’, ‘뜻이 같은 한국어 수사의문 고정 형식과 중국어 비수사의문 고정 형식을 사용하는 것의 대조’, ‘뜻이 같은 중국어 수사의문 고정 형식과 한국어 비수사의문 고정 형식을 사용하는 것의 대조’ 세 가지로 나눠서 살펴보았다. 그다음에 ‘수사의문 부사 사용’ 방법의 대조를 ‘이 방법에 적합한 한국어 부사와 중국어 부사를 사용하는 것의 대조’, ‘이 방법에 적합한 한국어 부사 및 한국어 부사와 뜻이 같지만 이 방법을 적합하지 않은 중국어 부사를 사용하는 것의 대조’ 그리고 ‘이 방법에 적합한 중국어 부사 및 중국어 부사와 뜻이 같지만 이 방법에 적합하지 않은 한국어 부사를 사용하는 것의 대조’ 세 가지로 나눠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에 ‘운소 사용’ 방법의 대조를 ‘억양 사용의 대조’와 ‘강세 사용의 대조’로 나눠서 살펴보았다. 즉, 한・중 대응하는 억양을 통해 수사의문문을 실현하는 것과 한・중 양국 강세를 통해 수사의문문을 실현하는 것에 유사한 경우와 상이한 경우를 살펴보았다. 본고는 기존의 한・중 수사의문문의 연구 중에 많지 않은 수사의문문의 맥락독립적인 실현에 대한 연구를 보충하는 것과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수사의문문의 실현 방법을 학습할 때 또는 한국인 교사가 중국인 학습자에게 수사의문문의 실현 방법을 가르칠 때의 기초 이론을 제공하는 것에도 의미가 있다고 본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선행 연구 4 1.3. 연구 방법 및 구성 9 2. 기본적 논의 11 2.1. 수사의문문의 개념 11 2.2. 한・중 수사의문문의 특징 14 2.2.1. 한국어 수사의문문의 특징 15 2.2.2. 중국어 수사의문문의 특징 17 3. 한국어 수사의문문의 실현 방법 21 3.1. 수사의문 고정 형식의 사용 21 3.1.1. ‘∼ -기는 의문사 ∼?’의 사용 23 3.1.2. ‘∼ -은/는 무슨?’의 사용 25 3.1.3. ‘∼ -는 법이 어디 있- ∼?’의 사용 27 3.1.4. ‘∼ -ㄹ/을 리가 있- ∼?’의 사용 27 3.1.5. ‘∼ -다는 것(이) 말이 되- ∼?’의 사용 28 3.1.6. ‘어찌/어떻게 ∼ -겠- ∼?’의 사용 29 3.1.7. ‘∼ -으면 얼마나 ∼ -겠- ∼?’의 사용 30 3.1.8. ‘∼ -이/가 다 뭐 ∼?’의 사용 31 3.1.9. ‘∼ -은들 ∼ -겠- ∼?’의 사용 31 3.1.10. ‘∼ -다손 치더라도/치고 ∼ -겠- ∼?’의 사용 32 3.1.11. ‘∼ -기로서니 ∼ -겠- ∼?’의 사용 33 3.1.12. ‘∼ -ㄴ/는 댔자 ∼ -겠- ∼?’의 사용 34 3.2. 수사의문 부사의 사용 35 3.2.1. ‘설마’의 사용 35 3.2.2. ‘오죽’의 사용 35 3.2.3. ‘하물며’의 사용 37 3.3. 운소의 사용 38 3.3.1. 억양의 사용 38 3.3.2. 강세의 사용 41 3.4. 보조사의 사용 43 4. 중국어 수사의문문의 실현 방법 45 4.1. 수사의문 고정 형식의 사용 45 4.1.1. ‘∼ 什么 ∼?’의 사용 45 4.1.2. ‘哪有 ∼ 的道理呢?’의 사용 46 4.1.3. ‘哪会 ∼ 呢?’의 사용 47 4.1.4. ‘∼ 像话吗?’의 사용 48 4.1.5. ‘怎么能 ∼ 呢?’의 사용 49 4.1.6. ‘不是 ∼ 吗?’의 사용 50 4.1.7. ‘∼ 不就行(可以)了吗?’의 사용 51 4.1.8. ‘还 ∼ 不成?’의 사용 52 4.1.9. ‘不就是 ∼ 吗?’의 사용 53 4.1.10. ‘不也是 ∼ 吗?’의 사용 54 4.1.11. ‘不都是 ∼ 吗?’의 사용 55 4.1.12. ‘哪有什么 ∼ 呢?’의 사용 56 4.2. 수사의문 부사의 사용 56 4.2.1. ‘难道’의 사용 56 4.2.2. ‘何’류 부사의 사용 57 4.2.3. ‘岂’류 부사의 사용 61 4.3. 운소의 사용 63 4.3.1. 억양의 사용 63 4.3.2. 강세의 사용 65 5. 한・중 수사의문문 실현 방법의 대조 68 5.1. 수사의문 고정 형식 사용의 대조 68 5.2. 수사의문 부사 사용의 대조 81 5.3. 운소 사용의 대조 84 6. 결론 88 참고문헌 92 中文摘要 95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한·중 수사의문문의 실현 방법 대조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Contrastive Study on the Realization of Rhetorical Questions in Korean and Chinese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I MENGHUI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 |
dc.date.awarded | 2018.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887705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27891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27891 | - |
dc.subject.keyword | 수사의문문 | - |
dc.subject.keyword | 실현 방법 | - |
dc.subject.keyword | 한·중 대조 | - |
dc.subject.keyword | 맥락 독립적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