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진희-
dc.contributor.author이은영-
dc.date.accessioned2018-11-08T08:28:19Z-
dc.date.available2018-11-08T08:28:19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28060-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4089-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2018. 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환자실 환자의 일반 병동으로의 전실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해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 서울과 충남지역에 위치한 두 개 대학병원 내·외과계 중환자실에서 최소 48시간 이상 재원 후 일반 병동으로 전실이 이루어진 3일에서 5일 이내의 성인 환자 15명이다. 본 연구 참여자의 전실 경험은 8개의 주제와 4개의 주제모음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에 대한 4개의 주제모음은 ‘절망에서의 희망’, ‘살아남에 대한 감사’, ‘고통에서의 회복’,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한 다짐’으로 도출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요약 ⅰ 차례 ⅲ 그림 차례 ⅴ 표 차례 ⅵ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5 Ⅱ. 문헌고찰 A.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6 B.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동향 9 C. 간호연구에서의 현상학적 접근 12 Ⅲ. 연구 방법 A. 연구 설계 14 B. 연구 참여자 14 C. 자료 수집 18 D. 자료 분석 21 E. 연구의 질 확보 25 F. 질적 연구에 대한 연구자의 준비 27 G. 윤리적 고려 28 Ⅳ. 연구 결과 A. 주제모음 1. 절망에서의 희망 31 B. 주제모음 2. 살아남에 대한 감사 40 C. 주제모음 3. 고통에서의 회복 50 D. 주제모음 4.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한 다짐 64 E. 현상학적 글쓰기 74 Ⅴ. 논의 A.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 77 B. 연구의 의의 83 Ⅵ. 결론 및 제언 A. 결론 85 B. 제언 86 참고문헌 87 부록 97 ASTRACT 103-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dc.title.alternativeEunyoung Lee-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Eunyoung Lee-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2018.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887605-
dc.identifier.uciI804:41038-000000028060-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28060-
dc.subject.keyword중환자실-
dc.subject.keyword현상학적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Nurs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