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인의 불만족 반응행태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배상석-
dc.contributor.author박천희-
dc.date.accessioned2018-11-08T08:27:14Z-
dc.date.available2018-11-08T08:27:14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26774-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3886-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2018. 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첫째, 과학기술인의 불만족 반응행태(Exit, Voice, Loyalty, Indifference)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직의 회복과 성장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둘째, 불만족 반응행태 간 구조관계에 대한 논의를 통해 기존 이론의 개선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자의 결정요인 연구는 조직의 회복을 도모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기 위한 성격이었으며, 후자는 Hirschman(1970)의 EVL 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이론적 측면의 함의를 제공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목적인 이탈, 항의, 충성, 무관심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들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가정되는 독립변수들을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요약·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Farrell(1983)에 의해 제기된 태만(neglect)이라는 개념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무관심(indifference)을 유사 개념들과 비교·분석하여 개념적 차별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구성원의 불만족 반응행태를 설명하기 위한 변수를 일부 영역에 국한하여 사용하고 있어 종합적인 시각에서의 결정요인 탐색 노력은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독립변수를 특정 영역에 국한하지 않고 포괄적인 영역을 다룰 수 있도록 연구 모형을 구성하였다. 두 번째 목적인 EVLI 간 관계에서는 Hirschman(1970)이 주장한 항의와 이탈의 관계에서 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나아가 Barry(1974)가 비판한 집단행동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도록 충성과 항의의 관계에서 무관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와 같이 반응행태 간 관계에 대한 논의를 진행함에 있어 아쉬웠던 점은 국내외 연구를 통틀어 EVL 간 관계에 대한 연구가 극히 소수였다는 데 있다. EVL의 개념을 차용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Hirschman(1970)의 의도를 적절하게 논의하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판단된다. 대부분의 연구들은 Hirschman(1970)과 Farrell(1983)이 제안한 개념을 종속변수로 활용하거나, EVL의 개념을 대상, 주체, 성격 등에 따라 분류하는 연구들이 대다수로 확인된다. 이와 같은 연구들도 개념의 발전에 있어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은 분명하나, 원 저자의 의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비판의 여지를 남긴다. 분석 결과, 과학기술인들이 처해 있는 직무나 환경특성 등은 그들의 불만족 반응행태(EVLI)에 체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조직의 관리자가 구성원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라는 함의를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불만족 반응행태 간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Hirschman(1970)의 EVL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나아가 무관심이 포함된 EVLI 모형을 제안하여 집단행동의 문제를 일부 보완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모형의 검증과 보완 연구는 향후 구성원의 불만족 반응행태에 관한 다각적인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5 제2절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8 1. 연구대상 8 2. 연구방법 10 3. 논문의 구성 11 제2장 선행연구 분석 13 제1절 과학기술인력의 개념 및 연구 경향 13 1. 과학기술인력(HRST)의 개념 13 2. 국내외 연구 경향 16 가.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인력 정책의 흐름 16 나. 국내의 과학기술인력 연구 경향 20 (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 20 (2)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용 실태조사 23 (3) 연구개발활동조사 24 (4) 그 외 실태조사 및 학술연구 경향 26 다. 국외의 과학기술인력 연구 경향 28 제2절 EVLN의 개념 및 연구 경향 39 1. EVLN의 개념 39 가. 이탈(exit)의 개념 40 나. 항의(voice)의 개념 42 다. 충성(loyalty)의 개념 46 라. 태만(neglect)과 침묵(silence)의 개념 49 2. EVLN의 연구 경향 61 3. EVLN 간 관계에 관한 논의 68 제3절 EVLN의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72 1. 인구사회학적 및 통제변수 72 가. 인구사회학적 변수 72 나. 개인의 성격, 노동조합 가입여부, 고용가능성(대안) 75 2. 직무 특성 77 3. 제도 87 4. 리더십 91 5. 조직 문화 97 제4절 연구모형 설계 108 1. 연구1: EVLI의 결정요인 분석 108 가. 통제변수 108 나. 직무특성 변수 111 다. 제도 변수 113 라. 리더십 변수 114 마. 조직문화 변수 115 2. 연구2: EVLI의 구조적 관계 분석 117 제3장 연구 설계 121 제1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121 제2절 변수의 측정 123 1. 종속변수의 측정 123 2. 독립변수의 측정 126 제4장 분석 결과 130 제1절 기초 통계 130 1. 기초분석 130 2. 상관관계 분석 133 가. EVLI 간 관계 133 나. 인구사회학 변수와 EVLI 135 다. 통제변수와 EVLI 135 라. 직무특성과 EVLI 137 마. 제도인식과 EVLI 137 바. 리더십-조직문화와 EVLI 138 제2절 EVLI의 결정요인 분석 140 1. 이탈의 결정요인 분석 140 2. 항의의 결정요인 분석 144 3. 충성의 결정요인 분석 147 4. 무관심의 결정요인 분석 150 5. 결정요인 비교분석 154 제3절 EVLI 변수 간의 구조관계 분석 158 1. Hirschman(1970) 모형의 검증 : 항의, 이탈, 그리고 충성의 관계 159 2. Hirschman(1970) 모형의 확장 : 충성, 항의, 그리고 무관심의 관계 163 제5장 결론 및 함의 166 제1절 연구결과 요약 166 제2절 연구의 함의 및 한계 171 1. 연구의 함의 171 2. 연구의 한계 178 참고문헌 179 Abstract 212-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과학기술인의 불만족 반응행태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HRST’s responses to dissatisfaction : Focused on researcher of government-funded institutes-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Cheon-Hee-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18. 2-
dc.description.degreeDoctoral-
dc.identifier.localId800848-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74-
dc.subject.keyword과학기술인-
dc.subject.keyword불만족 반응행태-
dc.subject.keywordEVLI 모형-
dc.subject.keywordEVLI 간 구조적 관계-
dc.title.subtitle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소 구성원을 대상으로-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