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 말 순조 초 수원 별시 및 수원 유생 응제시 급제자의 인적 네트워크와 정치적 행보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조성을 | - |
dc.contributor.author | 이정아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26:50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26:50Z | - |
dc.date.issued | 2018-02 | - |
dc.identifier.other | 27578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3811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학과,2018. 2 | - |
dc.description.abstract | 현륭원顯隆園의 건설을 시작으로 화성 성역 및 신도시 경영이 진행될 때, 수원에서는 이례적으로 많은 문과 급제자가 배출되었다. 급제자의 배출은 현륭원을 완공한 이듬해인 1790년(정조 14)의 수원별시水原別試, 1791년(정조 15) 3월부터 1795년(정조 19) 6월까지 거의 매달 행해진 유생 응제시儒生應製試 그리고 1795년(정조 19) 화성의 건설 중에 시행된 수원별시를 통해 나타났다. 급제자들에 대한 비교적 상세하고 명확한 명단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급제자들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논고에서는 급제자들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수원 별시 및 수원 유생 응제시가 갖는 정치적 의의를 발견하고자 한다. 정조 시대는 붕당의 공존이 무너지고 극심한 정치적 분열을 맞이한 조선 왕조에서 정치적 통합을 위한 새로운 체제를 적극적으로 모색한 시기였다. 정조는 국왕을 중심으로 사회가 통합되는 ‘대동大同의 정치’를 이상적인 세계로 보고 탕평정치를 통해 이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그 일환으로 정조는 수원에 현륭원을 건설하며 「현륭원지문顯隆園志文」을 통해 사도세자의 덕을 천명하는 공적의리公的義理를 구상하였다. 이를 시작으로 국력을 총동원한 국가적 사업인 화성 성역과 신도시 건설이 진행되었다. 화성성역은 시대의 국가적 사업이므로, 그 전 과정은 당시 조선의 국가적 지향성과 연관지어 파악되어야 한다. 그 지향점은 결국 사업의 구상자이자 시행 주체의 정점인 국왕 정조의 정치관, 즉 ‘대동大同의 정치’ 구현일 것이다. 화성 경영의 일부였던 수원 별시 및 수원 유생 응제시를 통한 인재 선발에도 마찬가지로 국왕 정조의 지향성이 반영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논고에서는 먼저 수원 별시 및 수원 유생 응제시의 시행과 선발 과정에서의 정조의 적극적인 개입과 깊은 관심을 사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정조는 응시자들에 대하여 자세한 정보를 파악하고 있었고, 급제자들에 대한 관심을 적극적으로 드러내었다. 여기서 나타나는 신新급제자와 국왕 정조의 유대관계는 모든 신민에 대한 국왕 자신의 직접적인 연계를 크게 의식하는 정조 탕평 정치의 특징적 모습이이기도 하다. 급제자들의 인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당색의 확인 결과 수원 별시 및 수원 유생 응제시에서 노론 4인, 소론 9인, 남인 6인이 선발되었다. 이것은 당파를 초월하여 인재를 등용하는 인사 탕평의 결과였다. 국왕을 중심으로 한 대통합된 사회를 이루기 위해 정조는 국왕을 정치의 중심에 세우는 성왕론聖王論을 제창하였으며 그것을 지지할 세력, 즉 남인 세력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또한 영조 연간 사도세자 보호계열이었던 인물들의 후손들이 선발되었다. 「현륭원지문」을 통한 정조의 공적 의리 천명은 사도세자의 덕을 천명하며 그의 죽음에 억울함이 있음을 밝히는 작업이었다. 즉 정조는 자신의 공적 의리를 중심으로 정치적 통합을 추진하기 위해 수원에서 사도세자의 지지 세력을 등용시킨 것이다. 정조의 공적 의리를 두고 일단의 견해가 나누어지는 것이 불가피하였다. 정조 후반기부터 순조 초반기까지의 시벽의 대립 정국에서 수원 별시 및 유생 응제시 급제자들은 서로 당색은 달랐으나, 그 발언들은 시파적 성향으로 일치하였다. 급제자들의 정치적 행보가 붕당의 분열을 극복하고 국왕을 중심으로 통합된 새로운 사회로의 모색에 편승하는 방향이었음을 알 수 있다. 수원 별시 및 수원 유생 응제시의 시행에서는 인재 선발에 적극적인 군주 정조의 모습이 드러났고, 그 결과 정조의 공적 의리와 성왕론적 정치관을 중심으로 통합될 수 있는 사도세자 추숭 세력과 남인을 포함한 고른 당색의 인재 선발이 이루어졌다. 서로 당색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일치하는 급제자들의 정치적 행보는 당파를 초월하여 국왕을 중심으로 통합된 사회를 이루고자 하였던 정조의 정치적 지향과 그 방향이 일치하고 있었다. 수원 별시 및 수원 유생 응제시는 국왕을 중심으로 한 사회 통합이라는 새로운 정치 체제를 모색하는 일련의 과정이었음을 알 수 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연구목적과 연구사 검토 1 2. 연구 범위와 논문의 구성 5 Ⅱ. 수원 별시 및 수원 유생 응제시의 실시 1. 수원 별시의 시행과 급제자 선발 9 2. 수원 유생 응제시의 시행과 급제자 선발 13 Ⅲ. 급제자의 인적 네트워크 1. 급제자별 가계의 인적 네트워크 22 2. 인적 네트워크의 분석 49 Ⅳ. 급제자의 출사 후 정치적 행보 1. 관직 진출 양상 52 2. 정조 후기(1790.2~1800.6) 59 3. 정순왕후 수렴청정기(1800.7~1803.11) 62 4. 순조 친정 초기(1803.12~1807.7) 66 Ⅴ. 결론 70 Ⅵ. 부록 75 참고문헌 Abstract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정조 말 순조 초 수원 별시 및 수원 유생 응제시 급제자의 인적 네트워크와 정치적 행보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Human Networks and Political Move of Successful Candidates of Suwon Special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Suwon Confucianist Literature examination in the ending days of King Jeong-Jo(正祖)'s reign and the early days of King Sun-Jo(純祖)'s reign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JEONG AH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사학과 | - |
dc.date.awarded | 2018.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800730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578 | - |
dc.subject.keyword | 정조 | - |
dc.subject.keyword | 수원 | - |
dc.subject.keyword | 화성 | - |
dc.subject.keyword | 수원 별시 | - |
dc.subject.keyword | 수원 유생 응제시 | - |
dc.subject.keyword | 급제자 | - |
dc.subject.keyword | 인적 네트워크 | - |
dc.subject.keyword | 정치적 행보 | - |
dc.subject.keyword | 인사 탕평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When it was going on the construction of Hwaseong and Suwon new city starting with building of Hyeonryungwon(顯隆園), there were many successful candidates of liberal arts(文科) in Suwon extraordinarily. Produce of successful candidates made from Suwon special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Suwon Confucianist literature examination. Although the list of successful candidates was adduced, a study on successful candidates has not conducted. In this manuscript, the main theme is to find political significance of Suwon special civic service examination and Suwon Confucianist literature examination through a positivistic study on successful candidates. Period of King Jeongjo(正祖) sought new system for political union in the Joseon(朝鮮) Dynasty faced with extreme political split after collapse of Bungdang(朋黨) Politic. King Jeongjo tried to achieve Great Harmony(大同) that society is integrated into the king through Tangpyong Politic. The design of Public Euli(義理) that clarify virtue of Prince Sado through Hyeonryungwon Epitaph was the part of Great Harmony. Starting with that, the national undertaking, construction of Hwaseong and Suwon new city was conducted. All process should be understood with national intention point because the construction of Hwaseong was the national undertaking. The intention point was the King Jeongjo’s one, the Great Harmony. King Jeongjo’s intention point will be reflected in Suwon special examination and Suwon Confucianist literature examination because it was the part of Hwaseong Construction. King Jeongjo’s assertive intervention and a keen interest in the examination and the selection process were verified from historical records. He understood detailed information of examinee in advance and expressed interest about examinee actively. The ties between King and new successful candidates is a characteristic that conscious of direct connection between King and the subjects in King Jeongjo’s Tangpyong politcs .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party, Noron(老論) of 4, Soron(小論) of 9, Namin(南人) of 6 were selected in Suwon special civic service examination and Suwon Confucianist literature examination. This was the result of Personnel Tanpyong policy that select talented person transcending the faction. The King Jeongjo needed Namin who will support Sheng-Wang theory(聖王論) that establish the king at the center of politics to achieve Great Harmony. Also descendants of force to had protected Prince Sado were selected. The king Jeongjo’s public Euli was to clarify the virtue of Prince Sado and the work to uncover Prince Sado’s wrongful death. In other words, King Jeongjo selected the force to support Prince Sado to progress political union. The division of opinion about King Jeongjo’s Public Euli was inevitable. Successful candidates’ political statements were generally coincided with a tendency of Shipa(時派)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opposition between Sipa and Byeokpa(僻派) in the ending days of King Jeongjo(正祖)'s reign and the early days of King Sunjo(純祖)'s reign even though their party were different one another. It can be seen that political move of successful candidates was going along with the King Jeongjo’s intention point. King Jeongjo’s assertive intervention and a keen interest in the examination were revealed. As a result, not only selection of candidates including force for movement for worship to Prince Sado but also Namin was selected. Even though successful candidates’ party were different one another, generally coinciding political movement of them was going along with King Jeongjo’s intention point to achieve to social integration centered on the King over the faction. Suwon special civic service examination and Suwon Confucianist literature examination was a series of seeking new political system to social integration centered on the King.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