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 ‘ㆍ’의 음소 설정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상신 | - |
dc.contributor.author | YANG,TINGTING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23:53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23:53Z | - |
dc.date.issued | 2017-08 | - |
dc.identifier.other | 25909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3581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2017. 8 | - |
dc.description.abstract | 15세기 ‘ㆍ’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 중에서 ‘ㆍ’를 음소로 보는 견해도 있고 ‘ㆍ’를 음소로 보지 않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견해가 근거한 것들이 각각 문제를 안고 있어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점이 있다. 즉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ㆍ’를 음소로 보는 근거들과 ‘ㆍ’를 보지 않는 근거들에 의하여 ‘ㆍ’를 음소로 볼 수 있는지 아닌지를 확실하게 판정할 수 없다. 따라서 본고는 15세기 문헌에서 나타나는 ‘ㆍ’가 실재한 음소였는지를 검토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 글에서는 먼저 ‘ㆍ’의 음소 분석에 대한 선행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지금까지 어떠한 견해가 있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 ‘ㆍ’를 음소로 보는 견해들에서 제시하는 『훈민정음 해례』의 ‘ㆍ’에 대한 설명, 오늘날의 제주도에서 나타나는 ‘ㆍ’의 존재, ‘ㆍ’로 표기된 한자음 등의 근거와 이런 근거들에 대한 이견들을 제시했다. 예를 들면 『훈민정음 해례』가 제자원리에 불과하고, 현대 제주 방언의 ‘ㆍ’와 15세기 ‘ㆍ’가 다른 것이고, ‘ㆍ’가 15세기에 한자음 표기에서도 제한적이라고 보는 것이다. 3장에서 ‘ㆍ’를 음소로 보지 않는 근거와 그 근거들에 대한 검토를 제시했다. ‘ㆍ’를 음소로 보는 견해의 근거들에 대한 이견을 2장에서 제시했는데 이도 ‘ㆍ’를 음소로 보지 않는 견해의 근거로 3장에서 제시하고 이 밖에 선행 연구들에 나타나는 15세기 ‘ㆍ’와 다른 모음과의 혼란스러운 표기, ‘ㆍ’의 발생 근거의 희박 등 ‘ㆍ’를 음소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와 이런 이유에 대한 이견들을 밝혔다. 2, 3장의 내용에 따르면 ‘ㆍ’의 음소 자격에 대한 선행 연구에 나타난 근거들에 의해 ‘ㆍ’의 음소 자격을 확고하게 인정하거나 부정할 수 없다. 따라서 4장에서 ‘ㆍ’의 음소 자격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의 ‘ㆍ’의 사용 양상에만 집중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음소 발견 절차도 고려하여 ‘ㆍ’가 음소인지 아닌지를 판정했다. 음소 발견 절차에서 최소대립쌍의 존재는 불가결한 증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5세기 ‘ㆍ’의 최소대립쌍과 모순적인 ‘ㆍ’와 ‘ㅡ, ㅏ, ㅗ’와의 혼란스러운 표기들의 존재는 ‘ㆍ’를 음소로 판정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제기하는데 이 의문을 풀기 위해 ‘ㆍ’와 이들 모음과의 음가 추정 과정을 밝혀 ‘ㆍ’와 이들 모음과의 혼란의 원인을 찾았다. 즉 ‘ㆍ’와 ‘ㅡ, ㅏ, ㅗ’의 조음영역이 중복되는 것이 ‘ㆍ’와 ‘ㅡ, ㅏ, ㅗ’가 혼란스럽게 표기되는 원인이고 그런 혼란스러운 표기들은 ‘ㆍ’를 음소로 인정하는 데 지장을 줄 수 없으므로 ‘ㆍ’가 음소 자격을 충분히 가진다는 결론을 내렸다. 5장에서 본고의 본론 내용을 간략히 정리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서론 1 1.1. 연구목적 1 1.2. 연구방법 및 연구 내용 3 1.3. 선행 연구 5 2. ‘ㆍ’를 음소로 보는 견해에 대한 검토 10 2.1. 『훈민정음 해례』의 설명과 그에 대한 검토 11 2.2. 현대 제주 방언의 모음 ‘ㆍ’의 존재와 그에 대한 검토 16 2.3. 『東國正韻』에 ‘ㆍ’로 표기된 한자음과 그에 대한 검토 32 2.4. 소결 33 3. ‘ㆍ’를 음소로 보지 않는 견해에 대한 검토 35 3.1. ‘ㆍ’의 다른 모음과의 혼기와 그에 대한 검토 36 3.2. ‘ㆍ’의 제한적 사용과 그에 대한 검토 43 3.3. ‘ㆍ’의 발생 근거의 희박과 그에 대한 검토 45 3.4. 소결 47 4. 음소 발견 절차와 음가 추정에 비추어 본 ‘ㆍ’의 음소 분석 50 4.1. 음소 발견 절차와 ‘ㆍ’의 음소 분석 51 4.1.1. 음소 발견 절차 51 4.1.2. 음소 발견 절차에 비추어 본 ‘ㆍ’의 음소 분석 54 4.2. 음가 추정과 ‘ㆍ’의 음소 분석 58 4.2.1. 15세기 ‘ㆍ, ㅡ, ㅏ, ㅗ’의 음가 추정 61 4.2.2. 음가 추정에 비추어 본 ‘ㆍ’의 음소 분석 68 5. 결론 70 참고문헌 72 中文摘要 78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15세기 ‘ㆍ’의 음소 설정 연구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YANG TINGTING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 |
dc.date.awarded | 2017.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788488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909 | - |
dc.subject.keyword | 아래아 | - |
dc.subject.keyword | 음소 설정 | - |
dc.subject.keyword | 음소 발견 절차 | - |
dc.subject.keyword | 음가 추정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