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전신적 위험인자와 치주질환 유병여부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전신적 위험인자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치주평가결과를 공개하지 않은 2011년도를 제외한 2010년부터 2015년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초 대상자 39,964명 중 일반검진과 구강검진을 함께 받은 29,298명을 추출하였고, 그 중 20세 이상으로 제한하여 총 26,09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강 행태, 전신질환 여부. 전신적 위험인자로 변수들을 구분하여 chi-square test 및 t-test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치주질환과 연관성을 보인 전신적 위험인자 변수들을 추가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20세 이상 성인에서 남녀 모두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치주질환 유병자의 비율이 높았다. 건강행태에서는 잇솔질 횟수, 구강위생용품 사용이 적을수록 치주질환 유병자의 비율이 높았다. 남녀 모두 흡연자에게서 치주질환 유병자의 비율이 높았지만 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치주질환과 연관성 있는 전신적 위험인자는 남성의 경우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당화혈색소, GOT, 혈중 요소질소, 요단백, 요잠혈이었고 여성의 경우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당화혈색소, 체질량 지수, GOT, GPT, 혈중 요소질소, 요당, 요잠혈이었다. 치주질환과 연관성 있는 전신적 위험인자 및 연령 변수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성의 경우 당화혈색소가 가장 높은 승산비를 보였으며 요잠혈, 연령, 이완기혈압, 체질량지수, GOT순이었다. 여성의 경우 마찬가지로 당화혈색소가 가장 높은 승산비를 보였으며 연령, 체질량지수, 이완기 혈압순이었다.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연령대에 따라 치주질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전신적 위험인자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전신적 위험인자들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과 전신적 위험인자들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 수 있었고 각기 다른 연령대에서 치주질환에 걸릴 위험률을 높이는 전신적 위험인자들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해당 연구 결과는 추후 연령대에 따른 전신건강관리를 동반한 구강건강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ternative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of general risk factors and periodontitis and recognizes the relative influence of general risk factors. Participants&Methods: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total number of people who received 29,298 examinations and oral examinations were collected among 39,964 persons, and the total number of people aged 20 to over was estimated to be 26,099. Conduct a chi-square test and a t-test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oral behavior, systemic disease, and general risk facto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tre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gener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Results: The lower levels of income and education in males and females aged 20 and older had a higher percentage of the periodontitis population. In oral behavior, With fewer teeth and fewer oral hygiene items, the percentage of people suffering from periodontitis has increased. Males who smoke had high rates of periodontitis. However, Fema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general risk factor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was the SBP, DBP, HbA1C, GOT, BUN, Urine blood, Proteinuria for males. For females, SBP, DBP, HbA1C, BMI, GOT, GPT, BUN, Urine glucose, Urine blood was related to periodontitis.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general risk factors showed that the HbA1c level was the highest in males, followed by Urine blood, age, DBP, BMI, and GOT. Similarly, in females, HbA1c showed the highest odds ratio, followed by age, BMI and DBP. Regression tree analysis showed that general risk factor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periodontiti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s of both males and females. Conclusions: The study showed the relative influence of general risk factors and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and general risk factors. In each age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general risk factors to increase the risk of periodontitis were different.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building oral health care systems, accompanied by whole-body health car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age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