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의 과흥분성, 정서지능, 자아탄력성 및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미현-
dc.contributor.author백혜정-
dc.date.accessioned2018-11-08T08:23:24Z-
dc.date.available2018-11-08T08:23:24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25941-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3490-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재교육,2017. 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영재학생들이 자기 자신의 영재성과 정서적 특성을 이해하고 개인적, 사회적 문제로 인한 심리적 갈등상태를 극복하는 자아탄력성을 통해 학습에 매진할 수 있는 학습몰입에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가와 관련된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A대학교 부설영재교육원, S시 교육지원청 부설영재교육원 1곳과 A시 교육지원청 부설영재교육원 1곳, O시 초등학교 영재학급에서 수학・과학 영재교육 대상자로 선발되어 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2학년 258명을 대상으로 과흥분성, 정서지능, 자아탄력성, 학습몰입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흥분성, 정서지능, 자아탄력성과 학습몰입에 대한 최종모형 적합도 지수는 CFI=.974, TLI=.970, RMSEA=.048로 나타나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습몰입과 과흥분성, 정서지능, 자아탄력성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몰입은 과흥분성, 정서지능, 자아탄력성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과흥분성에서 학습몰입으로, 과흥분성에서 자아탄력성과 학습몰입으로, 정서지능에서 자아탄력성과 학습몰입으로의 경로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서지능에서 학습몰입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네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결과 자아탄력성은 과흥분성과 학습몰입, 정서지능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영재의 다양한 정서적 특성 중 과흥분성과 정서지능이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영향을 받아 학습몰입에 이르는 구조적 과정을 밝힌 것이다. 따라서 영재의 인지적, 정서적인 특성과 심리적 갈등을 극복하는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영재에게 적절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Ι.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8 3.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1 1. 과흥분성 11 2. 정서지능 17 3. 자아탄력성 19 4. 학습몰입 22 5. 과흥분성, 정서지능, 자아탄력성, 학습몰입의 관계 26 6. 연구가설 32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33 1. 연구 대상 33 2. 연구도구 34 3. 연구 분석 방법 3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0 1. 연구변인에 대한 기초통계 40 2. 측정모형의 검증 43 3. 가설모형 검증 46 4. 수정모형 검증 48 Ⅴ. 결론 및 제언 53 1. 결론 53 2. 제언 57 참고 문헌 60 부 록 70 Abstract 81-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영재의 과흥분성, 정서지능, 자아탄력성 및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 분석-
dc.title.alternative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verexcit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Self-Resilience and Learning Flow of Gifted-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교육대학원 영재교육-
dc.date.awarded2017.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788664-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941-
dc.subject.keyword영재-
dc.subject.keyword과흥분성-
dc.subject.keyword정서지능-
dc.subject.keyword자아탄력성-
dc.subject.keyword학습몰입-
dc.subject.keyword구조적 관계-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talented students understand their giftednes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 and how they influenced the immersion in learning through the self-resilience which overcomes the psychological conflict state caused by the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on the overexcit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self-resilience, and learning flow was conducted targeting 258 students from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2nd grade in middle school, who were being educated as the target of the math・science talent education in the gifted institute annexed to the college, education office gifted institute, and elementary school gifted class in Gyeonggido, and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since the final model fidelity on the overexcit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self-resilience, and learning flow appeared as CFI=.974, TLI=.970, RMSEA=.048, it was confirmed the final model was suitable. Second, the learning flow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overexcit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silience. Third, in the route of the learning flow in overexcitability, self-resilience and learning flow in overexcitability, self-resilience and learning flow in emotional intelligence, all of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t was shown the route of the learning flow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not significant. Fourth, it was revealed that the self-resilience inter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verexcitability and learning flow,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This study result revealed the process the overexcit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various emotional natures of the talented persons were influenced by the self-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of the learning flow.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e line data for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self-resilience which overcomes the cognitiv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conflict of the gifted, and for contriving the consultation and education program appropriate for the gifted students.-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Convergence Talent Train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