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 긴급성과 사회적 지지가 재발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금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정-
dc.contributor.author김태형-
dc.date.accessioned2018-11-08T08:23:21Z-
dc.date.available2018-11-08T08:23:21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26056-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3481-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2017. 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부정 긴급성과 사회적 지지가 재발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금주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알코올 사용 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 154명에게 부정 긴급성, 사회적 지지, 금주 자기효능감, 재발 위험성, 알코올 의존을 평가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금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 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부정 긴급성 및 사회적 지지가 재발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금주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알코올 사용 환자의 재발 위험성을 다룸에 있어서 금주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와 더불어 부정 긴급성과 사회적 지지를 고려하는 것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미래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1. 알코올 사용 장애 및 재발 5 1) 알코올 사용 장애 5 2) 재발 및 재발 위험성 6 2. 부정 긴급성 8 1) 부정 긴급성 8 2) 부정 긴급성과 재발 위험성 10 3. 사회적 지지 11 1) 사회적 지지 11 2) 사회적 지지와 재발 위험성 12 4. 금주 자기효능감 14 1) 금주 자기효능감 14 2) 금주 자기효능감과 재발 위험성 14 3) 부정 긴급성과 금주 자기효능감 16 4) 사회적 지지와 금주 자기효능감 17 Ⅲ. 연구 목적 및 가설 19 1. 연구 목적 19 2. 연구 가설 및 모형 21 Ⅳ. 연구 방법 22 1. 연구 대상 및 절차 22 2. 측정 도구 22 3. 통계 분석 25 Ⅴ. 연구 결과 27 1. 기술 통계 27 2. 측정 모형 검증 31 3. 연구 모형 검증 32 4. 매개 효과 검증 36 Ⅵ. 논의 37 ● 참고문헌 42 ● 부록 61 ● ABSTRACT 7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부정 긴급성과 사회적 지지가 재발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금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dc.title.alternative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Urgency, Social Support, and Risk Of Relapse: The Mediating Effect of Abstinence Self-Efficacy-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Tae Hyung-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7.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788620-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056-
dc.subject.keyword부정 긴급성-
dc.subject.keyword사회적 지지-
dc.subject.keyword금주 자기효능감-
dc.subject.keyword재발 위험성-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is study examined whether abstinence self-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negative urgency and social support and the risk of relapse. A total of one hundred and fifty-four individuals with Alcohol Use Disorder completed a battery assessing negative urgency, social support, abstinence self-efficacy and risk of relap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abstinence self-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abstinence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negative urgency and social support on risk of relapse. In dealing with the risks of relapse in individuals with Alcohol Use Disorder, these result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bstinence self-efficacy in addition to considering negative urgency and social suppor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sych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