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의 일터적응과정에 나타난 무형식학습 경험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성엽-
dc.contributor.author임현미-
dc.date.accessioned2018-11-08T08:23:17Z-
dc.date.available2018-11-08T08:23:17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25614-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3468-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2017. 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은 일터적응 모습을 어려운 점은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하며, 그 과정 속에서 어떠한 배움과 성찰이 일어나는지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청년실업률은 증가하고 고용률 하락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성화고등학교와 다른 기술 인력을 육성하고자 마이스터고를 도입하였다. 마이스터고에 진학한 대부분의 학생은 본인이 선택하여 선취업을 결정하였지만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고졸취업률의 분석과 달리 고졸취업자가 일터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였다. 취업률의 수치보다는 그들이 현장에 잘 적응하고 개인의 역량을 계속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대상은 J마이스터고를 졸업하여 현 직장이 첫 직장으로 공기업 3명, 대기업 4명, 중소기업 5명으로 총 12명의 J마이스터고 졸업생을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3월 12일부터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심층인터뷰와 문자, 전화, 메일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를 통해 정리되었고 질적 사례연구의 자료 분석 단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와 의미를 재구성 하는 과정을 거쳐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은 긍정적인 평가로 선취업을 결정하였지만 채용공고 정보 부족과 전공과 다른 부서배치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일터에서는 마이스터고를 대상으로 하는 채용공고에서 직무와 부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실상을 제대로 알릴 필요가 있다. 둘째, 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능이 일터현장에서는 일부에 불과하거나 현장실무와의 차이로 인해 일터현장 적응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전공교과 외의 다양한 교과과정과 학교생활과 기숙사 생활은 일터적응에 도움을 주었다. 학교에서는 일터의 요구가 반영된 맞춤 교육내용, 일터현장 친화형 교육방법을 적용하는 전문교과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일부 졸업생들은 일터현장의 적응을 돕기 위해 직무교육을 받아 도움이 되었지만 대부분의 졸업생들은 체계적이지 않는 직무교육 없이 일터현장에 투입이 되어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일터에서는 마이스터고 졸업생을 위한 입사교육을 일정 기간 동안 실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입사교육 외에 선배의 업무 관찰과 질문을 통해 무형식 및 비형식 학습이 업무 숙련과정에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넷째, 일터현장 적응과정에서의 어려운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거나 현장실습일지를 작성하여 자신의 업무를 성찰하며 성장하고 있었다. 계속교육을 희망하고 있으나 후진학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업무에 지장을 받는 것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일과 학업의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선취업 후진학 제도가 정착되기 위해 다양한 현실적인 운영 모델이 개발, 보급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적인 인식으로 후진학을 결심하기 때문에 사회적 인식 적환이 필요하다. 다섯째, 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은 대인관계 측면에서 입사 후 상사와 선배, 주변 동료들이 자신에게 칭찬과 인정을 해주었을 때 소속감을 느끼며 업무에 대한 책임감이 생겼다. 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은 새로운 관계 속에서 갈등상황을 해결하고 대인관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인성과 예절은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인성과 예절을 지킴으로써 타인에게 더욱 인정을 받아 업무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었다. 직무 측면에서는 자신이 맡은 업무 상황에서 어느 정도 역량을 발휘하거나 업무 진행이 어느 정도 숙련이 되었다고 느꼈을 때 나의 업무에 대한 안정이 되어 일터적응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과 교육과정이 현장적용에 어떠한 도움을 주며 일터적응을 할 때 졸업생들의 노력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일터적응을 위해 학교교육의 개선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일터 적응 5 가. 일터 적응의 의미 5 나. 신입사원의 일터 적응 5 다. 일터 적응 방법 분석 8 2. 무형식학습 10 가. 무형식학습의 개념 10 나. 무형식학습의 내용 13 다. 무형식학습의 영향 요인 17 Ⅲ. 연구방법 19 1. 질적 사례연구 19 2. 연구 대상 20 가. 마이스터 고등학교 20 나. J마이스터고에 대한 정보 29 다. 연구 참여자 34 3. 자료수집 및 분석 37 4. 연구의 윤리와 진실성 확보 40 Ⅳ. 일터로 나가는 19.5세의 어려움 41 1. 나의 선택 ‘선취업’ 41 2. 2% 부족한 ‘채용정보‘ 44 3. 나의 ‘전공’과 ‘업무’ 사이 47 4. 내가 아는 것은 ‘빙산의 일각’ 51 5. 누구나 처음엔 ‘초보’ 58 6. 혼자일 때 보이는 ‘주변의 의미’ 60 Ⅴ. 일터를 통해 배우는 사회생활 적응기 65 1. 나의 첫 일터생활 ‘직무 교육’ 65 2. 성인의 무게 ‘책임감의 중요성’ 71 가. 대인관계적 측면 71 나. 직무적 측면 73 3. 일과 학업 ‘두 마리 토끼’ 76 가. 나의 능력을 향하여 한 발짝 ‘전진’ 76 나. 고졸에 대한 ‘겉과 속‘ 79 4. 인정받는 신입사원 ‘인성과 예절’ 82 Ⅵ. 요약 및 결론 87 1. 요약 87 2. 결론 89 참고문헌 93 부 록 (연구 참여 동의서) 10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의 일터적응과정에 나타난 무형식학습 경험-
dc.title.alternativeUnstructured learning experience in the workplace adaptation process of graduates at Meister High School-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im Hyun Mi-
dc.contributor.department교육대학원 평생교육-
dc.date.awarded2017.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788606-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614-
dc.subject.keyword마이스터고-
dc.subject.keyword마이스터고 졸업생-
dc.subject.keyword일터적응-
dc.subject.keyword초기 경력자-
dc.subject.keyword무형식학습-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Lifelong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