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해고의 금전보상제도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길-
dc.contributor.author김왕-
dc.date.accessioned2018-11-08T08:23:13Z-
dc.date.available2018-11-08T08:23:13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25028-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3456-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2017. 2-
dc.description.abstract【국문 초록】 부당해고의 금전보상제도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법 학 과 김 왕 ‘금전보상제도’는 2007년 7월부터 도입·시행되었다. 이는 부당해고를 당한 근로자가 원직복직 대신에 금전적 보상을 받는 구제제도이다. 도입 당시 이미 선진국(독일, 프랑스, 영국 등)에서 시행되고 있던 제도이며, 구제방식 다양화를 통한 구제의 실효성 제고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들 선진국은 구체적인 법규정을 통해 금전보상제도의 고유한 특성을 살려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해고분쟁의 대부분이 금전보상을 통해 해결되고 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도입된 후 9년 동안 부당해고 구제신청 사건 중 금전보상 신청 비율이 4.4%에 불과하다. 선행연구로서 금전보상제도를 중점적으로 다룬 학위논문은 아직까지 없고, 일부 학술논문의 경우 그 특성상 종합적·체계적인 접근 보다는 쟁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금전보상제도와 관련해 법과 제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금전보상제도의 법적 기초구조를 고찰하였다. 법령, 규정, 매뉴얼 등을 통해 현행 제도의 내용을 파악하고 노동위원회와 법원의 해석태도와 학설까지 검토하였다. 현황과 실태를 분석한 결과 금전보상을 통한 해고분쟁의 해결이 거의 활용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제3장은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의 입법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금전보상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독일, 프랑스, 영국 등에서는 금전보상을 근로관계 원상회복과는 다른 구제시스템으로 보고 제도를 운영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제4장은 금전보상제도의 법적 성격과 쟁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검토한 후, 이를 제도화하는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1) ‘부당해고 무효의 원칙’ 위에서 금전보상제도의 법적 성격은 새로운 해석론이 필요한데, ‘추인에 대한 공법적 지원’으로 봄이 타당하다. 금품의 성질이 ‘직장상실에 따른 손실에 대한 보상금’임도 규명하였다. (2) 사용자에 대한 금전보상명령 신청권 부여에 대해 검토하고, 제한적 부여방안을 채택하여 이에 대한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3) 부당해고 구제제도의 적용범위는 노동시장의 상황이나 사회보장법제 등이 다른 점을 고려해 선진국보다 완화된 기준을 모색하였다. (4) 구제이익과 관련해, 금전보상명령 신청은 근로자가 원직복직 대신 손실보상금을 원할 때 행하는 것임을 명확히 하였다. 이와 같은 두 개의 구제명령에 대한 구별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법에 금전보상명령과 원상회복명령을 병렬적으로 명시하였다. (5) 근로관계종료 시점은 금전보상제도의 법적 성격에 따라 사용자의 해고예고기간 만료일로 하면서, 근로관계종료 시점에 따라 당사자 간의 법률관계가 크게 영향을 받는 점을 고려해 선진국과 같이 그 시점을 법에 명문화하였다. (6) 금전보상액의 산정기준을 독일 등의 제도를 참고하여 정하고, 이를 법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보상액의 상한선을 두되 12개월분 평균임금으로 하고, 보상금은 근속년수 1년마다 1개월분 평균임금의 절반씩 비례하여 산정하도록 하였다). (7) 중간수입의 공제는 우리나라 민법 제538조에 따라 소급임금에 대해 문제가 되는데 금전보상금은 소급이믐과 무관하므로 공제할 수 없다 다만, 이 문제를 확실하게 해결하기 위해 금전보상금에 대한 중간수입 공제 금지를 명문화하였다. (8) 금전보상제도와 화해제도의 관계성을 검토하면서 금전보상 신청 사건의 화해율이 원상회복 신청사건에 비해 크게 높다는 것을 발견하고, 두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화해전치제도 도입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향후 연구과제로 (i) 금전보상제도의 이용자 및 관계자들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분석 및 그에 따른 제도운영상의 개선방안, (ii) 노동시장, 노사관계, 사회보장법제 등 환경의 변화에 대한 분석 및 그에 따른 제도개선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금전보상제도, 해고법제, 부당해고 구제신청, 추인법리, 손실보상금, 구제이익, 금전보상액 산정-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대 목 차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3 제2장 금전보상제도의 법적 기초구조 19 제1절 문제의 소재 19 제2절 해고법제 20 제3절 부당해고 구제제도 28 제4절 금전보상제도 42 제5절 소결 85 제3장 국제기준 및 선진국의 제도 86 제1절 개관 86 제2절 ILO의 국제기준 88 제3절 독일 93 제4절 프랑스 118 제5절 영국 138 제6절 미국과 일본 164 제7절 시사점 188 제4장 금전보상제도의 쟁점과 개선방안 195 제1절 문제의 소재 195 제2절 법적 성격 관련 쟁점과 해석론 검토 196 제3절 신청 관련 쟁점 및 개선방안 207 제4절 판정 관련 쟁점 및 개선방안 233 제5절 금전보상제도 관련 화해제도의 개선방안 249 제6절 소결 262 제5장 결론 264 〈참고문헌〉 269 부록 1 284 부록 2 285-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부당해고의 금전보상제도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for Unfair Dismissal-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Wang-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17. 2-
dc.description.degreeDoctoral-
dc.identifier.localId770707-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028-
dc.subject.keyword금전보상제도-
dc.subject.keyword해고법제-
dc.subject.keyword부당해고 구제신청-
dc.subject.keyword추인법리-
dc.subject.keyword손실보상금-
dc.subject.keyword구제이익-
dc.subject.keyword금전보상액 산정-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Abstract> A Study on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for Unfair Dismissals Kim, Wang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In July 2007, Korea adopted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The system is designed to allow workers who face unfair dismissals to choose monetary compensation instead of reinstatement. As a system that had already been implemented in advanced countries (e.g. Germany, France, and the U.K.),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was expected to diversify ways to get remedies, making the overall remedy system more effective in Korea. In those advanced countries,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has been widely used with its unique features well preserved by legislation. By contrast, in Korea, requests for monetary compensation have accounted for only 4.4 percent of all applications for remedies against unfair dismissals made for the past nine years since the adoption of the system. In academia,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monetary compensation: there has been no dissertation on monetary compensation; most papers on the subject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simply suggest solutions to some key issues, as is the case with any other papers get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ather than taking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pproach. This study discusses problems with law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and how to address them. In the second chapter, this study looks at the basic legal structure of the Korean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trying to understand the current system thoroughly by examining legislation, regulations, and manuals, and the precedents and interpretations of labor relations commissions and courts, as well as theories. Analyses of how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has been run and the system’s current status made in this study find that the system has been rarely utilized as a tool to solve unfair dismissal disputes in Korea. In the third chapter, this study takes a look at legislation cases in major countries, such as Germany, France, the U.K., the U.S., and Japan. This process has helped to find that other countries with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including Germany, France, and the U.K., see monetary compensation and reinstatement as two different remedy systems. In the fourth chapter, this study explores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and key issues around it, and how to make the system a better institution: (1) With the need for a new interpretation of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of nullification of unfair dismissals, this study finds that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should be interpreted as “legal support on ratification”. This study also finds that money given as monetary compensation constitutes “compensation for damages from the loss of jobs.” (2) This study considers the idea of granting the employer the right to apply for a monetary compensation order, with some limitations, while seeking ways to improve the system in this regard. (3) Regar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remedy system against unfair dismissals, this study suggests more relaxed criteria for Korea than advanced nations, considering the different labor market situation and social security legislation from those countries. (4) As to the remedy benefit, this study presents ways to improve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by ensuring the remedy benefit even when reinstatement would not take place because the unfairly dismissed worker decides to choose monetary compensation instead. (5) For the issue of when employment relations terminat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mployment relations terminate on the end date of advance notice of dismissal, taking into account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It proposes stipulating the very moment when the employment relations end by the law, as in advanced countries, given that the legal relations between the parties may greatly vary depending on when the employment relations actually terminate. (6) With regard to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amounts of monetary compensation, this study suggests referring to the systems of other countries, including Germany, and establishing the criteria by the law (setting an upper limit of the amount of compensation, which would be the average of 12 months’ worth of wage, and making the amount proportional to half of the average of one month’s worth of wage for every service year). (7) Interim earnings deduction applies to back pay in accordance with Article 538 of the Civil Act. To prevent any misunderstanding or confusion, this study proposes the idea of stipulating prohibition on interim earnings deduction for monetary compensation by the law. (8) While looking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and the conciliation system, this study finds that monetary compensation cases are much more likely to lead to conciliation than reinstatement cases. As a way to promote both systems, this study suggests introducing a conciliation-prepositive system, which has been put in place in the developed world. In the future, more in-depth research can be done in the following two directions: analyses of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the users and others involved in the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and how to improve the system operation based on the analyses; and analyses of change in the environment, which encompasses the labor market, labor-management relations, and social security legislation, and how to improve the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Key Words: Monetary compensation system, Statutory employment protection on dismissal, Application for unfair dismissal charge, Legal principle of ratification, Compensation for damages from the loss of jobs, Remedy benefit, Calculation of monetary compensation-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Law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