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창의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유미현 | - |
dc.contributor.author | 강두리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22:47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22:47Z | - |
dc.date.issued | 2016-08 | - |
dc.identifier.other | 23072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3370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재교육,2016.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창의성 관련 연구논문의 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별로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영재를 위한 창의성 관련 연구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관련 연구재단 등재학술지 2종을 대상으로 1992년부터 2015년까지 창의성과 관련한 논문 총 144편을 분석하였다. 연도별 논문 편수를 분석한 결과 2007년을 기점으로 논문 수가 증가하며, 현재까지 꾸준한 양적 추이가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대상에 따른 분석 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유아부터 대학생까지를 대상으로 한 논문 중 영재대상보다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훨씬 많았다. 영재 재능 영역별로는 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문헌연구, 실험연구, 상관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창의성을 측정하는데 검사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창의성 측정도구는 TTCT검사였다. 연구주제별 분석 결과 창의성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앞으로의 영재 창의성 관련 연구의 방향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이론적 배경 2.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2. 분석 준거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 연도별 동향 분석 2. 연구대상 동향 분석 3. 연구방법 동향 분석 4. 연구주제 동향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 문헌 부 록 Abstract 감사의 글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영재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창의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영재교육 | - |
dc.date.awarded | 2016.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758795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072 | - |
dc.subject.keyword | 영재 | - |
dc.subject.keyword | 영재교육 | - |
dc.subject.keyword | 창의성 | - |
dc.subject.keyword | 연구 동향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