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 입원치료 병동의 건축계획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권순정 | - |
dc.contributor.author | 지준환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21:45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21:45Z | - |
dc.date.issued | 2015-02 | - |
dc.identifier.other | 19460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3096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2015. 2 | - |
dc.description.abstract | 최근 몇 년간 세계적으로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Pandemic Influenza, PI), 2012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CoV),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 등 전염성이 높고 인체에 치명적인 신종 감염병의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적정 감염병 관리 시설의 확충 및 관리운영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현재 보건복지부 및 질병관리본부도 이에 따라 2006년도부터 감염병 관리시설인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과 지역별거점병원을 확보하여 감염병의 확산에 대비한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감염병 관리시설인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의 13개 병원의 음압격리구역을 조사하여 건축계획기준의 개선안을 제시하고자한다. 조사된 시설들은 모두 같은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으로 분류되지만 각 시설마다 다른 수준의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의 건축계획 시설 기준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소요공간, 기능공간의 배치 및 특성, 그리고 면적계획 기준마련의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현재의 시설기준 및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의 시설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분석한다. 또한 활용 가능한 국내외 자료들을 바탕으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의 적정 건축계획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 음압격리구역의 건축 계획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 음압격리구역의 소요공간은 복도전실 및 착·탈의실, 내부복도, 병실전실, 병실 및 화장실, 오물처리실 등을 필요로 한다. 2) 음압격리구역의 동선의 경우 감염병 질환자(의심자 포함)가 외부에서 병실까지 진출입할 수 있는 별도의 동선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서는 입원치료병동 계획 시 가급적 내외부에서 진출입이 용이하도록 1층에 배치하고, 병동 출입구 위치는 병원 주출입구와 거리를 둔다. 3) 국가지정 음압치료병동을 구성하고 있는 음압격리구역과 비음압격리구역의 배치 방식에 따라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하여 배치다이어그램을 제시하였다. 구분 기준은 의료진과 환자의 음압격리구역으로 진입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이 된다. 4) 음압격리구역 내 병실은 최대한 1인실로 계획하며 1개 이상의 1인실을 반드시 설치한다. 신규, 이전 또는 리모델링하여 병상을 수정 및 확보할 경우, 다인실은 2인 이하로 계획한다. 또한, 1인실의 병상 수 합계는 전체 격리병상수의 40% 이상이 되도록 한다. 5) 1인 병실의 넓이는 전실, 화장실 등을 제외한 순수 유효면적(순면적)을 기준으로 15㎡ 이상 확보한다. 병실 내 병상수가 추가되는 경우에는 병상 당 추가로 9㎡ 이상을 확보한다. 본 연구에서 결과로 제시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 음압격리구역의 시설기준 개선(안)은 현재 운영중인 시설과의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작성되었기 때문에 보다 높은 시설기준인 요구되는 이상적인 시설의 건립과는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운영중인 격리병동시설의 평가기준 수립의 기초자료로써 제공되고, 국내 감염병 관리시설들의 평가 및 현황파악을 통해 감염병 발생 시 해당 감염병에 대하여 적합한 관리시설이 대응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국 문 요 약 i 목 차 iii 표 목 차 vi 그 림 목 차 viii 제1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3 연구의 흐름 5 제2장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의 개념 6 2.1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 6 2.1.1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의 정의 6 2.1.2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의 도입배경 6 2.1.3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의 특성 7 2.1.4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의 용어정리 8 2.1.5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의 지정현황 10 제3장 국내외 감염병 관리시설 건축계획기준 11 3.1 해외 감염병 관리시설의 건축계획기준 11 3.1.1 미국(CDC) 11 3.1.2 일본(勞動厚生省) 13 3.1.3 유럽(EuroNHID) 15 3.1.4 오스트리아 17 3.1.5 오스트레일리아(AusHFG) 20 3.2 국내 감염병 관리시설 건축계획기준 24 3.2.1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의 시설기준 24 3.2.2 소요공간 25 3.2.3 기능공간의 배치 26 3.2.4 기능공간의 계획기준 27 3.2.5 면적계획 29 3.2.6 국내 기준의 개선방향 30 제4장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 음압격리구역 사례분석 31 4.1 조사개요 31 4.1.1 조사대상 31 4.1.2 조사방법 31 4.2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 음압격리구역 시설현황 32 4.2.1 NMC병원 32 4.2.2 NMH병원 33 4.2.3 JBU병원 34 4.2.4 IMC병원 35 4.2.5 KSU병원 36 4.2.6 JJU병원 37 4.2.7 DMC병원 38 4.2.8 DKK병원 39 4.2.9 DKU병원 40 4.2.10 KMC병원 41 4.2.11 SMC병원 42 4.2.12 PSU병원 43 4.2.13 CBU병원 44 제5장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 음압격리구역 건축 계획기준의 개선 45 5.1 소요공간의 선정 45 5.2 기능공간의 배치 46 5.2.1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 배치 47 5.3 기능공간의 계획기준 50 5.3.1 착·탈의실 50 5.3.2 음압치료병실 51 5.3.3 간호스테이션 57 5.3.4 폐기물처리실 57 5.4 면적계획 58 5.4.1 음압격리구역 면적계획 58 제6장 결 론 61 6.1 연구의 결과 61 6.2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 63 참 고 문 헌 65 Abstract 67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국가지정 입원치료 병동의 건축계획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Jun Hwan Ji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un Hwan Ji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 |
dc.date.awarded | 2015.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695475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460 | - |
dc.subject.keyword | 국가지정 입원치료병동 | - |
dc.subject.keyword | 음압격리병상 | - |
dc.subject.keyword | 감염병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In recent years, globally increasing the highly infectious and deadly threat diseases to humans, such as H1N1 influenza pandemic (2009, Pandemic Influenza, PI), Middle Eastern Respiratory Syndrome (2012, MERS-CoV), the Ebola virus (2014), the need for expansion of care facilities and management operations are emphasized. Now accordingly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are strengthen the response system to ensure National Isolation Units for infectious diseases and Regional Base Hospital for against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ince 2006. In this study, the Negative Isolation Unit in 13 facility of National Isolation Units for infectious diseases were investigated, then proposed a improvement alternative for architectural design plan. Although these 13 facility are classified in the same National Isolation units for infectious diseases, each one has all different condition. In case of Negative Isolation Units, generally it should has single-room composition for preventing risk of cross-infection, but some facility did not fulfilled. Therefore improvement standard were needed for appropriate single-room in Negative Isolation Units, this study carried out investigation in regard to minimum necessary area and arrangement of function space for which Negative Isolation Units fully performed. The result from this study, The considerations when Negative Isolation Units of National Isolation Units for infectious diseases is desig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Negative Isolation Unit should be composed with front room corridors, dress room, interior corridors, front patient’s rooms, toilets, sewage treatment chamber. 2) To maintain negative pressure, front room corridors and sewage treatment chamber should be installed between the Negative Isolation Unit and General Hospital Area (Including Non-negative Isolation Unit). 3) Pressure condi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of main area should be monitored at Nursing Station, also prepared emergency alarming system against problem. 4) The Negative Isolation Unit should be planed at least more than one single-room for patients as a rule. In case the facility increase isolation bed through newly-built, relocation or retrofit, muli-room should be restricted to 2 bed, in addition the total number of isolation bed in single-room should be occupied more than 40% of the bed in Negative isolation Unit. 5) The Area of single-room for Negative Isolation Unit should be secured 15㎡ effective area(net area) above except such as front room, toilet. In case of increasing the bed, 9㎡ above per bed was additionally needed. In addition. Negative Isolation Unit should be place on the ground floor for easy access and its entrance put distance from facility main entrance. But according to site condition or etc, if unit was necessarily placed on the other floor, exclusive elevator should be secured and planed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n consideration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mprovement standard(alternative) for Negative Isolation Unit of National Isolation Units for infectious diseases was based on currently operating facility and real situation, so a little difference might be occur with ideal purpose which is higher criteria. Based on this result, It could be base line data for evaluation criteria of the operating facilites, and It is expected that suitable management facility took a action against for infectious dieases occurs by evaluating and understanding present condition of National Isolation Units for infectious diseases. | - |
dc.title.subtitle | 음압격리병동을 중심으로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