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적 노동감시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길-
dc.contributor.author정두승-
dc.date.accessioned2018-11-08T08:18:59Z-
dc.date.available2018-11-08T08:18:59Z-
dc.date.issued2015-02-
dc.identifier.other19704-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2807-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2015. 2-
dc.description.abstract노동감시의 목적은 근로자의 근무태도 및 생산력의 관리·통제 등에 있다. 사용자는 사업장에서 근로자를 관리·감독함으로써 생산력 향상을 추구하고 회사의 재산을 보호하며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중간관리자가 노동감시를 하던 시기에는 인간관계에 수반한 감시이기 때문에 비인격적인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상벌에 대한 객관적 자료수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사업장의 노동감시는 크게 변화하였다. 인력을 대신해 전자적 감시시스템이 설치되고, 시간적․공간적 제약이 사라지면서 그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주관성은 사라지고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자료수집이 가능하게 되었다. 많은 기업이 저렴한 가격과 쉬운 설치로 다양한 전자적 감시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전자적 감시시스템의 이용에 따라 사업장에서의 안전관리가 용이하게 되었지만, 1990년대부터 전자적 감시스템의 부작용으로 근로자의 사생활 자유와 인격권의 침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후 근로자의 사생활 자유와 인격권의 침해는 사회문제로 인식되어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직접적인 규제 법률의 부재로 인해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본 논문은 전자적 감시시스템의 문제에 대해서 노사 간의 실질적인 조화이익 실현을 주요논거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산업보안’의 관점에서 문제를 검토하였고, 실질적인 해결방안으로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체계와 구성,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가 있다. 제2장에서는 전자적 노동감시에 대한 일반론으로 개념과 특성, 연혁과 수단별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수단별 개념과 사례를 통해 전자적 노동감시의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전자적 노동감시와 관련된 법제와 사용자와 근로자의 권리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립적 관점을 위하여 산업보안에 대한 개념과 현황, 관련 법제, 외국의 법제를 살펴보고, 전자적 노동감시와 산업보안의 관계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전자적 노동감시의 외국법제(국제기구와 미국, 일본, 독일)에 대하여 정리하고, 그 비교 및 시사점을 통하여 향후 입법적 개선방안에 참조하고자 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상황과 비교적 유사한 일본 법제에 대해서는 ‘가이드라인’에 중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전자적 노동감시에 대한 입법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문제점을 정리하고 입법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정리하였다. 전자적 노동감시를 관련 법제를 통해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점을 살펴보고, 2014년 전자적 노동감시에 대한 「근로기준법」개정안(진선미 안, 제100조)에 대한 검토를 통해 입법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결론으로 그동안의 논의를 요약정리하면서, 전자적 노동감시를 무조건 금지하는 것은 효과적이고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아니라, 노사 간 실질적인 조화이익을 도출할 수 있는 합의점과 안전장치를 위하여 전자적 노동감시의 입법의 방향성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세부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종전의 연구 분석 및 검토 배경 4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내용 6 1. 연구의 방법 6 2. 연구의 내용 6 제2장 전자적 노동감시의 기초적 고찰 9 제1절 문제의 소재 9 제2절 전자적 노동감시의 일반론 11 1. 전자적 노동감시의 일반 11 가. 전자적 노동감시의 개념 및 종류 11 나. 전자적 노동감시의 특성 15 다. 전자적 노동감시의 주체·목적·대상 17 2. 전자적 노동감시의 발전 연혁 19 가. 노동감시 변화의 시작 19 나. 일괄적 근로자 감시의 발현 20 다. 전자적 기술의 발달 21 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21 3. 전자적 노동감시의 수단별 현황 및 문제점 22 가. 전자적 노동감시의 수단별 현황 22 나. 전자적 노동감시와 문제점 41 4. 전자적 노동감시의 법제 42 가. 법적 근거 42 나. 권리관계 56 제3절 산업보안에 대한 일반론 66 1. 산업보안의 일반 66 2. 산업보안의 현황 및 문제점 68 가. 산업보안의 현황 68 나. 산업보안의 문제점 79 3. 산업보안의 법제 80 가.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 80 나.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83 제4절 전자적 노동감시와 산업보안 비교 86 제3장 전자적 노동감시의 외국법제 89 제1절 개황 89 제2절 국제기구의 법제 89 1. ILO 89 가. ILO 실행규약 근로자 개인정보보호개요 89 나. 주요 내용 90 2. OECD 93 3. EU 95 가. EU의 「개인정보보호지침」의 개요 95 나. 주요 내용 96 다. 유럽연합 직장 내 전자통신감시 관련 일반원칙 98 제3절 외국의 법제 100 1. 미국 100 가. 헌법 및 노동법 100 나. 개인정보·통신관련법 102 2. 일본 104 가. 헌법 및 노동법 104 나. 개인정보·통신관련법 106 3. 독일 112 가. 헌법 및 노동법 112 나. 개인정보·통신관련법 113 제4절 비교 및 시사점 116 1. 비교 116 2. 시사점 120 제4장 전자적 노동감시 입법의 개선방안 123 제1절 문제의 소재 123 제2절 전자적 노동감시 입법의 필요성 및 기본방향 124 1. 입법의 필요성 124 가. 사회적 기준의 설정 124 나. 자기정보 관리통제권의 보장 124 다. 현행법의 한계 설정 125 2. 입법의 기본방향 126 가. 감시의 대상, 목적 및 중요성에 대한 이익형량 모색 127 나. 전자적 노동감시와 산업보안의 경계 설정 128 제3절 전자적 노동감시 입법의 분석 128 1. 입법의 배경과 내용 128 가. 배경 129 나. 내용 130 다. 개정안의 이유 132 2. 입법의 검토 134 3. 입법의 개선방안 136 제5장 결론 141 <참고문헌> 146 <Abstract> 154 <표 목차> <표 2-1> 전자적 노동감시 분류 14 <표 2-2> 전자적 감시시스템 종류별 사용률 변화 15 <표 2-3> 통제방식의 비교 16 <표 2-4> CCTV의 기록방식의 차이 23 <표 2-5> 성진애드컴 본사건물 CCTV 설치 현황 25 <표 2-6> RF의 성능 32 <표 2-7> RF의 이용범위 32 <표 2-8> 생채인식 종류와 특징 35 <표 2-9> 전자적 노동감시 수단별 사례 40 <표 2-10> 연도별 기술유출 적발 수 69 <표 2-11>「부정경쟁방지법」 한국과 독일 비교 76 <표 3-1> ILO 근로자 개인정보보호 실행규약의 주요 내용(1997) 92 <표 3-2> EU 개인정보보호지침의 주요내용(1985) 96 <표 3-3> 독일 「연방정보보호법」 114 <표 3-4> 유럽 국가별 「개인정보보호법」 입법내용 119 <표 4-1>「근로기준법」 일부개정안 비교 131 <표 4-2> 전자적 노동감시 가이드라인 138 <표 4-3> 전자적 노동감시 장비별 가이드라인 139-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전자적 노동감시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Electronic Surveillance in Workplace-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ung, Doo-seong-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15.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695667-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704-
dc.subject.keyword근로기준법-
dc.subject.keyword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dc.subject.keyword노동감시-
dc.subject.keyword전자적 노동감시-
dc.subject.keyword산업보안-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e purpose of labor surveillance is to help ensure that employers can manage and control the working attitude of workers and productivity in workplace. Employers can achieve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ensure protection of company's propertie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through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workers in workplace. In the period when mid-level managers performed labor surveillance, the surveillance involve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refore posed non-personality issue, except for some degree of subjective issues.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s brought significant changes to labor surveillance in workplace. The electronic surveillance system has been installed to replace human manpower. With the disappearance of temporal/spatial constraints, efficiency has drastically increased. As a result, personality has vanished and data collection has been made objectively and fairly. Many companies are operating various electronic surveillance systems that have become more affordable and easier to install.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surveillance system has improved objectivity and fairness. In addition, workplace safety management has become more efficient. However, this system started to give rise to the issues of infringement upon workers' freedom of private life and moral right from 1990s. Since then, solutions have been sought to address such infringement recognized as social problem. However, there was no law enacted to regulate aforesaid system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involving practical solutions to social issues arising from the operations of electronic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mutually neutral pos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dustrial security' in order to help ensure practical harmony of interest for the labor and management. The system, structure, major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hapter 2 examined general concept/characteristics of electronic labor surveillance, history thereof,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electronic labor surveillance by means. In addition, Chapter 2 identified problems of electronic labor watch based on the concept and cases by means, and looked into the laws related to electronic labor surveillance and the right of relationship between employers and workers. To maintain neutral standpoint, Chapter 2 explored the concept/current status of industrial security, related laws, foreign legislative systems and summar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ctronic labor surveillance and industrial security. Chapter 3 offered a summary of foreign legislative systems(legislative system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United States, Japan, Germany) pertaining to electronic labor surveillance and intended to refer to future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comparison of foreign laws and suggestions. Particularly, Chapter 3 examined Japanese legislative system which was relatively similar to that of Korea with a focus on the guideline. Chapter 4 summarized the problems to derive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for electronic labor surveillance and presented the needs and direction for legislation. Moreover, Chapter 4 looked into the issue that fundamental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electronic labor surveillance could not be found, and presented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review of the revision bills proposed in 2014(drafted by Jin Seon-mi, Article 100) on the Labor Standards Act pertaining to electronic labor surveillance. Chapter 5 draws conclusion, summarizing the related discussions over the last years, and presented direction and guidelines for the legislation of electronic labor surveillance which aims to promote consensus on practical harmony of interest between the labor and management, along with the safeguard of such harmony,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unconditional prohibition of electronic labor surveillance would not constitute effective and fundamental solution.-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Law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