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진희-
dc.contributor.author김월주-
dc.date.accessioned2018-11-08T08:17:12Z-
dc.date.available2018-11-08T08:17:12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other27632-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2354-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2018. 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의사결정 향상을 위해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은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개념적 기틀로 하였으며, 학습모듈은 ADDIE모형에 근거하여 개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간호학과 4학년 36명을 대상으로 학습자 요구도 조사를 분석한 결과 딜레마 사례를 활용한 윤리교육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임상실습에서 경험했던 간호윤리 문제로는 ‘간호사와 대상자’, ‘간호사와 실무’, ‘간호사와 동료’의 순으로 나타났다. 설계단계에서는 학습목표 및 학습내용의 설정, 학습운영방법의 설계, 학습매체를 선정하였으며 학습내용은 간호윤리학 교재를 고찰하여 ‘간호윤리와 생명윤리의 개념’, ‘윤리적 사고와 윤리강령’ 및 ‘간호윤리의 실무적용’으로 하였다. 학습방법은 강의식 교육과 아카데미 찬·반 토론의 혼합학습방법으로 설계하고, 이론식 강의와 토론학습 운영을 위해 PPT, 동영상, 딜레마 사례, 논점분석, 토론개요서 및 토론보고서 등의 다양한 학습매체를 선정하였다. 개발단계의 딜레마 사례 개발은 학생들이 작성한 윤리사례보고서와 간호윤리 상황극 및 간호윤리학 교재 등의 분석결과와 학습요구도를 반영하여 실제적 사례기반의 딜레마 사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10개의 딜레마 사례는 전문가 5인으로부터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아 평가하였고 내용 타당도 계수(CVI)는 0.9였다. 아카데미 토론학습은 12명씩 3개의 분반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딜레마 사례에 팀별로 3명씩 총 6명이 참여하는 16라운드의 40분이 소요되는 학습모듈을 개발하였다. 아카데미 토론학습 과정은 긍정 측과 부정측이 경합을 벌이는 형식으로 입론, 교차조사, 반박, 결론, 작전타임, 마무리의 엄격한 형식과 절차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실행단계는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은 1회기에서 3회기에는 윤리원칙 및 규칙, 간호사 윤리강령,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에 대해 이론식 강의를 제공하고 4회기에서 8회기까지는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도덕적 민감성, 도덕 판단력과 윤리적 의사결정 도구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확인을 위한 연구 대상자는 G도와 C도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4학년 64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7년 5월부터 7월까지이다. 실험군에게는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을 1회기에 2시간씩 총 8회기 16시간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강의식 윤리교육을 16시간 제공하였다.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확인을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윤리교육 전과 후에 동일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이상적 판단 점수(F=5.96, p=.018), 현실적 판단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6.00, p=.017). 그러나 도덕적 민감성 점수(F=0.02, p=.884), 도덕 판단력의 P점수(F=2.94, p=.091), 도덕 판단력의 4수준 점수(F=0.05, p=.833)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은 실제적 사례기반의 딜레마 사례를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의사결정 능력 함양을 위해 개발되었다. 효과 검증 결과 윤리적 의사결정은 향상되었으나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 판단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 판단력은 단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므로 저학년의 교육과정에서부터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 판단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윤리교육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연구의 가설 4 D.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8 A.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과 도덕적 민감성 및 도덕 판단력 8 B. 간호윤리 교육 12 C. 아카데미 토론학습 15 Ⅲ. 개념적 기틀 19 Ⅳ. 연구방법 22 A.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 개발 22 B.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 효과평가 31 Ⅴ. 연구결과 45 A.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 45 B. 연구의 가설 검증 47 C. 학습만족도 52 Ⅵ. 논의 55 A.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55 B. 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의 효과검증 61 C. 연구의 제한점 65 D. 연구의 의의 66 Ⅶ. 결론 및 제언 67 A. 결론 67 B. 제언 68 참고문헌 69 부록 79-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아카데미 토론학습기반 간호윤리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Wol Ju-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2018. 2-
dc.description.degreeDoctoral-
dc.identifier.localId800358-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632-
dc.subject.keyword아카데미 토론학습-
dc.subject.keyword간호윤리교육-
dc.subject.keyword윤리적 의사결정-
dc.subject.keyword간호대학생-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nursing ethics education program based on academic debates and verify its effect to help nursing students make better ethical decisions. This nursing ethics education program has its conceptual framework on constructivism and its learning module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model. Learners’ needs of 36 senior year nursing stud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tudents had great needs on ethical education using cases of dilemma and the nursing ethical issues they faced in the clinical practice were listed in the order of ‘nurses and patients’, ‘nurses and practices’ and ‘nurses and colleagues.’ In the design stage,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s were formed, learning methods were designed and learning media were selected. The learning contents included ‘concept of nursing ethics and bioethics’, ‘ethical thinking and code of ethics’ and ‘application of nursing ethics in the field.’ The learning methods were designed with a combination of lecture-based education and academic debates. Besides, a variety of learning media were selected such as PowerPoint, video clip, cases of dilemma, issue analysis, debate outline and debate report for the lectures and debates. Actual dilemma cases were developed by reflecting the result of analyzing ethical case reports written by the students, role plays on nursing ethics and books on nursing ethics and the learners’ needs in the development stage. Ten dilemma cases were developed and their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five experts, with the CVI at 0.9.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12 for academic debates. The module developed by the study engaged six debaters, three from each team, to discuss one dilemma case for 40 minutes of 16 rounds in total. The academic debates had a strict format involving the affirmative side and negative side in constructive speech, cross examination, rebuttal, deliberation and conclusion. Lectures on the principle and rule of ethics, code of ethics for nurses and ethical decision making process were presented from the first to third sessions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nursing ethics education program based on academic debates was applied to the fourth to eighth sessions. The effect of this program was measured by the instruments for moral sensitivity, moral judgment and ethical decision making. The study engaged 64 senior year nursing students of two provinces in Korea to verify the effect of the nursing ethics education program based on academic debates from May to July 2017.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eight sessions for 16 hours, each for two hour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a lecture-based ethics education for 16 hours. The same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thics education to verify its effect. The resul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recorded a significantly higher ideal moral judgment score (F=5.96, p=.018) and realistic moral judgment score (F=6.00, p=.017)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However, moral sensitivity score (F=0.02, p=.884) as well as P score (F=2.94, p=.091) and 4 stage score (F=0.05, p=.833) of moral judgment did not 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The nursing ethics education program based on academic debates of this study was developed to help nursing students make better ethical decisions with application of actual dilemma cases. The program was found effective to help make better ethical decisions but ineffective to enhance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ment of the nursing students. Since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ment cannot established in a short period of time, ethical education to enhance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ment should be offered from the curriculum for freshmen.-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Nursing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