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기를 사례로 한 소형 가전제품의 물발자국 산정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건모 | - |
dc.contributor.author | 이경림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16:55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16:55Z | - |
dc.date.issued | 2016-08 | - |
dc.identifier.other | 23298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2278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안전공학과,2016. 8 | - |
dc.description.abstract | 산업사회의 고도화에 따라 가용수자원이 기하급수적으로 고갈되어 가는 상황 속에서, 물의 질적 및 양적 관리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에 물발자국 산정에 대한 글로벌 가이드라인이 발간되었고, 국제표준이 제정되면서 물발자국이 물 관리의 방안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물발자국을 KS로 제정하였으나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농수산품에 대한 물발자국 산정 연구들이 실시되어 산업계에서의 활용은 미비한 상태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물발자국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산정 절차를 살펴보고, 이를 적용한 사례 연구를 통해 공삼품의 물발자국 산정 요건과 일련의 과정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국제표준에 따른 물발자국 평가는 반드시 목적 및 범위 정의, 물발자국 목록분석, 물발자국 영향평가, 결과 해석 단계를 포함해야 하며, 사례 연구로는 중공사막방식의 정수기를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산정 결과, 정수기 1대가 물 부족 환경영향범주에 미치는 영향은 2.04E+01 m3H2Oeq이였으며 사용단계에 이어 원료물질 사용단계가 주요 활동으로 규명되었다. 그러나 주로 소비자의 물 섭취량으로 인한 영향이 컸으며 이를 제외할 경우 원료물질 사용 단계에서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품 별 산정 결과를 살펴보면 정수기의 하우징(1.52E+00)과 포장지(6.73E-01.) 및 필터(3.17E-01)가 개선이 필요한 우선순위 부품으로 선별되었다. 주로 전력을 소모하는 부품 위주로 우선순위가 도출되는 탄소발자국과 달리 물 부족 영향범주에서는 물 투입량이 많은 재질의 종류나 무게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물발자국 국제표준에 근거하여 데이터의 수집부터 시나리오 설정, 목록분석 및 영향평가까지 공산품의 물발자국을 평가한 연구로써 기업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접근이 가능하며, 국내의 물발자국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 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 1 장 개 요 1 제 1 절 연구 배경 1 제 2 절 연구 목적 및 내용 2 제 2 장 문헌연구 3 제 1 절 국내외 물발자국 연구 동향 3 1. 물발자국 국제표준(ISO 14046) 개정 3 가. 물발자국(Water Footprint) 개요 3 나. ISO 14046 국제표준화 동향 4 2. 국외 공공 및 민간 연구기관 동향 5 가. Water Footprint Network(WFN) 5 나. CDP Water 7 다. Quantis 8 3. 국내 정부부처 및 학계 동향 9 가. 국내 정부부처 및 학계 연구 동향 9 제 2 절 물발자국 환경영향평가 연구 동향 11 1. 물발자국 영향평가 개요 11 가. 물발자국 환경영향범주의 체계 11 나. 물발자국 영향평가 방법론 동향 12 제 3 장 물발자국 산정 절차 16 제 1 절 물발자국 산정지침 : ISO 14046 16 1. 방법론적 기본구조 16 2. 목적 및 범위 정의 17 3. 물발자국 목록분석 19 가. 단위공정(Unit process) 및 공정도(Process Tree) 작성 21 나. 데이터 수집 및 처리 22 4. 물발자국 영향평가 25 5. 물발자국 결과해석 27 제 4 장 사례 연구 30 제 1 절 대상제품 선정 30 제 2 절 대상 제품의 물발자국 산정 31 1. 목적 및 범위 정의 31 가. 연구 목적 31 나. 연구 범위 31 2. 데이터 수집 및 시나리오 설정 32 가. 원료물질 사용 단계 32 나. 제조 단계 33 다. 운송 단계 34 라. 제조 단계 35 마. 폐기 단계 37 3. 물발자국 목록분석 41 가. 원료물질 사용 단계 41 나. 제조 단계 42 다. 운송 단계 42 라. 제조 단계 43 마. 폐기 단계 45 4. 물발자국 영향평가 46 5. 물발자국 결과해석 49 제 5 장 결론 및 향후 연구 58 제 1 절 결론 58 제 2 절 향후 연구 방향 60 제 6 장 참고문헌 61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정수기를 사례로 한 소형 가전제품의 물발자국 산정 연구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환경안전공학과 | - |
dc.date.awarded | 2016.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758838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298 | - |
dc.subject.keyword | 물발자국 | - |
dc.subject.keyword | ISO 14046 | - |
dc.subject.keyword | 전과정평가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