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환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송승일 | - |
dc.contributor.author | 김민결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16:52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16:52Z | - |
dc.date.issued | 2016-08 | - |
dc.identifier.other | 23156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2264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2016.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치과병·의원 외래를 이용하는 임플란트 환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상관관계 연구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6개 치과병·의원 외래를 이용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228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임플란트 관련 특성, 주관적 구강진료필요인식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관리 자기효능감, 구강위생관리행동, 구강자각증상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version 23.0을 사용하였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특성, 임플란트 관련 특성, 주관적 구강진료필요인식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평균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연령과 구강관리 자기효능감, 구강위생관리행동, 구강자각증상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령, 최종학력, 직업상태, 발치 원인, 임플란트 보유 개수, 구강보건교육경험, 구강관리 자기효능감, 구강위생관리행동, 구강자각증상은 임플란트 환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관련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낸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업상태, 구강보건교육경험, 주관적 구강진료필요인식, 구강관리 자기효능감, 구강위생관리행동, 구강자각증상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의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향후 임플란트 환자의 구강건강을 예방 지향적, 포괄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표준화된 평가방법의 개발과 규명된 예측요인을 바탕으로 대상자 맞춤형 개별교육 및 특화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임플란트 환자의 구강건강증진과 더불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7 3. 용어의 정의 7 Ⅱ. 연구방법 9 1. 연구설계 9 2. 연구대상자 선정 및 표본 9 3.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11 4. 연구도구 12 5. 분석방법 15 Ⅲ. 연구결과 16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2. 대상자의 임플란트 관련 특성 18 3. 주요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19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의 차이 21 5. 임플란트 관련 특성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의 차이 23 6.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관련요인의 관계 25 7.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7 Ⅳ. 고 찰 31 Ⅴ. 결 론 40 참고문헌 42 부 록 54 영문초록 64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임플란트 환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 |
dc.date.awarded | 2016.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758823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156 | - |
dc.subject.keyword |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 - |
dc.subject.keyword | 구강관리 자기효능감 | - |
dc.subject.keyword | 구강위생관리행동 | - |
dc.subject.keyword | 구강자각증상 | - |
dc.subject.keyword | 주관적 구강진료필요인식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ed on self-perceived oral health status in dental implant outpatients for hospitals and clinics. It was carried out with 228 male and female patients over the age of 19 from six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located in Gyeonggi-do,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cale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mplant-related characteristics, self-perceived dental treatment, self-perceived oral health, oral care self-efficacy, oral hygiene behavior and self-perceived oral symptom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version 23.0. To grasp the relations among self-perceived oral health and associated factors,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mplant-related characteristics and self-perceived dental treatment, differences in self-perceived oral health and their mean were compared. For ag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oral care self-efficacy, oral hygiene behavior and self-perceived oral symptoms, their correlations were analyzed.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factors associated with self-perceived oral health are age, education, occupational status, cause of tooth extraction, number of possessed implants,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s, oral care self-efficacy, oral hygiene behavior and self-perceived oral symptoms. Finally, to verify the predictors of self-perceived oral heal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independent variable which proved significant relations with self-perceived oral health. This revealed that the predictors are occupational status,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s, self-perceived dental treatment, oral care self-efficiency, oral hygiene behavior, and self-perceived oral symptom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develop individual tailored training system and specialized improvement program for oral health based on standardized evaluation and defined predictors and needed to preventively and inclusively manage and evaluate for oral health of implant patients. It contribute to improve not only for the implant patients but also to obtain better and qualified life about oral health.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