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투 반추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 : 의미 중심적 대처와 회피 중심적 대처의 매개 효과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김은정 | - |
dc.contributor.author | 임금주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16:49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16:49Z | - |
dc.date.issued | 2016-08 | - |
dc.identifier.other | 22910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2250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2016.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침투 반추와 외상 후 성장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간의 관계가 의미 중심적 대처와 회피 중심적 대처에 의해 차별적으로 매개 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침투 반추,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의미 중심적 대처, 회피 중심적 대처를 평가하는 설문지를 작성한 대학생 273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침투 반추는 외상 후 성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의미 중심적 대처를 매개로 하여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침투 반추는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회피 중심적 대처를 매개로 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외상 경험 후 침투 반추를 겪은 대학생의 외상 후 성장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발달 경로에서 의미 중심적 대처와 회피 중심적 대처가 심리적 기제로서 가지는 중요성을 나타내며,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임상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후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1. 침투 반추 5 1) 침투 반추 5 2) 침투 반추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6 3) 침투 반추와 외상 후 성장 7 2.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9 3. 외상 후 성장 11 1) 외상 후 성장 11 2)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 12 4. 회피 중심적 대처 14 1) 회피 중심적 대처 14 2) 침투 반추, 회피 중심적 대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 15 5. 의미 중심적 대처 17 1) 의미 중심적 대처 17 2) 침투 반추, 의미 중심적 대처, 외상 후 성장의 관계 18 Ⅲ. 연구 목적 및 가설 21 1. 연구 목적 21 2. 연구 가설 21 3. 연구 모형 22 Ⅳ. 연구 방법 24 1. 연구 대상 24 2. 측정 도구 25 1) 외상 경험 질문지 및 기초설문지 25 2) 침투 반추 척도 26 3) 회피 중심적 대처 척도 27 4) 의미 중심적 대처 척도 27 5) 외상 후 성장 척도 28 6)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 29 3. 분석 방법 30 Ⅴ. 연구 결과 31 1. 기술 통계 31 2. 측정모형 검증 33 3. 연구모형 검증 34 4. 매개 효과 검증 37 5.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비교 38 Ⅵ. 논의 39 ■ 참고문헌 45 ■ 부록 56 ■ ABSTRACT 67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침투 반추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 : 의미 중심적 대처와 회피 중심적 대처의 매개 효과 | - |
dc.title.alternative | The Relationship among Intrusive Ruminati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Mediating Effect of Meaning Focused Coping and Avoidance Focused Coping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umju Lim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 |
dc.date.awarded | 2016.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758874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910 | - |
dc.subject.keyword | 침투 반추 | - |
dc.subject.keyword | 외상 후 성장 | - |
dc.subject.keyword |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 - |
dc.subject.keyword | 의미 중심적 대처 | - |
dc.subject.keyword | 회피 중심적 대처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eaning focused coping and avoidance focused coping discriminately mediate a relationship among intrusive ruminati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college students who had the trauma event. Two hundred seventy three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o assess intrusive ruminati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posttraumtic growth, meaning focused coping and avoidance focused coping.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intrusive rumination had 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at the same time, had indirect effect on posttraumtic growth mediated by meaning focused coping. Also intrusive rumination had 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at the same time had indirect effect on posttraumtic stress symptoms mediated by avoidance focused cop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 should emphasis on meaning focused coping and avoidance focused coping to encourage posttraumatic growth and prevent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