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 금주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명주
Advisor
현명선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6-08
Language
kor
Keyword
외래 남자 알코올중독자회복스트레스금주효능감사회적 지지
Abstract
본 연구는 남자 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 금주효능감,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퇴원 후 지역사회에 돌아가 원만한 사회생활을 통해 재발을 예방하고 알코올중독자의 회복을 증진시키기 위해 시도 되었다. 본 연구의 설계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며,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2개 정신과 병원 외래 남자 알코올중독자 121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8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회복은 정경수(2006)가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스트레스는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2000)이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금주효능감은 DiClement(1994)가 개발한 도구를 김성재(1996)가 번안하고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및 Scheffe test 사후검정, Pearson 상관계수, 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회복은 최대 5점에 평균평점 3.66±0.43점이었고, 하부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음주문제인식 4.18±2.70점, 생활양식의 변화 3.31±0.47점으로 나 타났다. 2.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스는 최대 5점에 평균평점 2.07±0.76점이었으며, 금주효능감은 최대 4점에 평균평점 2.31±0.77점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최대 5점에 총점평점 76.29±20.49점이었고 하부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정서적 지지가 21.30±6.08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평가적 지지 18.92±5.50점, 정보적 지지 18.90±5.22점, 물질적 지지 17.16±5.05점 순으로 나타났다. 3. 연구 대상자의 회복은 직업, 치료목표에 대한 인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회복과 스트레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r=-1.69, p=.065). 회복과 금주효능감(r=.293, p<.001), 회복과 사회적 지지(r=.352, p<.001)에서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은 사회적 지지, 치료목표에 대한 인식, 직업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3.8%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외래 남자 알코올중독자의 회복을 높이기 위하여 금주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향상이 필요하며, 특히 사회적 지지 증진을 위하여 외래 남자 알코올중독자의 특성화 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2215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Nurs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