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판본과 완판본 <춘향전>에 나타난 춘향의 성격 비교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광국-
dc.contributor.author호금령-
dc.date.accessioned2018-11-08T08:16:22Z-
dc.date.available2018-11-08T08:16:22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22118-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2132-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2016. 2-
dc.description.abstract<국문초록> <춘향전>은 조선후기 판소리계 소설로서 많은 독자층과 수백 편의 이본을 보유한 한국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춘향전>의 여러 이본 중 대중성이 가장 뛰어났고, 상업성이 강하여 독자층을 많이 형성하였던 경판본과 완판본 <춘향전>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경판 30장본 「춘향전」과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를 선정하여 춘향의 성격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이를 인물들의 일대기, 주인공 간의 에로스적인 사랑, 향유층 의식의 수용으로 나누어 작품분석을 통하여 춘향의 성격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보았다. Ⅱ장에서는 두 이본에서 일대기와 관련된 춘향의 성격을 비교하였다. 두 이본은 이도령과 춘향 중에서 누구를 중심으로 서술되었는지에 따라 춘향의 성격도 다르게 나타난다. 우리가 소설 구조를 이해할 때, 우선 살펴보아야 하는 것은 서사단락을 나누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건이 일어나는 순서로 경판 30장본과 완판 84장본의 서사단락을 정리하여 비교하였다. 분석을 통해서 경판 30장본은 이도령 일대기 중심 서술로, 춘향의 성격은 자의식이 떨어지고 수동적이며 상대적 순종성을 띤 면을 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완판 84장본은 춘향과 이도령 공동 중심 일대기 서술로, 춘향은 영웅과 비슷한 일대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상대적 자의식이 강하고 적극성을 띤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밝혀보았다. Ⅲ장에서 춘향과 이도령 간의 사랑을 에로스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에로스는 열정적인 사랑을 뜻하고 경판본 30장본과 완판본 84장본에서 춘향과 이도령은 모두 열정적인 사랑에 빠져드는데, 에로스의 경향은 서로 다르게 그려진다. 이도령의 춘향에 대한 태도를 보면, 경판 30장본에는 이도령이 만남 서사에서의 희롱적인 태도에서 이별 서사의 진지함으로 전환된다. 이것은 이별 서사에서 나타난 서사적 장치인 ‘면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도령의 춘향에 대한 사랑이 처음에 기반이 없는 사랑에서 진실한 사랑으로 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완판 84장본에서 이도령의 춘향에 대한 사랑은 처음부터 양반의 향락의식을 지닌 욕정적인 사랑으로 시작하여, 출세 앞에서 이익을 택하여 입신양명의 기회를 선택하는 것이다. 춘향의 입장을 보면, 경판 30장본에 춘향은 기녀의 신분에서 벗어나지 않는데도 시종일관 이도령을 사랑한다. 주로 만남 서사의 ‘불망기’와 이별 서사의 ‘옥지환’ 등 서사장치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반면, 완판 84장본에서는 춘향이 사랑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기생의 신분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망도 함께 드러나 있음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두 이본에서 춘향의 성격 차이가 생기는 원인으로 향유층의 의식을 분석함으로써 춘향의 성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작품 속에 향유층 의식의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경판 30장본은 주로 서울의 독자층을 대상으로 만들어졌으며 이야기의 진행이 빠르고 춘향은 기생이지만 정숙하게 그려지고 있는 반면, 이도령이나 방자, 변학도 등 남자 인물들은 상대적으로 가볍고 무례한 바람둥이로 표현되었다. 춘향과 이도령의 사랑과 그 사랑의 결실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양반의 횡포와 폭력, 사회이면에 깔려있는 양반과 서민의 갈등 문제를 주목하지 않게 하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 사건들은 빠르게 전개되고 극의 재미를 위한 요소들이 다소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완판 84장본은 지방의 서민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기생 출신의 비천한 신분인 춘향에게 상당히 기울어져 있는 모습이다. 각 서사단락의 사건들이 모두 특색이 있고 독립성을 띠면서 서로 다른 재미와 감동을 주며, 독자들의 사랑과 기대에 대한 대리만족을 충족시킨다. 지방 서민의 자존의식의 표현이 변학도의 수청을 거부하는 춘향을 통해 강하게 드러난다. 지방 서민의 자존의식을 춘향의 ‘십장가’와 ‘자탄가’ 등 노래의 형식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서민들의 애환과 고통을 호소한다. 그리고 주변 구경꾼들의 말을 통해 같은 서민 신분인 춘향의 입장에서 그녀를 동정하고 옹호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춘향의 수절은 황릉몽의 설정을 통해서 작가가 서민들의 입장을 의도적으로 대변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고는 <춘향전>의 이본인 경판 30장본과 완판 84장본을 중심으로 춘향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두 편의 이본만 연구대상으로 한정한 한계가 있지만, <춘향전> 특히 춘향의 인물성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그 의미를 두고 있다. 그리고 인물 성격분석의 연구방법론이 앞으로 <춘향전> 이본 간의 비교 연구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핵심어: 성격 비교, 서사단락, 일대기, 순종성, 적극성, 에로스, 열정적 사랑, 순수성, 이중성, 향유층 의식, 서울, 지방, 열녀의식, 자존의식-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1 2.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3 Ⅱ. 일대기와 관련한 춘향의 성격 8 1. 춘향의 순종성(경판 30장본) 13 2. 춘향의 적극성(완판 84장본) 15 Ⅲ. 에로스와 관련한 춘향의 성격 20 1. 순수한 사랑을 지향하는 춘향(경판 30장본) 22 2. 사랑의 열정과 신분상승의 욕망을 지향하는 춘향(완판 84장본) 27 Ⅳ. 향유층 의식을 수용한 춘향의 성격 32 1. 서울 독자층의 열녀의식 수용(경판 30장본) 33 2. 지방 독자층의 자존의식 수용(완판 84장본) 37 Ⅴ. 결론 43 <참고문헌> 47 <中文摘要> 51-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경판본과 완판본 <춘향전>에 나타난 춘향의 성격 비교 연구-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f Chunhyang Character appeared in Kyoung-Pan-Bon and Wan-Pan-Bon-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U JINLING-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6.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739472-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18-
dc.subject.keyword춘향전-
dc.title.subtitle경판 30장본과 완판 84장본을 중심으로-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