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지역 배출목록에 따른 국내 오존 농도 모사 및 민감도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순태-
dc.contributor.author유승희-
dc.date.accessioned2018-11-08T08:15:49Z-
dc.date.available2018-11-08T08:15:49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21877-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2009-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공학과,2016. 2-
dc.description.abstract수도권 지역 오존 농도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오존 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대기질 모델링을 통한 저감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대기질 모사에 있어 중요한 입력자료 인 배출목록에 따라 오존 모사 결과가 달라진다. 대기개선 정책 수행 시 국외 배출목록 선택에 따라 수도권 지역 오존 농도에 미치는 영향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 인위적 배출목록 INTEX-B, CREATE, MICS-Asia 사용에 따라 수도권 지역 오존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에 고농도 오존이 빈번하게 발생한 2014년 5월을 대상으로 국외 배출목록에 따른 수도권 지역의 오존 농도를 모사하였다. 세 가지 배출목록은 동북아지역 인위적 NOX 배출량을 MICS-Asia(98,363 TPD) > INTEX-B(69,698 TPD) >CRATE(57,987 TPD) 순으로 배출량이 산정되었으며, 인위적 VOC 배출량의 경우 INTEX-B(45,699 TPD) > CREATE(37,620 TPD) > MICS-Asia(31,698 TPD) 순으로 VOC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국외배출목록에 따른 수도권 지역 일 최대 오존 모사농도는 70.8 ppb(INTEX-B), 72.5 ppb(CREATE), 71.9 ppb(MICS-Asia)로 유사한 오존 농도 범위를 나타내었다. NOX의 경우 일 최대 80 ppb, VOC의 경우 일 최대 30 ppb의 HDDM을 이용하여 국외 배출목록에 따라 중국 인위적 NOX 배출량의 경우 일 최대 30~80 ppb , VOC 배출량의 경우 5~30 ppb로 수도권 지역 오존농도에 미치는 기여도는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어떠한 배출목록을 사용여부에 따라 국내 수도권 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지역의 고농도 오존이 나타나는 5월 31일의 경우, 국외 인위적 배출량을 저감시킬 때 수도권 일 최대 오존 농도 변화는 중국지역의 인위적 NOx 배출량 1,000 TPD 저감 시 수도권 지역의 오존 농도가 0.2 ppb(INTEX-B), 0.4 ppb(CREATE), 0.2 ppb(MICS-Asia)로 감소되었으며, 배출목록간 0.2 ppb 차이를 보였다. 중국지역 인위적 VOC 배출량 1,000 TPD 저감 시 수도권지역 오존농도가 0.2 ppb(INTEX-B), 0.3 ppb(CREATE), 0.7 ppb(MICS-Asia)감소되었으며, 배출목록간 최대 0.5 ppb차이를 보였다. 또한, 국외배출목록에 따른 중국의 인위적 NOX 및 VOC 배출량 톤당 저감량에 따라 1 ppb ~ 2 ppb, 1 ppb ~ 3 ppb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 국외 배출목록에 따라 동일 배출량 저감시 수도권 일 최대 오존 농도변화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국외 배출목록에 따른 수도권지역 오존 농도를 고려해 주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대기질 저감정책 수행 시 국외 인위적 배출량으로 부터의 영향 분석하여 중국 배출목록에 따라 톤당 오존 전구물질 저감 시 수도권 지역 오존 농도변화량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연구방법 2.1. 대상 지역 및 기간 2.2. 장거리 이동 2.3. 배출량 입력자료 변화 2.4. 동북아시아 배출량 분석 2.5. 기여도 및 민감도 분석 방법 ① CMAQ-HDDM(High-order Decoupled Direct Mehtod) ② BFM(Brute-Force Method) Ⅲ. 입력자료 마련 및 모델 설정 3.1. 기상모델 3.2. 배출량 모델 ① INTEX-B ② CREATE ③ MICS-Asia 3.3. 광화학모델 Ⅳ. 연구결과 4.1. 기상결과분석 4.2. 기본모사 분석 4.3. CMAQ-HDDM 검증 4.4. 기여도 및 민감도 분석 4.5. 배출량 변화에 따른 농도변화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요약 Ⅵ. 참 고 문 헌-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동북아 지역 배출목록에 따른 국내 오존 농도 모사 및 민감도 분석-
dc.title.alternativeRegional Ozone Concentr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of Northeast Asia Emissions with Air Quality Modeling-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환경공학과-
dc.date.awarded2016.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739519-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877-
dc.subject.keywordCMAQ-HDDM-
dc.subject.keywordOzone-
dc.subject.keywordEmission Inventories-
dc.subject.keywordNitrogen Oxides-
dc.subject.keywordVolatile-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