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복합 조사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박재연 | - |
dc.contributor.author | Liu Qing Hua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09:24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09:24Z | - |
dc.date.issued | 2014-08 | - |
dc.identifier.other | 17719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0904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2014.8 | - |
dc.description.abstract | 초록 한국어 복합 조사 연구 유 경 화 본고는 문법화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 한국어 복합 조사의 개념과 목록을 확립하고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복합 조사와 관련된 이론적 논의를 기술하였다. 복합 조사는 단순히 조사와 조사가 이어서 쓰인 것이 아니라 통시적 문법화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이다. 본고에서는 결과물뿐만 아니라 과정에 있는 형태도 문법화의 내용으로 간주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문법화와 관련한 기제, 연속성과 정도성, 주관화 등 내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복합 조사의 개념을 밝히기 위해 먼저 그동안 복합 조사와 관련하여 생긴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각각 복합 조사의 성립 가능성에 관한 문제, ‘만큼도’와 같은 형식을 복합 조사라고 부를 것이냐 합성 조사라고 부를 것이냐의 용어의 문제, 복합 조사란 무엇이냐의 문제, 파생 조사의 설정 문제, 그리고 복합 조사와 복합어의 관계가 무엇이냐의 문제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복합 조사와 관련된 문제점을 기술한 후에 복합 조사를 ‘둘 이상의 형태소가 문법화를 통해 형성된, 형태적으로 분석 가능하고, 통사적으로 하나의 기능을 하는 조사’라고 정의하였다. 이 중에서 ‘둘 이상의 형태소’는 문법화를 통해 복합 조사로 형성되는 기원 형식을 말해 준다. ‘문법화를 통해’라는 것은 복합 조사의 형성 방법을 가리킨다. 그리고 ‘형태적으로 분석 가능하다’는 것은 두 가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는 ‘형태소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하나는 ‘이러한 분석은 형태적으로 한다’는 것이다. 또한 ‘통사적으로 하나의 기능을 하는 조사’는 ‘둘 이상의 형태소’의 문법화 결과, 즉 복합 조사로 형성된다는 것을 뜻한다. 3장에서는 복합 조사와 구별하기 어려운 경계 요소를 검증하여 복합 조사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조사와 조사의 연속 구성, 단일 조사, ‘이’계 활용형, 동사의 활용형 등에서 복합 조사와 구별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이 존재한다. 이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문법화 이론을 바탕으로 본고는 검증 기준을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형태적으로 둘 이상의 형태소가 하나의 조사로 형성되어야 한다. 둘째, 통사적으로 기원 형식의 통사적 특성을 상실하고 복합 조사의 통사적 특성을 가지게 되어야 한다. 여기서 통사적 판별 기준을 다시 세 가지로 나누어서 기술하였다. 하나는 복합 조사가 선행어에 붙어 쓰일 때 그 구성의 직접 구성 성분은 복합 조사 전체와 선행어이다. 다른 하나는 문법화 과정에서 기원 형식의 통사적 결합 양상에 변화가 일어나 복합 조사의 결합 양상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문법화 진도에 따라 기원 형식의 통사 범주가 바뀐 것이다. 그리고 셋째, 의미적인 측면에서, 기원 형식의 구성 성분들의 의미가 합쳐진 것이 아니라 새로운 의미가 생겨야 한다. 이러한 기준으로 경계 요소를 검증한 결과 본고에서는 현대 한국어 복합 조사로 총 37개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작성한 복합 조사의 목록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복합 조사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역할은 바로 문장에서 쓰일 때 담당하는 문법 기능이다. 문법 기능에 따라 복합 조사를 복합 격조사, 복합 접속 조사, 복합 보조사, 그리고 여러 가지 문법 범주에 속하는 이른바 범주 통용 형식으로 나누었다. 또한 복합 조사를 ‘둘 이상의 형태소’로 형성된 것으로 본다는 것은 복합 조사의 기원 형식이 다만 ‘조사+조사’의 형식으로 국한되지 않음을 말해준다. 이와 같은 구성 형식에 따라 복합 조사를 두 개 이상의 조사 형태소로 이루어진 복합 조사, ‘이’계 활용형으로 분석되는 복합 조사, 동사의 활용형으로 분석되는 복합 조사, 그리고 ‘명사+조사’로 분석되는 복합 조사로 나누었다. 또한 복합 조사는 문법화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기 때문에 문법화의 정도성에 따라 나누어질 수도 있다. 그 결과는 복합 조사가 강 복합 조사, 약 복합 조사로 분류된다. 5장은 결론으로서 본고의 논의를 간략히 정리한 뒤, 본고의 논의에서 미처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제어: 조사 연속 구성, 복합 조사, 단일 조사, ‘이’계 활용형, 동사 활용형, 검증 기준, 문법화, 형태소 분석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국문초록> ⅰ 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연구 대상 3 1.3. 연구 방법 5 1.4. 연구사 검토 7 1.5. 논의의 구성 15 2. 기본적 논의 17 2.1. 문법화와 관련 개념 17 2.1.1. 문법화의 기제 20 2.1.2. 문법화의 연속성과 정도성 26 2.1.3. 문법화와 주관화 28 2.2. 복합 조사의 설정 30 2.2.1. 복합 조사와 관련한 문제점 30 2.2.2. 복합 조사의 정의 37 3. 복합 조사의 목록 설정 45 3.1. 기존 조사의 목록 45 3.2. 복합 조사의 검증 기준 50 3.3. 경계 요소와의 구별 57 3.3.1. 조사 연속 구성과 복합 조사의 구별 58 3.3.2. 단일 조사와 복합 조사의 구별 67 3.3.3. ‘이’계 활용형과 복합 조사의 구별 71 3.3.4. 동사의 활용형과 복합 조사의 구별 110 3.4. 복합 조사 목록의 제시 117 4. 복합 조사의 분류 119 4.1. 문법 기능에 따른 분류 119 4.1.1. 복합 격조사 120 4.1.2. 복합 접속 조사 122 4.1.3. 복합 보조사 126 4.1.4. 범주 통용 형식 129 4.2. 구성 성분에 따른 분류 137 4.2.1. 두 개 이상의 조사 형태소로 이루어진 복합 조사 138 4.2.2. ‘이’계 활용형으로 분석되는 복합 조사 139 4.2.3. 동사의 활용형으로 분석되는 복합 조사 143 4.3. 문법화 정도에 따른 분류 145 4.3.1. ‘문법형태소>문법형태소’의 복합 조사 145 4.3.2. ‘어휘형태소>문법형태소’의 복합 조사 147 5. 결론 158 <참고자료> 164 <中文摘要> 173 표 차례 <표1> 복합 조사와 경계 요소의 검증 결과 118 <표2> 복합 조사의 구성 유형과 목록 145 그림 차례 <그림1> 문법 기능에 따른 복합 조사의 분류 137 <그림2> ‘문법형태소>문법형태소’의 복합 조사의 문법화 정도 강약도 147 <그림3> ‘이’계 활용형에서 형성된 복합 조사의 정도 강약도 154 <그림4> 동사 활용형에서 형성된 복합 조사의 정도 강약도 157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한국어 복합 조사 연구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 |
dc.date.awarded | 2014. 8 | - |
dc.description.degree | Doctoral | - |
dc.identifier.localId | 652818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719 | - |
dc.subject.keyword | 한국어 | - |
dc.subject.keyword | 복합조사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