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학습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최운실 | - |
dc.contributor.author | 안현지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07:04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07:04Z | - |
dc.date.issued | 2014-08 | - |
dc.identifier.other | 17751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0783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2014. 8 | - |
dc.description.abstract | 국문 초록 평생교육전공 안 현 지 이 연구는 실천학습공동체의 사례를 통해 본 성장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상황학습의 모습을 탐구해 보고자 함에 있다. 평생교육의 영역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천 학습공동체와 상황학습은 실천학습공동체의 형성이 나타나게 된 주변의 상황과 환경적인 요소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학습은 타인, 도구,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 만들어지게 되는 상황을 익히는 것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관계를 맺으며 맥락 속에서 존재의 중요성과 함께 하며 상황학습이 일어나게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천학습공동체 사례를 통해 ‘실천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은 초기에 어떠한 모습으로 만남을 시작 하는가’, ‘학습을 통해 어떻게 실천과 나눔을 행하게 되는가’, ‘이러한 과정을 거쳐 실천학습공동체는 어떠한 모습의 성숙된 공동체를 일구어 나가며, 그 모습에서 어떠한 과정으로 성장해 가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평실사라는 실천학습공동체의 초기의 모임과 그 후 사례대상이 어떠한 학습과정을 거쳐 성장하였는가를 상황학습이라는 이론적 근거를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평범한 성인학습자들의 학습모임이 실천학습공동체로 성장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상확학습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인터뷰와 참여관찰, 평실사 브로슈어, 평실사 인터넷 까페 및 기사 등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2014년 1월부터 5월까지 오개월간 평실사라는 실천학습공동체 속에서 나타나는 학습, 실천, 배움과 나눔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인터뷰는 열정적으로 평실사를 이끌고 있는 고문 이사와 단체의 중심역할을 하고 있는 열성 멤버 2명, 학습참여로 실천을 꿈꾸는 학습자와 강사를 인터뷰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평실사의 초기부터 현재의 성장까지 비전과 이념을 함께 한 열성 멤버를 통해 초기와 성장, 현재까지의 성숙되어지는 과정들을 분석하였다. 실천학습공동체의 성장과정은 ‘평범한 주부들의 학습과의 만남’, ‘학습을 통한 실천과 나눔 공동체의 일굼’, ‘본격적인 실천공동체의 성장’으로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었다. 초기 ‘평범한 주부들의 학습과의 만남’ 은 평범한 가정주부의 학습참여로 시작되었다. 미래에 대한 진로의 고민과 좌절의 해결을 위해 평생학습을 실천하는 사람들이라는 학습동아리를 형성하게 되었다. 평실사는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초기의 상황에서 학습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인 공간의 부재로 동아리의 존재에 대한 위기가 생겼다. 또 다른 의미로의 태동이 시작된 중기 ‘학습을 통한 실천과 나눔 공동체의 일굼’ 에서는 위기 해결을 위한 공동체 내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교섭의 모습이 나타났다. 공동체의 응집력이 높아지며, 구성원은 변화하고 성장하게 되었다. 학습을 통해 더 넓어지고 커지는 학습참여와 실천의 모습이 나타났다. 실천학습공동체에게 가장 중요한 공간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평실사 내․외부에서는 사회적인 흐름의 관심으로 시각의 변화와 지자체나 대학과의 MOU 체결, 공모사업 참여, 평생학습센터의 위탁 운영 등으로 지역에 녹아들며 학습공유와 네트워크 확대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성숙되어가는 현재 ‘본격적인 실천공동체의 성장’에서는 공동체와 맥락 속에서의 개인의 존재에서 지역사회로 학습 나눔으로 확대되어 가는 모습이 보였다. 타인에게 전달되는 공동체의 삶의 질적인 변화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시야를 더욱 확대하게 되었다. 단체로 변한 실천학습공동체의 활동 범위가 확대 될수록 지역사회로의 학습 나눔과 타인과의 나눔을 위한 삶 속에 사회적인 대화의 모습이 나타났으며, 지식의 맥락 속에서의 존재를 나누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미숙했던 실천학습공동체의 초기 모습에서 서로 관계를 맺고, 교섭을 위한 담화나 문제 해결을 위한 교섭을 시도함을 알 수 있었다. 의미를 구축하기 위한 근본적인 변화는 장소에서 이루어진다. 장소는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를 통해 실천학습공동체에 참여하면서 공동체의 신념과 가치관에 영향을 주고받기에 중요하다. 장소라는 공간의 해결은 실천학습공동체의 성장을 위한 선택을 하게 하였고, ‘학습동아리’에서 ‘단체’로의 변화는 성장을 촉진시켰다. 실천학습공동체는 ‘관계맺음’, ‘사회적인 교섭’, ‘합법적인 주변 참여’, ‘맥락성’이라는 상황학습의 네 가지 주요 특징 속에 존재하며, 성장해 나감을 알 수 있기에 실천학습공동체의 성장과정과 상황학습의 관계가 밀접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학교교육 내에서 일어나는 상황학습의 모습뿐만이 아닌, 평생 교육적 측면에서의 실천학습공동체의 성장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상황학습에 대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졌기에 의미 있는 연구가 될 수 있다. 이 후 상황학습으로 본 실천학습공동체의 모습에 대한 보편적이면서도 다양한 특징들을 살펴볼 수 있는 질적 연구가 많아질 수 있기를 후속 연구에서 기대해 본다. 주제어: 실천학습공동체, 실천학습공동체 성장과정, 상황학습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국문초록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실천학습공동체 5 2. 상황학습 1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8 1. 연구대상으로서의 실천학습공동체의 사례 18 2. 연구 참여자 25 3. 연구 절차 28 4. 분석 방법 30 5. 연구의 신뢰성 및 윤리성 확보 32 Ⅳ. 사례를 통해 본 실천학습공동체 성장과정 34 1. 평범한 주부들의 학습과의 만남 34 가. 평범한 가정주부의 학습참여 34 나. 미래에 대한 진로의 고민과 좌절 35 다. 자생적인 학습동아리의 형성 36 2. 학습을 통한 실천과 나눔 공동체의 일굼 43 가. 동아리의 위기와 갈등 그리고 해결 43 나. 구성원의 변화와 성장 51 다. 넓어지고 커지는 학습참여와 실천 57 3. 본격적인 실천공동체의 성장 66 가. 지역사회로의 학습 나눔 66 나. 타인에게 전달되는 공동체의 삶 69 다. 공동체 구성원들의 확대된 시야 74 Ⅴ. 결론 78 1. 요약 78 2. 결론 및 논의 80 참고문헌 85 부록 89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실천학습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평생교육 | - |
dc.date.awarded | 2014.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652693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751 | - |
dc.subject.keyword | 실천학습공동체 | - |
dc.subject.keyword | 평생학습 | - |
dc.subject.keyword | 상황학습 | - |
dc.title.subtitle | '평생학습을 실천하는 사람들' 사례를 중심으로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