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문법의 겹문장 체계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박재연 | - |
dc.contributor.author | 유정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06:27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06:27Z | - |
dc.date.issued | 2016-02 | - |
dc.identifier.other | 22179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0625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2016. 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고는 통일성, 정합성, 교육적 유용성을 갖춘 학교 문법의 겹문장 체계를 정립하려는 목적에서 쓰였다. 학교 문법의 겹문장 체계는 대등접속문, 종속접속문, 부사절 내포문, 인용절, 서술절을 구분하는 통사적 지표들 간에 통일성이 부족하고 학문 문법의 연구 성과가 교육적 여과 장치 없이 반영됨으로써 교육적 유용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먼저 접속과 내포의 구조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통사적 기준을 설정하여 대등접속문, 종속접속문, 부사절 내포문의 문법적 지위를 살펴본 뒤.종속접속문을 부사절 내포문의 하위 유형인 문장 부사절로 보고, 접속문 체계에는 대등접속문만 남기고 개념의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병렬문(학교 문법에서는 나란한문장)'으로 용어를 변경할 것을 제안하였다. 절 표지를 중심으로 인용절을 검토하고 간접인용절의 절 표지는 다른 내포절과 동일하게 어미로 볼 것을 제안하고 이를 부사절 내포문 내 술부 부사절의 하위 유형인 '필수적 부사절'로 보았다. 직접인용절의 경우, 절 표지'(이)라고'를 '이다'의 활용형으로 보되 학교 문법에서 '이다'를 서술격조사로 보는 관점을 수용하여 직접인용절의 절 표지는 조사로 보았다. 또 서술절을 겹문장으로 보고 임동훈(1997)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서술절의 절 표지를 '무형화 된 표지'로 볼 것을 주장하면서 서술절의 명칭을 품사명에 따라 '동사절 안은문장, 형용사절 안은문장'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반영하여 학교 문법의 겹문장 체계를 정립하였으며 간접인용절의 절 표지와 부사절의 절 표지 '-이'를 모두 부사형어미로 보고 동사절 안은문장, 형용사절 안은문장의 절 표지는 무형화 된 어미라고 하여 직접인용절의 절 표지를 제외한 모든 내포절의 절 표지가 '어미'임을 밝혔다. 끝으로 지금까지의 논의를 학습자 수준에 적합하게 바꾼 겹문장 체계와 어미 체계를 제안하여 교육적 효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서론 1 1.1. 연구 목적 및 연구 대상 1 1.2. 선행 연구 검토 3 1.3. 기본적 논의 8 1.3.1. 학교 문법의 개념과 성격 8 1.3.2. 통사론의 기본 단위 13 1.4. 논의의 구성 15 2. 『문법』(2002~2009)의 겹문장 체계 17 2.1. 겹문장 체계 및 문법 용어의 통일성과 정합성 검토 17 2.2. 학습활동의 교육적 유용성 검토 21 3. 대등절, 종속절, 부사절의 문제 28 3.1. 접속과 내포의 문제 28 3.1.1. 겹문장의 개념 28 3.1.2. 접속과 내포의 구조 31 3.2. 기존 연구의 대등절, 종속절, 부사절 체계 검토 40 3.2.1. 대등절, 종속절, 부사절을 모두 인정하는 견해 40 3.2.2. 대등절과 부사절만 인정하는 견해 48 3.2.3. 부사절만 인정하는 견해 53 3.3. 종속 접속의 문법적 지위 57 3.3.1. 대등절, 종속절, 부사절에서 나타나는 통사적 특성 비교 57 3.3.1.1. 교호성 60 3.3.1.2. 선행절의 이동 현상 61 3.3.1.3. 대용화 현상 64 3.3.1.4. 주제어 제약 68 3.3.2. 학교 문법의 대등절, 종속절, 부사절 체계 정립 70 3.4. 문장 부사절과 술부 부사절의 문제 72 3.4.1. 문장 부사절과 술부 부사절의 통사적 특성 비교 72 3.4.1.1. 이동과 위치 제약 77 3.4.1.2. 부정의 범위 79 3.4.1.3. 분열문 80 3.4.1.4. 의문문의 지배 범위 82 3.4.2. 부사파생접미사 ‘-이’의 문제 83 3.4.3. 학교 문법의 문장 부사절과 술부 부사절 체계 정립 87 4. 인용절과 서술절의 문제 89 4.1. 인용절의 문제 89 4.1.1. 기존 연구의 인용절 성격 검토 89 4.1.2. 학교 문법의 인용절 정립 94 4.2. 서술절의 문제 103 4.2.1. 기존 연구의 서술절 성격 검토 103 4.2.1. 학교 문법의 서술절 정립 108 5. 학교 문법에서의 겹문장 체계 제안 114 6. 결론 116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학교 문법의 겹문장 체계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System of Korean Complex Sentences in School Grammar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YU JEONG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 |
dc.date.awarded | 2016.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739710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79 | - |
dc.subject.keyword | 학교 문법 | - |
dc.subject.keyword | 겹문장 | - |
dc.subject.keyword | 부사절 | - |
dc.subject.keyword | 안은문장 | - |
dc.subject.keyword | 이어진문장 | - |
dc.subject.keyword | 서술절 | - |
dc.subject.keyword | 인용절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