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종로 귀금속·보석 산업지역 활성화를 위한 공간환경디자인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한지형 | - |
dc.contributor.author | 김예림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06:16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06:16Z | - |
dc.date.issued | 2016-02 | - |
dc.identifier.other | 22114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0564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2016. 2 | - |
dc.description.abstract | 종로 귀금속·보석 산업지역은 서울시 종로구 봉익동을 중심으로 귀금속·보석 산업이 밀집된 지역이며, 서울시 4대 주요 도심형 산업이다. 원자재 가공부터 유통·공급, 부가가치 창출까지 연계된 산업클러스터로 전국 귀금속 산업의 25%를 차지하고 있는 주요 중심지이지만, 80년대 이후 큰 물리적 변화가 없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어 영세하고 노후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대상지의 물리적 환경은 대상지 내 귀금속 산업의 산업체 및 종사자가 감소하는 등 대상지 및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대상지의 물리적 현황 분석을 통해 대상지의 문제점 및 잠재력, 산업 종사자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도심형 산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도심형 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한 설계요소를 도출해낸 뒤 이를 종합하여 대상지의 산업 활성화를 위한 공간환경디자인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설계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상지 현황분석과 도심형 산업 활성화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해낸 대상지의 물리적 환경개선 접근 방향은 크게 클러스터 활성화와 산업지역 어메니티 향상으로 나눠진다. 이를 바탕으로 종로 귀금속·보석지역의 산업 활성화를 위한 설계 방향은 크게 3가지로 설정하였으며, 그에 따른 세부설계전략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 번째, 귀금속 산업의 특색을 살린 가로환경정비는 지역적 특성을 살리는 공간환경설계, 자연적 감시를 통한 안전한 환경 구축, 도심형 산업 밀집지역만의 긍정적인 장소이미지 구축 전략의 세부설계전략이 필요하다. 두 번째, 시간대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운영시스템은 주요 동선과 연결된 오픈스페이스 조성, 소비자를 유인하고 교류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전략의 세부설계전략이 필요하다. 세 번째, 귀금속 산업 클러스터를 활용한 새로운 기능 구축은 네트워킹 및 연계활동이 가능한 공간, 기존 용도를 연계한 새로운 용도 창출의 세부설계전략이 필요하다 위의 설계 방향을 바탕으로 전체 영역을 아우르는 전체공간구조에 대한 기본 계획을 설정하였고, 설계 영역을 세부 용도에 따라 제조영역, 판매영역, 서순라길 영역, 대로변영역, 비귀금속 영역의 5개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서 세부 설계전략을 구현시킬 수 있는 영역별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각 영역별 설계안은 각각 영역별 설계전략, 영역별 주요 공간 설계방향, 건축물 설계 지침으로 나누었으며, 설계 도면과 다이어그램 등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종로 귀금속·보석 산업지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공간환경디자인을 제안하는 설계논문으로서, 대상지의 다각적 분석과 도심형 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한 공간환경디자인 요소를 제안하고, 이를 대상지에 적용하여 실제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후 종로 귀금속·보석 산업지역의 산업 활성화를 위한 설계지침 작성 시 참고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2.1 연구의 범위 1.2.2 연구의 방법 1.2.3 선행연구 고찰 제2장 물리적 현황 분석 및 공간환경설계 요소 도출 2.1 종로 귀금속 ․ 보석 산업 특정개발진흥지구 일대의 공간 형성 및 역사적 변천 과정 2.1.1 조선시대 2.1.2 근대화 시기 2.1.3 산업화 시기~현재 2.2 산업 입지 현황 2.2.1 제조 분야 2.2.2 판매 분야 2.2.3 귀금속 연관업종 분야 2.2.4 비 귀금속 분야 2.3 이용자 분석 및 필요설계요소 2.3.1 산업 종사자 2.3.2 방문자 2.4 가로환경 현황 2.4.1 도로조직 2.4.2 가로변 파사드 2.4.3 가로시설물 2.5 필지 현황 2.5.1 필지 규모 2.5.2 공지 분포 및 주차 현황 2.6 건축물 현황 2.6.1 구조 2.6.2 층수 2.7 도시관리계획 지정현황 2.7.1 대상지 주변 관련 계획 검토 2.7.2 대상지 주변 지구단위계획 지정 현황 2.8 분석의 종합 2.8.1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설계 요소 선정 2.8.2 산업지역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대상지의 잠재성 도출 제3장 이론적 고찰 3.1 도심형 산업 활성화의 정의 3.2 도심형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조건 3.2.1 산업 내부 차원의 활성화 : 산업 클러스터 환경 개선 3.2.2 산업 외부 차원의 활성화 : 산업 지역 어메니티 개선 3.3 소결: 도심형 산업 활성화 요건 및 공간환경 개선사항의 상관성 검토 제4장 공간환경디자인의 체계 및 구체화: 종로 귀금속 ․ 보석 산업 지역을 대상으로 4.1 기본계획 및 설계방향 4.1.1 목표 설정 4.1.2 개념 도출 4.2 공간구조와 기본 설계 4.2.1 설계 전략 및 구상 4.2.2 전체 공간구조의 기본계획 및 설계 방향 4.3 영역별 공간 계획 및 설계 4.3.1 영역의 설정 및 구분 4.3.2 제조 영역 4.3.3 판매 영역 4.3.4 서순라길 영역 4.3.5 종로 및 돈화문로변 영역 4.3.6 비 귀금속 산업 영역 제5장 결론 5.1 연구의 요약 및 결론 5.2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서울시 종로 귀금속·보석 산업지역 활성화를 위한 공간환경디자인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Study on Urban Space Design for Jongno Jewelry District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 |
dc.date.awarded | 2016.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739560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14 | - |
dc.subject.keyword | 도시설계 | - |
dc.subject.keyword | 종로 귀금속·보석 산업지역 | - |
dc.subject.keyword | 도심형 산업 활성화 | - |
dc.subject.keyword | 공간환경디자인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Jongno Jewelry Industrial District is the place where Jewelry industry is concentrated at Bongik-dong, Jongro-gu as the center. It is one of four major urban center industries in Seoul as well. It is the industrial cluster where all the processing of raw materials, distribution, retail supply, and value added work are done at one place and its production volume is composed of 25% of the nation's jewelry industry, However, since 1980s, this area has been deteriorated gradually without any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and many business here has preserved on a small scale. This physical environment has influenced negatively to the area and industry, resulting in decrease of the number of jewelry industry business here and its employees. Therefore, through physical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in this area, this study has tried to find its problems, diverse potentials and the requirements of industrial personnel in this district. In addi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of urban-centered industry, the study has tried to draw a conclusion on design elements and make a proposal on space environment design for the revitalization of this area. To sum up, the design proposal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approach of physical environmental improvement based on the physical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and the theoretical study on revitalization of urban-centered industry is largely divided into cluster revitalization and improvement of industrial area's amenity.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s three ways to design this area in order to revitalize the jewelry area at Jongro and draw a conclusion on detailed design strategies. First of all, the improvement of street environment with the character of jewelry industry needs a detailed design strategies for space environment design, the establishment of a safe environment by a natural surveill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positive image of city center industrial complex. Secondly, the operation system which is changed fluidly by time zone needs following elements: the establishment of an open space connecting with the flow of major human traffic and the detailed design strategies for the creation of environment which attracts prospective consumers and interacts with them. Thirdly, the creation of a new function utilizing jewelry cluster needs a detailed design strategies for the space of networking and connected activities, and the new creation of the new purpose connecting with its existing purpose. Based on the above direction of design, I set a basic design for the whole space structure. Depending on the specific purpose and use, the design is divided into five areas: a manufacturing area, a sales area, Seosoonla Gil area, a roadside area and a non-jewelry area. I propose the design for each area in order to realize the detailed design strategies in each area. The design for each area is divided into three: the design strategies of each area, the direction of design for each major area, and the design guideline for buildings. This study proposes the detailed design by using the image of drawing and diagram. The study is a design thesis to propose a space environment design in order to revitalize the jewelry industrial area at Jongro, This study uses a multiple analysis and make a proposal for space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and propose an actual design by applying to each specific area. This study has some significance for reference to make a design guideline in order to revitalize the jewelry industrial district at Jongno in Seoul in the futur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